2024년 6월 6일 목요일

NGC 4565 : Galaxy on Edge

 


NGC 4565 : Galaxy on Edge


- Image Credit & Copyright : Lóránd Fényes


머리털 자리 (Coma Berenices) 방향으로 약 4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NGC 4565 를 촬영한 사진이다.
NGC 4565 는 지구에서 봤을 때 사진처럼 옆으로 납작하게 보이다 보니 Needle Galaxy 라는 별칭을 갖고 있기도 하다.
은하의 중심은 상자 모양으로 볼록하게 보이고, 얇은 은하면을 장식하는 어두운 먼지 띠가 은하의 중심을 가로지르고 있다.
폭이 약 100000 광년 정도인 NGC 4565 는 작은 망원경으로도 쉽게 관측이 가능하며, 천체 사진가들은 천문학자 Charles Messier 가 놓친 뛰어난 천체 걸작으로 생각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606.html 이곳에서...


2024년 6월 4일 화요일

Comet Pons-Brooks Develops Opposing Tails

 


Comet Pons-Brooks Develops Opposing Tails


- Image Credit & Copyright : Rolando Ligustri & Lukas Demetz


오랜만에 다시 혜성 12P/Pons–Brooks 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 사진은 지난 주 나미비아 (Namibia)에서 촬영되었는데, 사진 오른쪽 상단에 혜성의 머리 부분이 있고, 그 아래로 길게 푸른 빛을 띄는 이온 꼬리를 보여주고 있다.
이온 꼬리는 태양풍의 영향을 받아 밀려나기 때문에 늘 태양의 반대 방향에 놓이게 된다.
혜성의 머리 왼쪽으로 부채꼴 형태의 먼지 꼬리가 보이는데, 먼지 꼬리는 혜성의 궤도를 따라 혜성을 따라가는 경향이 있으며, 일부 시야각에서는 이온 꼬리의 반대편에 나타날 수도 있다.
혜성 12P/Pons–Brooks 는 이틀 전,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을 지났으며, 현재는 남쪽 하늘에서 가장 잘 보이는 상태다.
한편, 사진 아래에 밝게 빛나는 별은 Alpha Leporis 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604.html 이곳에서...


2024년 6월 3일 월요일

NGC 2403 in Camelopardalis

 


NGC 2403 in Camelopardalis


- Image Credit & Copyright : (Team F.A.C.T.) Lilian Lbt - Cyrille Malo - Maxime Martin - Clément Daniel - Paul Grasset - Louis Leroux-Géré


기린 자리 (Camelopardalis) 방향으로 약 1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NGC 2403 을 촬영한 사진이다.
폭이 50000 광년 정도인 NGC 2403 은 거대한 별 생성 영역인 HII regions 이 많은 것으로 보여지는데, HII regions 은 이온화된 수소 원자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수소 원자 가스의 붉은 빛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HII regions 은 짧고 격렬한 일생의 마지막에 밝은 초신성으로 폭발하는 뜨겁고 거대한 별들에 의해 에너지를 얻는다.
M81 은하군의 구성원인 NGC 2403 은 우리 국부 은하군에 속해 있으면서 별 생성 영역이 풍부한 은하 M33 (Triangulum Galaxy)과 매우 유사하다.
한편, 사진 전경에 십자 형태의 스파이크 무늬를 보여주고 있는 별들은 우리 은하에 속한 별들이며, 사진 전반에 걸쳐 어둡고 희끗희끗하게 보이는 것들은 먼지가 많은 성간 구름들인데 이 구름들 역시 우리 은하에 속해 있으며 이런 성간 구름들을 galactic cirrus 또는 integrated flux nebulae 라고 한다.
하지만, NGC 2403 에서 뻗어나온 희미한 부분들은 이웃 은하와의 중력 상호 작용에 의해 끌어 당겨진 별들의 흐름인 것으로 추정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603.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31일 금요일

The Nebulous Realm of WR 134

 


The Nebulous Realm of WR 134


- Image Credit & Copyright : Xin Long


백조 자리 (Cygnus) 방향으로 약 6000 광년 거리에 있는 별 WR 134 와 그 주변의 성운들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 중심 근처에 가장 밝은 별이 WR 134 이고, 이 별은 Wolf-Rayet star 이다.
참고로, Wolf-Rayet star 는 무겁고, 밝으며 엄청난 항성풍이 몰아치는 별들인데, 보통 표면 온도가 아주 뜨거우며 (3만 ~ 20만 K) 강력한 항성풍 (2000 km/s 이상) 으로 인해 자신의 질량을 상실하고 있는 별들이다. (우리 태양이 태양풍으로 상실하는 질량의 약 10억배 정도를 상실한다고 한다.)

사진에서는 고리 형태를 하고 있는 성운의 밝은 가장자리를 강조했는데, 성운의 가장자리는 이온화된 수소와 산소 가스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역의 넓은 성간 구름들에 묻혀있는 복잡하고 빛나는 호 (arc) 형태들은 중심별 WR 134 에서 내뿜는 항성풍에 의해 휩쓸린 물질로 이루어진 껍질의 일부이다.
강력한 항성풍에 의해 외부 껍질이 떨어져 나간 거대한 Wolf-Rayet 별들은 놀라운 속도로 핵연료를 태워 버리고, 거대 항성 진화의 마지막 단계를 극적인 초신성 폭발로 끝내게 된다.
이렇게 항성풍과 초신성은 성간 물질에 무거운 원소들을 풍부하게 공급해서 새로 태어날 별의 원료가 되게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31.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29일 수요일

Stairway to the Milky Way

 




Stairway to the Milky Way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cin Rosadziński


은하수로 올라가는 계단처럼 보이는 이 장면은 지난 달 북대서양에 위치한 포르투갈의 Madeira 섬에서 촬영된 것이다.
사진의 한 가운데에 아치 형태로 보이는 은하수가 있고, 사진의 상단에는 푸른빛으로 빛나는 별 Vega 가 있다.
또한, 사진의 중심, 은하수 바로 아래에 하얗게 빛나는 별 Altair 가 있다.
그밖에 사진 왼쪽 아래에 노란 구름이 있고, 그 바로 위에 녹색으로 빛나는 air glows 가 보인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29.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28일 화요일

Solar X-Flare as Famous Active Region Returns


Solar X Flare as Famous Active Region Returns


- Video Credit : NASA, Solar Dynamics Observatory


이 영상은 태양 활동 관측 위성 (Solar Dynamics Observatory)이 어제 자외선 영역에서 촬영한 태양의 모습이며, 24시간 관측한 것을 time-lapse 로 보여주고 있다.
이달 초에 지구 전체에 영향을 미쳐 오로라를 만들었던 태양의 활성 영역인 Active Region 3664 (AR 3664)가 지구에서 먼 방향으로 회전했다가 다시 살아 돌아왔다.
어제 이 활성 영역인 AR 3664 가 다시 지구를 향하면서 가장 높은 등급인 X 등급 플레어 (solar flare)를 폭발시켰다.
영상에서 보면 2초쯤에 왼쪽 아래에 위치한 활성 영역에서 강력한 플레어가 폭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번 플레어와 이와 관련된 코로나 질량 방출 (coronal mass ejection (CME))에서 나오는 입자들이 지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오로라를 만들 것인지는 예측할 수 없지만, 과학자들은 앞으로 2주에 걸쳐 지구를 향하게 될 태양의 활성 영역에 대해 어떤 일이 일어날 지 면밀히 관찰할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28.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27일 월요일

Chamaeleon I Molecular Cloud

 


Chamaeleon I Molecular Cloud


- Image Credit & Copyright : Amiel Contuliano


카멜레온 (Chamaeleon) 자리 방향으로 약 650 광년 거리에 있는 카멜레온 I 분자 구름 (Chamaeleon I Molecular Cloud)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곳은 우리 태양이 포함되어 있는 local bubble 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카멜레온 분자 구름 복합체의 일부이다.
참고로, 카멜레온 분자 구름 복합체는 Chamaeleon I Molecular Cloud, Chamaeleon II Molecular Cloud, Chamaeleon III Molecular Cloud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거대한 별 생성 영역이다.
사진 중앙에서 약간 위에 있는 "C"자 형태의 밝은 부분은 Ced 110 이며, 그 아래 푸른 빛을 내는 성운은 Ced 111 이다.
먼지투성이의 이들 반사 성운들은 모두 1946년 Cederblad catalog 에 실려 있으며, 어린 별들을 지니고 있다.
또한, 푸른 빛의 Ced 111 바로 아래에 "V"자를 옆으로 눕힌 것처럼 보이는 주황색 천체가 있는데, 이는 Chamaeleon Infrared Nebula (Cha IRN) 이다.
Chamaeleon Infrared Nebula 는 새로 태어난 질량이 작은 별에서 흘러 나오는 물질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한편, 이 사진의 폭은 약 17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27.html 이곳에서...

참고로, 우리 태양이 속한 local bubble 관련 이미지도 함께 올려 본다.
https://skyandtelescope.org/astronomy-news/1000-light-year-bubble-is-the-source-of-all-nearby-baby-stars/?utm_source=cc&utm_medium=newsletter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2년 2월 17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650630877


2024년 5월 26일 일요일

A Solar Filament Erupts

 


A Solar Filament Erupts


- Image Credit : NASA's GSFC, SDO AIA Team


이 사진은 2012년 중반 즈음, 태양의 갑작스런 필라멘트 폭발을 자외선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촬영은 태양 궤도를 돌고 있는 태양 활동 관측 위성 (Solar Dynamics Observatory)에 의해 이루어졌다.
오래 지속되어 온 태양 필라멘트가 우주 공간으로 폭발하면서 강력한 코로나 질량 방출 (coronal mass ejection (CME))을 일으켰는데, 이 당시 필라멘트는 태양 자기장에 의해 며칠 동안 정체되어 있었고 폭발 시기를 예측하지 못했었다고 한다.
태양 활동 관측 위성의 면밀한 관측 결과, 필라멘트 폭발로 인해 전자와 이온들이 태양계로 분출되었고, 그중 일부는 3일 후에 지구 자기권과 충돌하여 오로라를 만들었다.
사진에서는 태양 활성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플라즈마 고리들을 폭발하고 있는 필라멘트 위에서 볼 수 있다.
한편, 우리 태양은 현재 11년 주기의 태양 상태 중 가장 활동적인 시기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많은 코로나 구멍들을 만들고 있는데, 이런 코로나 구멍에서 우주 공간으로 하전된 입자들을 방출하며, 이런 하전 입자들이 오로라를 만들게 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26.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25일 토요일

케냐 키암부 TOP 케이스 (Kenya Kiambu TOP Kays) - 호호커피집

 


케냐 키암부 TOP 케이스
(Kenya Kiambu TOP Kays)

호호커피집


- 지역 : Kiambu county, Kenya
- 재배 고도 : 1600 ~ 2250 m
- 가공 방식 : washed, sun dried

- tasting note : 흑설탕, 자몽, 과일 산미와 가득한 바디감


이번 커피는 호호커피집의 케냐이다.
케냐는 어지간하면 다들 맛이 괜찮아서 실망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이번 커피도 썩 괜찮은 커피였다.
호호커피집에서 적어 놓은 tasting note 가 거의 다 느껴지긴 했는데, 나는 여기에 더해 뭔가 토마토 페이스트나 스튜 같은 뉘앙스가 느껴져서 흥미로웠다.
분쇄할 때부터 느껴지는 상큼하고 달콤한 과일 향이 매력적으로 다가왔고, 뭔가 쫀득한 느낌의 단향이 있었다.
자몽 향도 느껴지긴 했는데 그렇게 강하지는 않았고, 아주 잠깐씩 스쳐 지나가듯이 floral 계열의 향이 하나 있었다.
그런데, 분쇄하고 추출하고, 또 마셔보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향미는 역시나 토마토 페이스트나 스튜 같은 뉘앙스였다.
물론, 나는 토마토 페이스트나 스튜 같다고 느꼈지만, 실상 이런 향미가 정말 이 커피에 있는건지는 확신하지 못하겠다.
아마도 다른 사람들은 나의 이런 생각이 말도 안된다고 할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난 그렇게 느꼈으니 여기에 적어 본다.
나는 이 커피의 가장 큰 특징이 토마토 페이스트나 스튜 같은 뉘앙스라 생각한다.
그리고, 여기에 더해 과일의 상큼함과 단맛도 있으니 커피를 마시는 내내 기분이 참 좋아졌다.
또한, 입안에서 느껴지는 촉감도 아주 멋진데, 부드러우면서도 매끄러운 느낌이 일품이었다.
보통 silky 하다는 표현들을 쓰는데, 정말 그랬다.
커피가 화려한 느낌은 아니지만, 이렇게 개성있는 향미에 바디감까지 좋다보니 뭔가 기품있는 음료를 마시고 있는 느낌이었다.
날이 지날수록 과일의 느낌이 조금 평범해지는 경향이 있긴 했지만, 이 정도 향미의 커피라면 대부분 만족할만한 커피 아닐까 생각한다.


2024년 5월 24일 금요일

M78 from the Euclid Space Telescope

 


M78 from the Euclid Space Telescope


- Image Credit & License : ESA, Euclid, Euclid Consortium, NASA; 
- Processing : J.-C. Cuillandre (CEA Paris-Saclay), G. Anselmi


오리온 자리에 위치하며 거리는 약 1300 광년 정도 되는 반사 성운 M78 과 그 주변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중심부에 가장 크고 밝게 빛나고 있는 성운이 M78 인데, 이곳은 별 생성 영역이기도 하다.
별이 만들어진다는 것이 좀 혼란스러운 현상일 수도 있는데, 얼마나 혼란스러운지 알아보기 위해 ESA (European Space Agency, 유럽 우주국)의 새로운 태양 궤도 망원경인 유클리드 망원경 (Euclid Space Telescope)이 최근에 M78 을 아주 상세하게 촬영하였다.
가시광선과 적외선 영역 모두에서 촬영된 이 사진에서 M78 의 밝은 중심부의 폭은 약 5 광년 정도이고, M78 의 중심부가 보라색으로 보이는 것은 어두운 먼지들이 주변의 뜨겁고 젊은 별들에서 방출되는 푸른 빛을 우선적으로 반사하기 때문이다.
사진에서는 또한 복잡한 먼지 띠와 필라멘트들도 볼 수 있다.
사진 왼쪽 상단에 빛나고 있는 성운은 역시 별 생성 영역인 NGC 2071 이고, 오른쪽 아래에는 또다른 세 번째 성운도 볼 수 있다.
이들 성운들은 모두 오리온 분자 구름 복합체의 일부이며, 오리온 벨트 (Orion's belt) 바로 북쪽에서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24.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23일 목요일

Unraveling NGC 3169

 


Unraveling NGC 3169


- Image Credit & Copyright : Christophe Vergnes, Aziz Kaeouach


육분의(六分儀)자리 (Sextans) 방향으로 약 7000만 광년 거리에 있으며, 사자 자리 (Leo)의 1등성인 Regulus 남쪽에 위치한 세 개의 은하 NGC 3169, NGC 3166, 그리고 NGC 3165 를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나선 은하가 NGC 3169 이고, 그 바로 오른쪽에 있는 은하가 NGC 3166 이며, 가장 오른쪽에 작고 푸른 빛을 띄고 있는 은하가 NGC 3165 이다.
NGC 3169 와 NGC 3166 은 서로 중력 상호 작용을 하고 있어서, 감겨져 있는 나선팔들이 조석 꼬리 (tidal tails) 쪽으로 당겨지고 있는데, 결국 두 은하는 합쳐져 하나의 은하가 될 것이다.
별들로 이루어진 호 형태와 기둥 형태들이 길게 늘어져 있는 모습을 통해 두 은하가 중력 상호 작용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NGC 3169 는 전파에서 X-ray 까지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빛을 발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거대 블랙홀이 있는 활동성 은하핵을 지니고 있다.
한편, 은하들의 평균 거리를 기준으로 이 사진의 폭은 약 40000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23.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3년 3월 2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3032979309


2024년 5월 22일 수요일

Green Aurora over Sweden

 



Green Aurora over Sweden


- Image Credit & Copyright : Göran Strand


이번에도 오로라를 촬영한 사진이긴 한데, 이번 오로라는 얼마전 태양 폭풍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발생했던 오로라 중 하나는 아니고, 지난 2016년 스웨덴에서 촬영된 오로라이다.
스웨덴 Östersund 외곽에서 촬영된 이 사진은 6개의 사진 피사계를 합성하여 만들어졌으며, 거의 180도에 걸친 파노라마이다.
특히 이 오로라가 놀라운 것은 호 같은 형태와 뚜렷한 경계면 때문이다.
전경에는 Storsjön 호수가 보이고, 멀리 배경 하늘에선 몇몇 친숙한 별자리들과 북극성을 볼 수 있다.
또한, 사진의 왼쪽 오로라 경계면 바로 아래에는 달이 빛나고 있다.
이 오로라가 발생했던 당시, 그 바로 전날 태양 코로나에 커다란 구멍이 뚫렸고 그로 인해 강력한 입자들이 태양계로 흘러 나오게 되었다고 한다.
오로라의 색상이 녹색인 것은 산소 원자들이 지구 대기 상층부의 전자들과 재결합했기 때문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22.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21일 화요일

CG4 : The Globule and the Galaxy

 


CG4 : The Globule and the Galaxy


- Image Credit : CTIO, NOIRLab, DOE, NSF, AURA; 
- Processing : T. A. Rector (U. Alaska Anchorage/NSF’s NOIRLab), D. de Martin & M. Zamani (NSF’s NOIRLab)


고물 자리 (Puppis) 방향으로 약 1300 광년 거리에 있는 혜성형 소구체 (cometary globule) CG4 를 촬영한 사진이다.
Globule 를 '소구체' 또는 '구상체'라 번역하는데, 쉽게 말하면, 먼지나 가스 등으로 이루어진 작은 암흑 성운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CG4 의 생김새가 마치 괴물의 발톱처럼 생겼고, 그 앞에 작게 보이는 은하를 집어 삼킬 것 처럼 보여서 흥미로운데, CG4 와 은하는 아무 영향을 주고 받지 않으며 그저 우연히 이렇게 겹쳐 보이는 것 뿐이다.
CG4 앞에 있는 은하는 실제로는 거대한 은하인데, 멀리 있다보니 작게 보이는 것이다.
CG4 는 가스 구름이며, 먼지로 이루어진 머리 부분과 길게 늘어진 꼬리 부분으로 되어 있다보니 혜성을 닮았다 하여 cometary globule 이라고 한다.
하지만, 당연히 혜성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Globule 에서는 보통 별들이 많이 만들어지는데, CG4 의 머리 부분에서도 아주 어린 별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한편, CG4 의 머리 부분이 찢어진 것처럼 보이는데 아직 그 이유에 대해서는 밝혀진 것이 없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21.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3년 1월 4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975140338


2024년 5월 20일 월요일

Aurora Dome Sky

 



Aurora Dome Sky


- Image Credit & Copyright : Xuecheng Liu & Yuxuan Liu


이 사진도 이번에 있었던 강력한 태양 폭풍으로 인해 발생한 오로라를 촬영한 것이다.
흑점 그룹인 Active Region 3664 (AR 3664)에서 내뿜어진 코로나 질량 방출 (coronal mass ejections ; CMEs)로 인해 지난 5월 10일 밤, 전 세계에 걸쳐 오로라가 발생했는데, 이 사진은 미국 위스콘신 (Wisconsin)주 Arlington 에서 이른 아침에 촬영된 사진이다.
6초 동안의 노출 사진 여러 장을 합성하여 만든 이 파노라마 사진은 밤하늘의 2/3를 덮고 있으며, 오로라의 중심에는 북극성 (North Star)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보정을 통해 색상을 강화하였고, 전선을 삭제했다.
사진에서 전경에 서 있는 사진 작가는 오로라가 머리 위 한 지점으로부터 흐르는 것처럼 보였지만, 북쪽 방향으로만 비추고 있었다고 전했다.
한편, 흑점 그룹 AR 3664 는 지난 주 지구에서 먼 방향으로 회전했지만, 다음 주에 다시 지구 방향으로 돌아올 수도 있다고 한다.

원문에서는 흑점 그룹의 이름을 AR 6443 으로 표기했는데, 아마도 AR 3664 를 잘못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20.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19일 일요일

...


상대방의 의견이나 상황 등은 고려하지 않고, 맥락을 무시한 채, 자기 하고 싶은대로 하면서 "내가 널 도와줬으니 넌 고마워해야 해" 라고 생각하는 사람을 상대하는 건 굉장히 피곤한 일이다.
상대에 대한 배려와 공감은 없고 모든 일에 자기 중심적이면서 스스로 도움을 줬다고 생각한다.
타인이 처한 어려운 상황을 멋대로 해석하고, 자신들의 언행이 얼마나 비수처럼 꽂히는지는 생각하지 못한다.
이런 사람들을 대하는 유일한 방식은 관계를 끝내는 것 뿐이다.
단호하게...
그것이 설령 가족일지라도...


2024년 5월 17일 금요일

Aurora Banks Peninsula

 


Aurora Banks Penins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Kavan Chay


이번엔 뉴질랜드에서 촬영된 오로라의 모습이다.
역시나 이번 태양 흑점 그룹 Active Region 3664 (AR 3664)의 강력한 활동으로 인한 지자기 폭풍 때문에 발생한 오로라이다.
사진은 5월 11일, 뉴질랜드 남섬의 도시인 Christchurch 근처 Banks Peninsula 에서 촬영되었다.
사진 아래쪽 바다에는 탑처럼 생긴 바위가 있고, 사진의 상단 하늘에는 남십자성 (the Southern Cross)의 별들이 있으며, 하늘 중앙 근처에는 south celestial pole (하늘의 남극)이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17.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16일 목요일

Aurora Georgia

 


Aurora Georgia


- Image Credit & Copyright : Wright Dobbs


지난 5월 10일, 자정이 되기 전, 미국 조지아 (Georgia)주, Bainbridge 시에서 북쪽으로 약 15마일 떨어진 농장에서 촬영된 오로라의 모습이다.
사진 아래에는 농장을 가로질러 길게 이어져 있는 관개 시설이 보이고, 왼쪽으로는 초승달이 사진의 과다 노출로 인해 밝게 빛나고 있다.
별이 빛나는 밤하늘을 배경으로 멋진 오로라가 커튼처럼 펼쳐져 있는데, 미국 남부 지역인 조지아 주에서는 생소한 풍경이다.
지난 주말 태양의 흑점 그룹인 Active Region 3664 (AR 3664)의 강력한 활동으로 인해 극단적인 지자기 폭풍이 발생하여 극지방 근처에서나 볼 수 있었던 오로라가 조지아 주 뿐만 아니라 다른 낮은 위도에서도 볼 수 있었다.
한편, 이처럼 태양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폭풍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16.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15일 수요일

AR 3664 at the Sun's Edge

 


AR 3664 at the Sun's Edge


- Image Credit & Copyright : Sebastian Voltmer


이 사진은 이틀 전에 촬영된 태양의 모습이다.
이번에 있었던 강력한 태양 폭풍을 일으킨 흑점 그룹 Active Region 3664 (AR 3664)를 태양의 가장자리에 있을 때 보여주는 사진인데, 이를 통해 AR 3664 의 3차원적 구조를 더 잘 보여주고 있다.
사진에서는 AR 3664 에서 우주 공간으로 뻗어나가는 커다란 홍염을 다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입자 구름의 한 예일 뿐이다.
또한, 사진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바로 어제, 가장 강력한 태양 플레어 (solar flare ; 태양 표면 폭발)가 발생했는데, 이는 상위 X 등급으로 분류된 폭발이었다. 
이 폭발로 인해 태양 플레어에서 방출된 자외선이 빠른 속도로 지구 대기와 충돌하였고, 북미와 남미에 걸쳐 단파 라디오 통신이 두절되었다.
현재, AR 3664 는 지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지만, AR 3664 에서 내뿜고 있는 입자들과 이따른 코로나 질량 방출 (coronal mass ejections ; CMEs)이 여전히 내부 태양계를 가로지르는 자기장 선을 따라 움직이며, 지구에는 더 많은 오로라를 만들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15.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14일 화요일

The 37 Cluster

 


The 37 Cluster


- Image Credit & Copyright : Sergio Eguivar


오리온 (Orion) 자리 방향으로 평균 거리가 약 3300 광년 정도 되는 산개 성단 NGC 2169 를 촬영한 사진이다.
NGC 2169 의 별칭이 The 37 Cluster 인데, 성단을 구성하는 별들의 위치가 숫자 37 과 닮아서 그런 별칭을 얻게 되었다.
별칭을 만드는 수준이 너무 단순하고 유치한 것 아닌가 싶은데, 암튼 그렇다고 한다.
은하단이나 산개 성단에 관한 한, NGC 2169 는 폭이 7 광년 정도로 작은 편이다.
NGC 2169 의 별들은 동일한 먼지와 가스 구름으로 만들어졌으며 만들어진 시기도 같은데, 나이가 약 1100만 년에 불과하다.
이러한 성단들은 은하계를 돌아다니는 동안 다른 별과 성간 구름들을 만나고 중력 조수 (gravitational tides)를 경험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흩어지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40억년 전의 우리 태양도 비슷한 산개 성단에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여진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14.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13일 월요일

AR 3664 on a Setting Sun

 


AR 3664 on a Setting Sun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co Meniero


이 사진은 며칠전 이탈리아 로마, Civitavecchia 에서 태양이 지고 있는 모습을 촬영한 것이며, 아주 짧은 노출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지만, 실제로 보이는 것과 비슷하다.
사진에서는 이번에 있었던 강력한 태양 폭풍을 일으킨 태양의 흑점 그룹 Active Region 3664 (AR 3664)를 선명하게 볼 수 있다.
강력한 자기장과 수많은 흑점을 포함하고 있는 AR 3664 는 최근 몇년 동안 태양에서 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영역으로 발전했으며, 일련의 폭발로 인해 태양 폭풍의 입자들이 지구에 부딪혀 아름다운 오로라를 만들었다.
이러한 상황은 앞으로 계속될 수도 있고, AR 3664 와 같은 태양의 활성 영역들이 아주 위험할 수 있지만, 이번 코로나 질량 방출 (Coronal Mass Ejections)은 아직 지구 궤도 위성이나 전력망에 큰 피해를 입히지는 않았다.
한편, 현재 AR 3664 는 지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지만, 다시 돌아올 수 있을 만큼 오래 유지될 수도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13.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12일 일요일

Red Aurora over Poland

 


Red Aurora over Poland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iusz Durlej


이번에 있었던 격렬한 태양 폭풍 때문에 이젠 폴란드처럼 낮은 위도에서도 오로라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이 붉은 빛의 오로라는 폴란드 Racibórz 에서 6초 동안의 노출을 통해 촬영되었다.
엊그제 있었던 태양의 흑점 그룹 Active Region 3664 에서의 표면 폭발로 인해 전자와 양성자, 그리고 보다 무거운 하전된 미립자들이 태양계로 쏟아져 나왔으며, 이러한 코로나 질량 방출 (coronal mass ejection, CME)은 지구에 영향을 미쳐 지구의 북극과 남극에서 멀리 있는 낮은 위도에서도 오로라를 발생시켰다.
흑점 그룹 Active Region 3664 는 이따라 훨씬 더 많은 코로나 질량 방출을 했으며 오늘 밤이나 내일쯤 지구에 다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Active Region 3664 가 현재 태양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고, 곧 지구에서 먼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12.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11일 토요일

AR 3664 : Giant Sunspot Group

 


AR 3664 : Giant Sunspot Group


- Image Credit & Copyright : Franco Fantasia & Guiseppe Conzo (Gruppo Astrofili Palidoro)


바로 어제, 이탈리아 로마에서 가시광선 영역으로 촬영된 태양 흑점의 모습이다.
단일 흑점이 아니고 여러 흑점들이 모여있는 흑점 그룹이다.
Active Region 3664 (AR 3664) 라고 하는 흑점 그룹인데, 최근 역사상 가장 큰 흑점 그룹 중 하나이며, 태양을 가로지르고 있다.
AR 3664 는 크기만 큰 것이 아니라 격렬하기까지 해서 태양계로 입자 구름을 내뿜고 있는데, 이러한 코로나 질량 방출 (Coronal mass ejection, CMEs)이 이미 지구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뒤이어 다른 코로나 질량 방출도 뒤따를 수 있다고 한다.
극단적인 경우, 이러한 태양 폭풍은 지구 궤도를 도는 위성들에 오작동을 일으킬 수도 있고, 지구 대기를 약간씩 뒤틀리게 할 수도 있으며, 전력망을 요동치게 할 수도 있다.
이들 태양 입자들이 지구 상층 대기에 부딪히면 아름다운 오로라를 만들 수 있는데, 이미 일부 비정상적인 오로라가 낮은 위도에서 보고되고 있다.
또한, 흑점 그룹 AR 3664 가 너무 커서 지난 개기 일식 관측을 위해 고안되었던 안경만으로도 볼 수 있을 정도이다.
이번 주말에 천체 관측가들은 전 세계 밤하늘에 걸쳐 밝고 특이한 오로라를 선명하게 관측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11.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9일 목요일

콜롬비아 라 프리마베라 핑크 버번 (Colombia La Primavera Pink Bourbon) - 빈 브라더스

 


콜롬비아 라 프리마베라 핑크 버번
(Colombia La Primavera Pink Bourbon)

빈 브라더스
(Bean Brothers)


- 생산자 : Gustavo Calderon
- 농장 : La Primavera
- 지역 : Acevedo, Huila, Colombia
- 품종 : Pink Bourbon
- 가공 : washed, anaerobic fermantation

- tasting note : 레드 자몽, 석류, 리치, 망고


이번 커피는 빈 브라더스의 콜롬비아이다.
빈 브라더스에서는 처음 주문해보는 건데, 괜찮은 선택이었다.
다만, 주문하고 나서 커피 프로필의 가공 방식에서 '무산소 발효'라는 문구를 발견해서 걱정을 좀 했는데, 다행히 예전에 느꼈던 인공적이고 화학적인 느낌의 발효향은 아니었다.

커피는 전체적으로 새콤, 달콤, 상큼했다.
분쇄할 때부터 상큼하고 달콤한 과일향이 강하게 느껴졌고, 분쇄 중에 느껴지는 자몽 향이 참 좋았다.
향을 맡으면서 점점 기분이 좋아지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발효향은 마치 숙성된 과일향처럼 느껴져서 거부감이 거의 없었다. 
발효향 같은 경우는 사람마다 느끼는 것이 많이 달라서 조금도 허용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고, 아주 관대한 사람들도 있는데, 나 같은 경우는 좀 관대한 편이다.
다만, 예전의 무산소 발효향처럼 너무 인공적이고 화학적으로 다가오면 나도 거부감이 심해진다.
사실, 그때의 경험 때문에 무산소 발효 가공한 커피를 피하는 편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커피는 다행히 그런 거부감은 없었고, 그저 내추럴 커피처럼 자연스럽게 숙성된 과일향처럼 느껴졌다.
커피의 과일 느낌은 마실 때에도 뚜렷해서 상큼하고 달콤했으며, 자몽이나 리치를 연상시켰다.
또한, 발효향도 분명했다.
그런데, 이런 상큼하고 달콤한 과일 맛이나 숙성된 과일맛 같은 느낌들이 날이 갈수록 조금씩 약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보통 원두를 구매하면 열흘 정도 마시는데, 일주일이 넘어가면서는 향미들이 많이 약해져서 그냥 평범한 커피를 마시는 느낌이었다.
하지만, 첫날 분쇄하고 추출하고 마시면서 느꼈던 향미들이 인상적이어서 꽤 좋은 느낌으로 남는 커피였다.
빈 브라더스의 홈페이지에 적혀 있는 이 커피에 대한 설명을 보면 달콤한 빨간색 과일들이 연상된다고 했는데, 나도 같은 생각이다.


2024년 5월 8일 수요일

Visualization: A Black Hole Accretion Disk


Visualization : A Black Hole Accretion Disk


- Visualization Credit : NASA’s Goddard Space Flight Center, Jeremy Schnittman


이 영상은 블랙홀을 관찰자 시점으로 시뮬레이션해서 보여주는 영상이다.
블랙홀이, 빛을 내며 축적된 가스로 이루어진 소용돌이치는 원반으로 둘러싸여 있다면, 블랙홀의 엄청난 중력이 원반에서 방출되는 빛을 굴절시켜 매우 이상하게 보이게 되는데, 이를 시각화한 것이 이 영상이다.

영상은 관찰자가 블랙홀의 강착 원반 평면 바로 위에서 블랙홀을 바라보면서 시작한다.
블랙홀 중심을 둘러싸고 있는 얇은 원형 고리는 광자 구 (photon sphere)의 위치를 표시해주는데, 광자 고리 (photon ring)라고도 하는 모양이다.
광자 구 (photon sphere)는 강한 중력으로 광자가 형성하는 궤도들로 이루어진 계면을 말한다.
그리고, 이 광자 구 (photon sphere) 안쪽에 블랙홀의 event horizon 이 존재한다.
참고로, event horizon 은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그 내부에서 일어난 사건이 그 외부에 영향을 줄 수 없는 경계면을 말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예가 블랙홀의 event horizon 이다.
외부에서는 물질이나 빛이 안쪽으로 빨려 들어갈 수 있지만, 내부에서는 블랙홀의 중력에 의한 붕괴속도가 탈출하려는 빛의 속도보다 커지므로 내부로 들어온 물질이나 빛은 event horizon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영상 왼편으로는, 원반 이미지의 커다란 부분들이 관찰자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더 밝게 보여지고 있다.
계속되는 영상에서 관찰자가 블랙홀을 원호 그리듯 돌면서,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게 되고, 그런 후 원반 평면의 먼쪽을 지난 다음 다시 원래의 시점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강착 원반이 흥미롭게 역전되는 모습을 볼 수 있지만, 평평하게 보여지지는 않는다.
한편, 이런 영상들은 Event Horizon Telescope 이 블랙홀들을 놀랍도록 자세하게 관측함으로써 가능하게 되었다고 한다.
Event Horizon Telescope 은 전 세계 전파망원경 네트워크로 구성된 대규모 망원경 배열 (large telescope array)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08.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7일 화요일

Black Hole Accreting with Jet

 


Black Hole Accreting with Jet


- Illustration Credit : NASA, Swift, Aurore Simonnet (Sonoma State U.)


블랙홀 주변이 아마도 이럴 것이다 추정해서 이런 일러스트로 표현을 했는데, 2014년에 있었던 관측과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만들어진 일러스트이다.
블랙홀이 별을 집어 삼킬 때 어떤 일들이 일어나는지 아직 모르는 것이 많지만, 2014년 All Sky Automated Survey for SuperNovae (Project ASAS-SN) 프로젝트를 위한 지상 망원경이 강력한 폭발을 기록하였고, NASA의 지구 궤도 위성인 Swift 위성 (Neil Gehrels Swift Observatory) 등을 포함한 장비들의 후속 관측이 이루어졌다.
이런 관측 결과에 대한 컴퓨터 모델링이 멀리있는 초거대 블랙홀에 의해 별이 파괴되는 것과 일치했다고 한다.
이렇게 별이 블랙홀과 충돌하는 것을 위에 있는 일러스트로 묘사한 것이다.
일러스트에서 블랙홀은 중앙에 있는 작고 검은 점으로 표현했고, 물질들이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며 다른 물질들과 충돌하고 가열되며, 블랙홀 주변에는 뜨거운 강착 원반 (accretion disk)이 있는데 이는 한때 별이었던 물질들이라 한다.
또한, 블랙홀의 회전축에서는 제트 (jet)가 방출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07.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6일 월요일

Total Solar Eclipse from Sliver to RIng


A Total Solar Eclipse from Sliver to Ring


- Video Credit & Copyright : Reinhold Wittich; 
- Music : Sunrise from Also sprach Zarathusra (R. Strauss) by Sascha Ende


이 영상은 지난 4월 8일, 북미에서 있었던 개기 일식을 촬영한 영상인데, 연속 촬영된 영상은 아니고, 미국 아칸소 (Arkansas)주 Mountain View 에서 촬영된 여러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만든 영상이다.
영상을 보면, 먼저 흑점이 뚜렷하게 보이는 태양이 보여지고 뒤이어 달이 오른쪽 아래에서부터 왼쪽 상단 방향으로 그 앞을 지나면서 가리게 되는데, 달이 태양을 다 가리게 될 즈음 마치 다이아몬드 반지처럼 밝게 빛나는 현상 (diamond ring)을 볼 수 있다.
그리고나서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린 후에는 멋지게 퍼져 보이는 코로나를 볼 수 있고 가장자리에 분홍빛으로 보여지는 홍염도 볼 수 있다.
뒤이어 달이 왼쪽 상단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할 때 오른쪽 아래에서 다시 diamond ring 을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06.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3일 금요일

...

어머니가 집을 못 알아보고, 나를 못 알아보는 것이 어쩌다 한번 있는 일이 아니라 이젠 일상이 되었다.
5월 1일부터 어머니 상태가 갑자기 더 나빠졌다. 이유를 잘 모르겠다.
이렇게 삶이 또한번 변화를 겪는 것 같다.
마음이 늘 무겁고 복잡하다.


2024년 5월 2일 목요일

M100 : A Grand Design Spiral Galaxy

 


M100 : A Grand Design Spiral Galaxy


- Image Credit & Copyright : Drew Evans


머리털 자리 (Coma Berenices) 방향으로 약 56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M100 을 촬영한 사진이다.
NGC 4321 로도 알려져 있는 M100 은 1000억 개가 넘는 별을 지니고 있으며 우리 은하와 비슷한 멋진 나선팔을 갖고 있다.
또한, 처녀자리 은하단 (Virgo Cluster of galaxies) 중에서 가장 밝은 은하 중 하나이다.
미국 애리조나 (Arizona)주 Flagstaff 근처에서 촬영된 이 사진은 21시간 장노출을 통해 촬영되었으며, M100 의 밝고 푸른 성단들과 복잡하게 감겨있는 먼지층 등을 잘 보여주고 있다.
반면, 사진 오른쪽 상단에 옆으로 보여지는 은하는 NGC 4312 이다.
한편, M100 에 있는 변광성들을 측정한 결과가 우주의 나이와 크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02.html 이곳에서...


2024년 5월 1일 수요일

IC 1795 : The Fishhead Nebula

 


IC 1795 : The Fishhead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Roberto Colombari & Mauro Narduzzi


이 사진은 우리 은하의 페르세우스 나선팔을 따라 펼쳐져 있는 커다란 별 생성 영역 복합체에 위치한 성운 IC 1795 를 촬영한 것이다. 
지구에서의 거리는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 자리 방향으로 약 6000 광년 정도이다.
물고기 머리를 닮았다 하여 Fishhead Nebula 라는 이름을 갖고 있기도 한 IC 1795 는 빛나는 가스와 어두운 먼지 구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성운의 색상은 Hubble color palette 를 이용해 만들어졌는데, 산소, 수소, 황 원소의 협대역 발광 (emission)을 각각 파란색, 녹색, 빨간색으로 표현했으며, 광대역 필터를 통해 기록된 이미지와 데이터를 혼합해 만들었다.
IC 1795 는 페르세우스 자리에 있는 유명한 성단인 Double Star Cluster 와 그리 멀지 않으며, Heart Nebula 로 알려져 있는 IC 1805 와는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는데, 커다란 분자 구름 가장자리에 위치한 별 생성 영역 복합체의 일부이다.
한편, IC 1795 의 폭은 약 7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501.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9년 8월 2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602726580


2024년 4월 30일 화요일

GK Per : Nova and Planetary Nebula

 


GK Per : Nova and Planetary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Deep Sky Collective


페르세우스 자리 (Perseus) 방향으로 약 1500 광년 거리에 있는 신성 폭발한 항성계인 GK Persei 와 그 주변을 둘러싼 성운들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는 중심에 있는 불꽃 형태의 성운과 그를 둘러싼 붉은 빛의 성운, 그리고 사진 전체에 걸쳐 있는 회색빛의 성운이 있는데, 이중 불꽃 형태의 성운과 붉은 빛의 성운이 신성 GK Persei 와 관련이 있는 성운들이다.
성운의 정중앙에는 백색 왜성이 있는데 이는 우리 태양같은 별이 신성 폭발 후 남은 별의 핵이며, 이 별을 둘러싸고 있는 불꽃 모양의 성운을 Firework nebula 라 하는데 이 성운은 백색 왜성의 표면에서 열핵 폭발이 있은 후 방출된 가스이다.
또한, Firework nebula 를 둘러싸고 있는 붉은 빛의 가스는 중심 별의 대기였는데, 신성 폭발이 있기 전에 방출되었으며 확산된 행성상 성운처럼 보여진다.
한편, 사진 전체에 걸쳐 보여지는 회색빛 가스는 그저 지나가던 성간 구름이다.
신성 GK Persei 는 1901년에 기록되었기 때문에 Nova Persei 1901 이라고도 하며, 지금까지 기록된 신성들 중에 두 번째로 가까운 신성이다.
그리고, 1901년 당시에는 오리온 자리 별인 베텔기우스 (Betelgeuse) 보다도 더 밝았었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북쪽 왕관 자리 (Corona Borealis)에 있는 항성계 T CrB (T Coronae Borealis) 도 올해 하반기에 신성 폭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언제, 얼마나 밝아질 것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30.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28일 일요일

Rings Around the Ring Nebula

 


Rings Around the Ring Nebula


- Image Credit : Hubble, Large Binocular Telescope, Subaru Telescope; 
- Composition & Copyright : Robert Gendler


거문고 자리 (Lyra) 방향으로 약 2500 광년 거리에 있는 행성상 성운 Ring Nebula (M57)를 촬영한 사진이다.
촬영은 세 개의 서로 다른 대형 망원경을 이용했으며, 수소에서 방출되는 적색광과 가시광선, 적외선 영역의 이미지들을 합성하였다.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단순해 보여도 이렇게 여러 데이터를 합성하여 얻은 이미지를 보면, 폭이 1 광년 정도되는 중심 고리 부분 뿐 아니라 중심별로부터 멀리 떨어져 뻗어있는 고리 형태의 빛나는 가스 필라멘트들을 볼 수 있다.
Ring Nebula 는 길게 늘어진 행성상 성운인데, 우리 태양 정도 질량을 지닌 별들이 그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 외곽 대기층을 벗어던지고 백색 왜성이 되며 만들어지는 성운이 행성상 성운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28.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8년 7월 15일에도 올렸었고, 그때와 사진이 동일한데, 글의 내용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어 다시 올려본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319664852


2024년 4월 27일 토요일

코스타리카 꼬쁘로 나랑호 레드 허니 (CostaRica Coopro Naranjo Red Honey) - 커피 몽타주

 


코스타리카 꼬쁘로 나랑호 레드 허니
(CostaRica Coopro Naranjo Red Honey)

커피 몽타주
(Coffee Montage)


- 지역 (Region) : Western Valley
- 농장 (Farm) : Coopro Naranjo
- 농장주 (Farmer) : Tono Vega
- 품종 (Variety) : Caturra, Obata, Pacamara, Gesha
- 재배 고도 (Altitude) : 1800 m
- 가공 방식 (Process) : Red Honey

- Tasting note : floral, peach, plum, orange, juicy, honey, cashew nut


이번 커피는 커피 몽타주의 코스타리카를 선택해봤다.
그저 tasting note 가 마음에 들어 주저없이 주문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위에 적혀 있는 향미를 제대로 느낀 것이 하나도 없었다.
분쇄할 때부터 다 마시고 난 후까지 눈에 띄는 향미가 별로 없었다.
큰 카테고리로 보자면 과일, 견과의 고소함, 단맛 등이 느껴지긴 했지만, 뭔가 개성있다거나 밸런스가 아주 좋다거나 하는 느낌은 받지 못했다.
과일 향미는 분명히 느껴지긴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과일인지 분간하기 어려웠다.
때론 건포도 같기도 하고 때론 포도즙 같기도 했지만 명확치 않았고, 1차 추출을 진하게 내렸을 경우에만 분명하게 과일의 상큼함이 느껴졌다.
어찌보면 citrus 계열의 상큼함 같았는데, 그렇게 특별한 건 아니었다.
Tasting note 에 적혀 있는 복숭아, 자두, 오렌지 같은 느낌은 전혀 찾을 수 없었다.
고소함 같은 경우는 좀더 부드럽게 느껴지는 견과 같았다. 
적혀 있는 대로 cashew nut 과 비슷하다고 느껴지긴 했는데, 조금 애매한 부분도 있었다.
단맛도 나쁘진 않았지만, 특별하지 않았다.
다만, 진하게 내려서 과일의 상큼함을 강조할 때나, 연하게 내릴 때나 나름 과일맛과 고소함, 단맛의 조화는 있었다.
이 커피는 딱 이 정도 느낌으로 만족할만한 커피였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형편없는 커피라고 할 수는 없고, 개성없는 평범한 커피 아니었나 싶다.
물론, 향미를 제대로 느끼지 못했다고 해서 커피의 문제라고 말할 수는 없다.
나의 커핑 능력이 부족해서 그렇게 느껴졌을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좋다 나쁘다 말하긴 좀 그렇고, 단지 내 취향은 아니었다.


2024년 4월 26일 금요일

Regulus and the Dwarf Galaxy

 


Regulus and the Dwarf Galaxy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kus Horn


사자 자리 (Leo) 방향에서 볼 수 있는 별 Regulus 와 은하 Leo I 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중앙에 파란빛을 내며 커다란 X자 형태의 스파이크를 보여주고 있는 별이 Regulus 이고, 그 바로 아래 희미하고 불분명하게 뿌옇게 보이는 것이 은하 Leo I 이다.
Regulus 는 북반구의 봄철에 동쪽 지평선 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사자 자리의 알파별이며, 거리는 약 79 광년 정도이다.
또한, Regulus 는 다중성계의 일부이며 뜨겁고 빠르게 회전하고 있는 별이다.
반면, 은하 Leo I 는 왜소 타원 은하이며,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 등과 함께 같은 국부 은하군에 속해 있다.
Leo I 까지의 거리는 약 80만 광년이며 우리 은하의 궤도를 돌고 있는 작은 위성 은하들 중 가장 멀리 있는 은하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Leo I 의 중심에도 블랙홀이 있는데, 우리 은하의 블랙홀과 맞먹는 정도의 질량을 지닌 거대한 블랙홀을 지니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26.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25일 목요일

NGC 604 : Giant Stellar Nursery

 


NGC 604 : Giant Stellar Nursery


- Image Credit : NASA, ESA, CSA, STScI


나선 은하 M33 의 나선팔에 위치하며 지구에서의 거리는 약 300만 광년 정도 되는 성운 NGC 604 를 촬영한 사진이다.
M33 은 우리 은하와 함께 같은 국부 은하군에 속해 있으며, Triangulum Galaxy 라고도 알려져 있는 은하이다.
성운 NGC 604 는 우리 국부 은하군 내에서 두 번째로 큰 별 생성 영역으로, 폭이 약 1300 광년이나 되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거대 별 생성 영역인 오리온 성운 보다도 100배나 더 크다.
참고로, 우리 국부 은하군에서 가장 큰 별 생성 영역은 대마젤란운 (Large Magellanic Cloud)에 위치한 30 Doradus (Tarantula Nebula) 이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통해 적외선 촬영된 이 사진에서 NGC 604 가 동굴같은 버블 형태와 공동 (空洞) 등으로 가득차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버블 형태와 공동 (空洞) 등은 200개가 넘는 뜨겁고 거대한 젊은 별들로부터 방출되는 강력한 항성풍에 의해 깎여 만들어졌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25.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24일 수요일

Dragon's Egg Bipolar Emission Nebula

 


Dragon's Egg Bipolar Emission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Rowan Prangley


남쪽 직각자 자리 (Norma) 방향으로 약 3600 광년 거리에 있는 발광 성운 NGC 6164 를 촬영한 사진이다.
성운의 중심에는 HD 148937 로 등록되어 있는 엄청나게 거대한 별이 있는데, 이 중심별은 굴의 진주나 신화에 나오는 용이 지키는 알에 비유되기도 한다.
중심별 HD 148937 은 매우 뜨거워서 별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이 주변의 가스들을 가열하는데, 이들 가스는 동반성과의 중력 상호 작용에 의해 이전에 중심별에서 방출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방출된 물질들은 중심별의 자기장에 의해 이동되어 대칭의 양극성 성운 형태를 만들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성운 NGC 6164 는 폭이 약 4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24.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23일 화요일

...

조금 전에 <김창옥쇼2>를 봤다.
본방인지 재방인지 잘 모르겠는데, 우연히 8년째 치매 어머니를 모시는 아들 사연을 봤다.
어머니 댁에 가서 어머니와 같은 방에서 잠을 자며 모시는 것 같다.
어머니 침대 옆 바닥에 이불 깔고 같이 잠을 자는 모양이다.
어머니는 이제 자식도 잘 못 알아본다고 한다.
아내를 집에 두고 어머니에게 가서 같이 잠을 자고 다음날 출근하는 일상을 유지한다고 한다.

감정이입이 너무 되서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났다.
계속 보기 힘들어 다시 컴퓨터 앞에 앉았다.
요즘은 나도 어머니에게 "근데, 거기는 이름이 뭐요?"라는 소릴 듣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아들인 줄 모르고 그저 어머니를 돌보러 온 사람이라 생각하는 것 같다.
물론, 그러다가도 또 정신이 돌아오면 제대로 다 알아보신다.

나도 어머니와 같이 안방에서 잠을 잔다. 바닥에 이불을 깔고...
어머니의 불안 증세가 너무 심해서 같이 안자면 어머니께서 불안에 견디지 못한다.
그러다보니 어머니가 새벽에 화장실을 가거나, 기침을 하거나, 잠꼬대를 할 때마다 잠에서 깬다.

김창옥쇼에 나온 사연자의 이야기를 들으며 자연스럽게 나의 생활이 오버랩 되었다.
사연자 분도 참 힘들겠구나 하는 마음이 든다.
갑자기 TV를 보다가 이 글을 적는데, 마음이 무겁다.


2024년 4월 21일 일요일

Perijove 16: Passing Jupiter


Perijove 16 : Passing Jupiter


- Video Credit & License : NASA, Juno, SwRI, MSSS, Gerald Eichstadt;
- Music : The Planets, IV. Jupiter (Gustav Holst); USAF Heritage of America Band (via Wikipedia)


이 영상은 목성 탐사선인 NASA의 주노 탐사선 (Juno spacecraft)이 목성을 지나면서 촬영한 이미지들로 만든 영상이다.
2016년 중반에 목성에 도착한 주노 탐사선은 한 달 주기의 길게 늘어진 궤도를 계속해서 돌고 있는데, 이 영상은 16번째로 근목점 (목성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지나면서 촬영된 것이다.
각각의 근목점은 목성 구름 상층부의 약간씩 다른 곳을 지나가는데, 색상이 강화된 이 영상은 21개의 JunoCam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만들었고, 125배 time-lapse 로 보여주고 있다.
영상은 주노 탐사선이 목성의 북쪽으로 접근하면서 시작되며, 목성에 가장 가까이 갔을 때는 목성 구름 상층부로부터 약 3500 km 지점이었는데, 놀랄만큼 자세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주노 탐사선은 이렇게 근접 비행을 하면서 지구의 허리케인 보다도 더 큰 수많은 소용돌이치는 원형 폭풍 뿐만 아니라 목성을 두르고 있는 밝은 영역과 어두운 구름대 등을 지났다.
또한, 조금씩 멀어지면서 돌고래 형태의 구름도 볼 수 있고, 근목점을 지나면서 목성 남쪽의 특이한 구름들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주노 탐사선이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목성에 너무 가깝게 지나면서 탐사선의 장비들이 매우 높은 수준의 방사선에 노출되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21.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20일 토요일

Diamonds in the Sky

 


Diamonds in the Sky


- Image Credit & Copyright : Wright Dobbs


이번에도 지난 4월 8일 개기 일식을 촬영한 사진이다.
미국 아칸소 (Arkansas)주 중북부 지역에서 촬영된 이 사진에서는 개기 일식에서 나타나는 다이아몬드 현상을 볼 수 있는데, 3개의 일식 사진 중에 위와 아래에 있는 사진에서 나타나고 있다.
마치 반지 고리에 달린 다이아몬드가 빛나는 것처럼 보여서 diamond ring 이라고 하는데, 달의 뒤에서 태양이 사라졌다 나타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또한, 가운데 사진에서는 멋진 태양 코로나를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20.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19일 금요일

The Great Carina Nebula

 


The Great Carina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Demison Lopes


용골 자리 (Carina) 방향으로 약 7500 광년 (8500 광년이라는 설명도 있음) 거리에 있는 Great Carina Nebula 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NGC 3372 로 등록되어 있는 Carina Nebula 는 폭이 300 광년 이상으로, 우리 은하에서 가장 큰 별 생성 영역 중 하나이다.
보다 더 작으면서 더 북쪽에 있는 오리온 성운 (Great Orion Nebula)과 마찬가지로 Carina Nebula 도 육안 관측이 가능하지만, 오리온 성운보다 5배나 더 멀리 있다.
사진에서는 성간 가스로 이루어진 빛나는 필라멘트와 어두운 우주 먼지 구름 등을 놀랄만큼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Carina Nebula 는 젊고 엄청나게 무거운 별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중엔 여전히 수수께끼같은 변광성인 Eta Carinae 가 있다.
Eta Carinae 는 우리 태양 질량의 100배가 훨씬 넘는 별이며, 사진에서 보면 중심부에 V자형으로 어두운 영역이 있는데 그 바로 위에 있는 밝은 별이다.
그리고, Eta Carinae 의 바로 오른쪽에 있는 작고 어두운 부분은 Keyhole Nebula (NGC 3324)이며, 차가운 분자와 먼지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19.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18일 목요일

Facing NGC 1232

 


Facing NGC 1232


- Image Credit & Copyright : Neil Corke


남쪽 에리다누스 (Eridanus) 자리 방향으로 약 47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거대 나선 은하 NGC 1232 를 촬영한 사진이다.
지름이 거의 200000 광년이나 되는 거대한 은하인 NGC 1232 는 지구에서 봤을 때 이처럼 정면으로 보인다.
아주 자세하게 촬영된 이 사진을 보면, 오래된 별들로 이루어진 은하의 중심부는 노란빛으로 보이고, 바깥으로 향하는 나선팔을 따라 푸른빛의 젊은 성단들과 분홍빛의 별 생성 영역 등을 볼 수 있다.
또한, NGC 1232 의 왼쪽으로 바로 옆에 아주 작은 동반 은하가 있는데, 이 은하는 막대 나선 은하로 NGC 1232A 로 등록되어 있다.
하지만, 이 작은 동반 은하는 추정된 거리가 거의 3억 광년이나 되어서, NGC 1232 와는 별다른 상호작용을 하고 있지 않다.
한편, 사진 왼쪽에 있는 십자 형태로 스파이크 빛을 보여주는 별은 NGC 1232와 아무 관련 없고 우리 은하에 속한 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18.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17일 수요일

Total Eclipse and Comets

 


Total Eclipse and Comets


- Image Credit & Copyright : Lin Zixuan (Tsinghua U.)


이 사진은 지난 4월 8일 북미에서 있었던 개기 일식 동안 개기 일식과 혜성이 함께 촬영된 사진이다.
원래 개기 일식 동안 볼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었던 혜성 12P/Pons-Brooks 는 예상보다 너무 희미해서 실망스러웠고,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던 혜성 SOHO-5008 이 장시간 카메라 노출을 통해 촬영되었다.
혜성 SOHO-5008 은 ESA (유럽 우주국)와 NASA (미국 항공 우주국)의 공동 프로젝트로 발사된 태양 관측 위성인 SOHO (Solar and Heliospheric Observatory) 탐사선이 촬영한 이미지에서 확인된 5008번째 혜성이다.
크기가 훨씬 작은 혜성인 SOHO-5008 은 태양을 아주 가까이 지나다보니 몇 시간만에 분해되었는데, 이렇게 태양에 아주 가까이 지나는 혜성을 sungrazer 또는 sungrazing comet 이라 한다.
이처럼 개기 일식 중에 두 개의 혜성이 촬영되는 것도 특이한 경우인데, 태양을 아주 가까이 지나는 혜성을 지상에서 촬영한 것도 보기 드문 일이라 한다.
또한, 이 사진에서는 개기 일식과 태양 코로나, 두 개의 혜성 뿐만 아니라, 수성과 금성도 볼 수 있다.
그런데, 개기 일식 중에 많은 사람들이 쉽게 볼 수 있었던 것은 금성 뿐이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17.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16일 화요일

세월호 참사 10주기

 


- 이미지 출처 : 세월호참사 10주기 위원회 (https://10thcyclecommittee.org/)



Filaments of the Vela Supernova Remnant

 


Filaments of the Vela Supernova Remnant


- Image Credit : CTIO, NOIRLab, DOE, NSF, AURA; 
- Processing : T. A. Rector (U. Alaska Anchorage), M. Zamani & D. de Martin (’s NOIRLab)


약 11000년 전에 돛 자리 (Vela) 방향에서 초신성 폭발이 있었는데, 이 사진은 그 초신성 폭발의 잔해를 촬영한 것이다.
초신성 폭발 당시 살았던 인류는 아마도 별빛이 새로 나타났다가 얼마 후 사라진 것을 볼 수 있었을 것이다.
이때의 초신성 폭발로 인해 별의 외곽층이 성간 물질 속으로 날아가 충돌했고 그로 인해 충격파를 만들었는데, 현재도 이 충격파를 볼 수 있으며, 위의 사진이 가시광선 영역에서 촬영된 필라멘트 형태의 거대한 충격파이다.
또한, 폭발한 별에서 날아간 가스들은 방사성 붕괴를 겪고 다른 성간 물질들과 반응하면서 다양한 색상과 에너지 대역의 빛을 만들어냈다.
한편, Vela 초신성 잔해 (Vela Supernova Remnant)의 중심에는 폭발 후 펄서 (pulsar)가 남았는데 이 펄서는 핵 물질 만큼 밀도가 높은 별이며 1초에 10회 이상 회전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16.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15일 월요일

The Cigar Galaxy from Hubble and Webb

 


The Cigar Galaxy from Hubble and Webb


- Image Credit : NASA, ESA, CSA, STScI, Alberto Bolatto (UMD)


큰곰 자리 (Ursa Major, the Great Bear) 방향으로 약 12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Cigar Galaxy 를 촬영한 사진이다.
왼쪽 사진은 허블 우주 망원경이 가시광선 영역에서 촬영한 것이고, 오른쪽 사진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적외선 영역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사진은 왼쪽 허블 우주 망원경 사진에서 은하 중심부 사각형 영역을 촬영한 것이다.
M82 로 등록되어 있는 Cigar Galaxy 에서는 붉은 빛을 내는 가스와 먼지가 은하 중심에서 뿜어져 나오고 있는데, 이것이 흔치 않은 현상인 모양이다.
최근에 이웃하고 있는 나선 은하 M81이 근처를 지나면서 Cigar Galaxy 가 확실히 영향을 받긴 했지만, 이것이 은하에서 내뿜어지는 붉은 가스를 설명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연구 결과, 은하 내 많은 별들에서 방출되는 입자풍 (항성풍)들이 서로 결합하여 거대한 은하풍 (galactic superwind)이 만들어져 이로 인해 은하의 물질들이 밖으로 밀려나가는 것이라 한다.
한편,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연구한 결과, 은하에서 내뿜어지는 붉은 빛의 먼지들이 뜨거운 플라즈마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15.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14일 일요일

간병...


어머니가 이제 나를 못 알아보는 횟수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요즘은 매일 몇번씩 알아보지 못한다.
설명을 해도 이해하지 못하는 눈치다.

많이 지친다.
6년전부터 부모님 두 분을 간병하다가 아버지는 돌아가시고 어머니만 돌본 지 이제 4년째인데, 어느덧 나도 체력이나 정신적으로 힘에 부친다.
잠을 제대로 못자고, 운동도 하지 않다보니 늘 피곤하고 여기저기 아픈 곳이 많다.
버티고는 있는데, 참 쉽지 않다.
물론, 경제적인 문제도 만만치 않다.
주변에서는 어머니를 요양원에 보내라고 하는데, 아직 그러고 싶지는 않다.
언젠가 집에서 모시는 것 보다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에 가시는 것이 어머니를 위해 더 좋은 선택이 될 상황이 되면 보내겠지만, 아직은 아닌 것 같다.

지난 주에 친구가 했던 말이 생각난다.
"그러다 너 큰일 난다."


2024년 4월 12일 금요일

Total Totality

 


Total Totality


- Image Credit & Copyright : Daniel Korona


이번에도 4월 8일에 있었던 개기 일식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번엔 멕시코의 두랑고 (Durango)에서 촬영되었으며, 약 3분 46초 동안 지속되었다.
개기 일식을 통해 달 그림자 둘레에 나타나는 태양 빛이 마치 구슬처럼 빛나는 Baily's beads 현상을 볼 수 있으며, 태양 둘레로는 분홍빛의 홍염도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12.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11일 목요일

Eclipse in Seven

 


Eclipse in Seven


- Image Credit & Copyright : Xiaofeng Tan


이번 4월 8일에 있었던 북미의 개기 일식을 촬영한 사진이다.
미국 버몬트 (Vermont)주 뉴포트 (Newport)에서 촬영된 이 사진은 7개의 시퀀스로 이루어져 있는데, 왼쪽 상단에서 시작해서 오른쪽 아래로 진행되고 있다.
사진에 담긴 일식의 전체 단계는 약 3분 26초 동안 지속되었으며, 중앙에 있는 달에 완전히 가려진 사진에서 멋진 태양 코로나를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11.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8일 월요일

The Changing Ion Tail of Comet Pons-Brooks

 


The Changing Ion Tail of Comet Pons-Brooks


- Image Credit & Copyright : Shengyu Li & Shaining


현재 근일점을 향해 다가오고 있는 혜성 12P/Pons–Brooks 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위에서부터 아래로, 3월 6일부터 14일까지 9일 동안의 모습을 담은 사진인데, 각각의 모습에서 혜성의 이온 꼬리가 다양하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어떤 날에는 꼬리가 길고 복잡하게 보일 때도 있고, 어떤 날은 또 그렇지 않다.
이렇게 혜성 꼬리가 변하는 이유는 혜성의 핵에서 방출되는 물질의 속도나 태양풍의 세기와 복잡성, 그리고 혜성의 회전 속도 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지구에서의 시점 또한 그 이유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혜성에서 방출되는 가스가 태양풍에 밀려 나가기 때문에 혜성 꼬리의 방향은 태양의 반대 방향이다.
한편, 혜성 12P/Pons–Brooks 는 4월 8일에 있을 개기 일식 중 한낮에 볼 수 있는 보기 드문 혜성이 될 것 같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08.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6일 토요일

Unwinding M51

 


Unwinding M51


- Image Credit & Copyright : Data - Hubble Heritage Project, Unwinding - Paul Howell


이 사진은 2005년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나선 은하 M51 의 사진을 디지털 변환 작업을 통해 펼쳐놓은 것이다.
지름이 60000 광년 정도 되는 M51 은 그 나선팔들이 로그 나선 (logarithmic spiral)이라 알려진 수학적 곡선을 따라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은하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나선팔이 기하학적 방식으로 감겨 있는 상태이다.
M51 의 중심에 대해 허블 망원경 이미지의 픽셀 좌표를 이동시키기 위해 로그를 적용해보면 은하의 나선팔들이 사진처럼 대각선 방향으로 펼쳐진다.
이렇게 펼쳐진 사진을 보면, 나선팔을 따라 분홍빛의 별 생성 영역과 푸른빛의 젊은 성단 등이 줄지어 있어 별이 만들어지고 있다.
사진 상단에 위치한 동반 은하 NGC 5195 가 그 앞에 있는 나선팔의 궤적을 변형시키는 것으로 보여지긴 하지만, NGC 5195 자체는 M51 의 디지털 변환 작업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진 않고 있다.
스피라 미라빌리스(Spira mirabilis) 라고도 알려진 로그 나선 (logarithmic spiral)은 자연계 모든 영역에서 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허리케인이나 bubble chamber 내의 원자보다 작은 입자들의 움직임, 그리고 콜리플라워 (cauliflower) 등에서도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06.html 이곳에서...

참고로, 로그 나선 (logarithmic spiral)과 bubble chamber에 대한 자료는 아래 사이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로그 나선 (logarithmic spiral) ; 
https://en.wikipedia.org/wiki/Logarithmic_spiral

bubble chamber ; 
https://en.wikipedia.org/wiki/Bubble_chamber


2024년 4월 5일 금요일

콜롬비아 엘 베르겔 워시드 (Colombia El Vergel washed) - 더 반 커피

 


콜롬비아 엘 베르겔 워시드
(Colombia El Vergel washed)

더 반 커피
(The Barn Coffee)


- origin : Tolima, Colombia
- producer : Elias, Shady Bayter
- 재배 고도 : 1450 m
- 품종 : Caturra
- 가공 방식 : washed

- cup note : Orange, Syrup, Nectarine


이번엔 오랜만에 더 반 커피 (The Barn Coffee)에서 원두를 구매해봤다.
리스트에 올라와 있는 커피들이 다들 괜찮아 보였는데, 콜롬비아의 cup note 에 오렌지가 있길래 상큼할 것 같아서 골라봤다.
그런데, 그 상큼함이 생각보다 조금 아쉬웠다.

처음 분쇄를 하고 향을 맡아볼 때는 오렌지와 자두, 베리 같은 기분좋은 느낌의 과일 향들과 과일 사탕 같은 뉘앙스도 있어서 좋았는데, 이상하게 날이 지날 수록 이런 과일 향들 보다는 숙성된 과일 같은 뉘앙스가 점점 더 강해졌다.
추출 후의 느낌도 비슷했지만, 분쇄 커피에 비해 과일 향들이 많이 약하게 느껴졌고, 분쇄 커피와 마찬가지로 날이 지날 수록 숙성된 과일 같은 뉘앙스가 점점 강해졌고 쿰쿰한 느낌까지 있었다.

이런 느낌들은 마실 때에도 비슷한 패턴이었다.
처음엔 오렌지, 자두, 베리 같은 과일들이 느껴졌다. 그렇지만, 그리 강하진 않았고 또한 생각보다 밝지도 않았다.
그런데, 역시나 여러번 마실 수록 점점 더 숙성된 과일 같은 느낌이 강해졌고 쿰쿰한 느낌도 있었다.
단맛은 부드러운 편이어서 괜찮았지만, 상큼함은 평범한 수준이었다.
입안에서의 촉감도 부드러운 편이었는데, 다만 진하게 추출했을 때는 제법 묵직하게 느껴졌다.
숙성된 과일의 느낌은 다 마시고 난 후에도 길게 여운이 남았는데, 상큼함의 부족이 내내 아쉬움으로 남았다.
보통 "은은한 산미"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상큼함이었던 것 같다.


The Solar Corona Unwrapped

 


The Solar Corona Unwrapped


- Image Credit & Copyright : Peter Ward (Barden Ridge Observatory)


이 이미지는 개기 일식 때의 태양 코로나 촬영 사진을 직선으로 풀어 펼쳐 놓은 것으로, 둥근 원 모양을 직사각형 형태로 만들고 두 개의 코로나 사진을 거울처럼 맞물려 보여주고 있는 이미지다.
이렇게 펼쳐 놓음으로서 태양 코로나의 변화를 자세히 볼 수 있는데, 아래에 있는 이미지는 지난 2017년 미국 와이오밍 (Wyoming)주 잭슨 홀 (Jackson Hole)에서 관측된 개기 일식 동안의 코로나이고, 위의 이미지는 2023년 서호주의 엑스머스 (Exmouth)에서 관측된 개기 일식 동안의 코로나이다.
2017년 개기 일식 때는 태양의 11년 활동 주기 중 태양 극소기에 가까웠고, 2023년은 태양 극대기에 가까웠다.
이 때문에 아래, 위 두 개의 코로나 이미지가 많이 다르게 보여지는데, 2023년 태양 극대기에 가까웠던 시기의 코로나가 더 많은 코로나 띠와 더 많은 분홍빛의 홍염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태양 코로나는 개기 일식 동안 완전히 달에 가려져 있을 때에만 쉽게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05.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4일 목요일

Comet Pons-Brooks at Night

 


Comet Pons-Brooks at Night


- Image Credit & Copyright : Dan Bartlett`


3월 30일, 미국 캘리포니아 June Lake 밤하늘, 서쪽 지평선 바로 위에 떠 있는 혜성 12P/Pons-Brooks 의 모습이다.
뒤틀린 난류 이온 꼬리와 확산된 녹색의 머리 부분을 보여주는 혜성 위로 Alpha Arietis 로도 알려져 있는 노란 별 Hamal 이 자리하고 있다.
현재 혜성 12P/Pons-Brooks 는 4월 21일에 도달할 근일점을 향해 움직이고 있고, 북미에서 개기 일식이 일어나는 4월 8일에는 낮에도 볼 수 있다.
개기 일식 동안 혜성을 보려면 당연히 개기 일식이 일어나는 그 길목에 있어야 하며 태양의 코로나와 일식으로 가려진 태양에서는 시선을 돌려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04.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3일 수요일

Unusual Nebula Pa 30

 


Unusual Nebula Pa 30


- Image Credit : NASA, ESA, USAF, NSF;
- Processing : G. Ferrand (U. Manitoba), J. English (U. Manitoba), R. A. Fesen (Dartmouth), C. Treyturik (U. Manitoba);
- Text : G. Ferrand & J. English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 자리 방향에 위치한 성운 Pa 30 을 촬영한 사진이다.
Pa 30 의 필라멘트들이 신성 (예 : GK Per)이나 행성상 성운 (예 : NGC 6751)에 의해 만들어지는 필라멘트들과 비슷하게 보이기는 하지만, 그렇진 않고 초신성 폭발에 의해 만들어졌다.
Pa 30 은 1181년에 나타났던 guest star 와 같은 방향에 있어서, 몇몇 천문학자들은 그해 있었던 초신성 폭발 SN 1181 의 잔해라 주장하고 있는데, 위키피디아 같은 곳에서는 그냥 SN 1181 의 잔해로 명시되어 있다.
참고로, guest star 는 별이 보이지 않던 곳에서 갑자기 나타났다가 얼마 후에 다시 보이지 않게 되는 별을 지칭하는 말이다.
초신성 SN 1181 은 단순히 하나의 별이 폭발하여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쌍성계를 이루고 있는 두 개의 백색 왜성이 서로 나선형으로 합쳐지면서 폭발을 일으킨 경우인데, 이렇게 쌍성계를 이루는 별들 중 최소한 하나의 별이 백색 왜성이면서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유형을 Type Iax 초신성 이라 하며, 이 초신성 폭발 이후에 살아남게 된 백색 왜성을 zombie star 라 한다.
사진 속에서 중심에 있는 파란 별이 아마도 zombie star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한편, 이 사진은 적외선, 가시광선, X-ray 망원경들을 이용해 얻은 이미지와 데이터들을 합성하여 만들어졌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03.html 이곳에서...


2024년 4월 2일 화요일

Detailed View of a Solar Eclipse Corona

 


Detailed View of a Solar Eclipse Corona


- Image Credit & Copyright : Phil Hart


지난 2023년 4월 20일, 개기 일식 동안 호주의 Exmouth 에서 촬영된 태양 코로나의 모습이다.
보통은 태양 코로나의 자세한 모습이나 극단적인 밝기를 촬영하는 것이 어려운 일인데, 이 사진은 여러 이미지들과 디지털 보정 작업을 통해 얻게 되었다.
사진에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태양의 뜨거운 가스와 자기장 혼합물의 복잡한 층 (layers)과 빛나는 caustics 를 볼 수 있다고 하는데, 여기서 caustics 는 빛이 반사나 굴절되어 다른 대상에 맺히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 같다.
또한, 태양 가장자리에서는 분홍빛의 홍염도 볼 수 있다.
한편, 북미에서 이번 4월 8일에 있을 개기 일식에서도 이와 비슷한 태양 코로나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02.html 이곳에서...

같은 장면을 촬영한 포스팅을 지난 2023년 5월 16일에도 올렸었는데, 이때도 호주 Exmouth 에서 촬영되었으며 사진 또한 비슷하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3103971207


2024년 4월 1일 월요일

Swirling Magnetic Field around Our Galaxy's Central Black Hole

 


Swirling Magnetic Field around Our Galaxy's Central Black Hole


- Image Credit : EHT Collaboration


이 사진은 우리 은하의 중심에 있는 블랙홀 Sagittarius A* (Sgr A*)에서 방출되는 편광 (polarized light)을 클로즈업 하여 보여주는 사진이다.
촬영은 Event Horizon Telescope (EHT) Collaboration 에 참여하는 전 세계의 전파 망원경을 통해 이루어졌고, 그 데이터를 이미지화하여 보여주고 있다.
이 관측을 통해, 블랙홀의 소용돌이치는 자기화된 원반이 물질을 빨아들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최근에 블랙홀의 강착 원반 (accretion disk)이 자기화된 소스와 관련된 편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강착 원반 (accretion disk)은 강한 중력장을 가진 천체를 둘러싼 성간(星間) 물질의 고리를 의미하며, 편광 (polarized light)은 자기장 또는 전기장의 진동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만 나타나는 빛을 의미한다.
사진에서 중첩된 곡선들은 소용돌이치는 자기화된 가스로부터 방출되는 편광을 나타내는데, 이들 편광은 400만 태양 질량 이상인 블랙홀로 곧 빨려 들어가게 될 것이다.
여기서 태양 질량은 천체의 질량 단위로 우리 태양의 질량을 의미한다.
반면, 사진의 중심부는 우리와 어두운 event horizon (블랙홀의 바깥 경계면) 사이에 발광 가스가 거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어둡게 보일 것이라 한다.
한편, 우리 은하와 M87 의 블랙홀에 대한 지속적인 EHT 탐사가 블랙홀의 중력과 빨려들어가는 물질들이 어떻게 원반과 제트를 생성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401.html 이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