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월 5일 금요일

Shackleton from ShadowCam

 


Shackleton from ShadowCam


- Image Credit : NASA, ShadowCam,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Arizona State University


이 사진은 지난 2022년 8월에 발사된 우리 나라의 달 탐사선인 다누리 호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KPLO))가 촬영한 사진이다.
촬영한 곳은 달 남극에 위치한 Shackleton 크레이터인데, 지름이 21km 에 이르는 주변 봉우리는 햇빛을 받고 있지만, Shackleton 크레이터의 바닥은 영구적으로 햇빛을 받지 않는 곳이다.
하지만, 주변 지형이 햇빛을 반사하면서 그로인해 빛을 받기는 한다.
Shackleton 크레이터의 그늘진 테두리 벽과 바닥을 촬영한 이 사진은 다누리 호에 탑재된 NASA의 ShadowCam에 의해 촬영되었는데, ShadowCam은 예전의 달 정찰 궤도선 (Lunar Reconnaissance Orbiter)의 Narrow Angle Camera 보다 약 200배 정도 감도가 좋으며, 달 표면의 영구 음영 지역을 촬영하기 위해 설계된 카메라이다.
햇빛을 직접 받지 않는 영구 음영 지역은 고대 혜성 충돌에 의해 축적된 얼음 형태의 물과 다른 휘발성 물질들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미래 달 탐사에 있어 유용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한편, 사진 상단에 화살표로 표시된 것은 Shackleton 크레이터의 벽을 따라 굴러 내려온 단일 바위에 의해 만들어진 자국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05.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3일 수요일

Centaurus A : A Peculiar Island of Stars

 


Centaurus A : A Peculiar Island of Stars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co Lorenzi, Angus Lau & Tommy Tse; 
- Text : Natalia Lewandowska (SUNY Oswego)


켄타우루스 (Centaurus) 자리 방향으로 약 12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 NGC 5128 을 촬영한 사진이다.
Centaurus A 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이 은하는 밤하늘에서 5번째로 밝은 은하이며, 중심의 활동성 은하핵에는 우리 태양보다 질량이 5500만 배나 되는 거대 블랙홀이 자리하고 있다.
블랙홀에서는 전파 영역과 X-ray 영역 모두에서 볼 수 있는 제트 (jet)가 빠르게 방출되고 있으며, 제트의 필라멘트들이 사진의 왼쪽 상단 방향으로 붉은 색으로 보여지고 있다.
그리고, 은하의 모습을 보면 뒤틀린 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는 과거에 나선 은하와 타원 은하가 충돌하여 합쳐진 결과이다.
은하에서는 오직 중력만이 별과 먼지, 성간 가스와 별의 잔해, 그리고 암흑물질까지 함께 뭉치게 만들 수 있다.
한편, Event Horizon Telescope 에 의한 새로운 관측은 제트가 오직 그 가장자리 방향으로만 밝아진다는 것을 밝혀냈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 바가 없고 계속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인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03.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2일 화요일

케냐 시루우 AA (Kenya Sirwo Estate AA) - 베르크 커피

 


케냐 시루우 AA
(Kenya Sirwo Estate AA)

베르크 커피
(Werk Coffee Roasters)


- 지역 : 키테일 (Kitale)
- 재배 고도 : 1600 ~ 1800 m
- 품종 : Ruiru11, Batian, SL28, SL34
- 가공 방식 : washed

- tasting note : tomato, blackcurrent, brown sugar


이번 커피는 부산에 있는 베르크 커피에서 주문해봤다.
베르크 커피에서는 처음 주문해보는 건데, 커피를 먹어보니 아주 괜찮았다.
테이스팅 노트에 '토마토'라고 적혀 있어서 호기심에 주문해봤고, 흥미롭게도 정말 토마토나 토마토 소스 같은 향미가 느껴졌다.

원두 봉투를 열어보고 원두가 너무나 깔끔해서 조금 놀랐다.
로스팅 후에도 원두 관리를 하는건지 모르겠지만, 깔끔한 상태가 참 좋았다.
그리고, 분쇄하자마자 느껴지는 토마토 향이 흥미로웠다.
어찌보면, 스파게티에 들어가는 토마토 소스 같은 느낌이었는데, 커피에서 이런 향이 느껴진다는 것이 재밌었다.
다만, 이 향은 날짜가 흐를수록 조금씩 약해져서 일주일 쯤 후에는 느끼기 어려웠는데, 그래도 드문 드문 느껴지긴 했다.
그밖에 나는 자몽 향도 느꼈고, 전체적으로 과일향이 상큼하고 진득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또한, 견과의 고소함도 있었고, 단향은 부드러우면서도 뚜렷하게 느껴졌다.

추출커피에서도 비슷했는데, 역시나 토마토 소스 같은 느낌과 자몽 뉘앙스가 있었고, 과일향이 상큼하면서 과일 쥬스나 과일즙 같은 뉘앙스로 느껴지기도 했다.
고소함과 단향도 비슷하게 느껴졌다.

이런 향들이 마실 때에도 거의 그대로 느껴졌는데, 전체적으로 과일 향미가 아주 상큼하게 다가와 상큼한 과일의 신맛이 좋았다.
그 속에서 자몽이나 토마토 같은 뉘앙스가 느껴졌지만, 이런 개별적인 향미 보다는 과일 쥬스 같은 상큼함이 크게 다가왔다.
단맛도 워낙 좋아서 부드러우면서도 아주 강하게 느껴져서 다 마시고 난 후에도 과일의 상큼한 신맛과 더불어 오래도록 남았다.
그러고보면, 과일의 신맛과 단맛의 조화가 아주 좋은 커피 아니었나 싶다.
아, 그리고 하나 더 덧붙이자면, 입안에서의 촉감도 아주 좋았다.
부드러우면서도 매끄러운 느낌이 비단결 같다고 해야할까. 보통 이런 경우 silky 라는 표현을 쓰는 것 같다.

전체적으로 어느 요소 하나 빠지는 것이 없이 대체로 만족할만한 커피였다.
다만, 날짜가 지날수록 토마토 뉘앙스가 조금 약해지긴 했지만, 이런 개별적인 항목 보다 종합적인 면에서 과일의 상큼한 신맛과 단맛이 아주 좋은 커피였다.


2023년 5월 1일 월요일

Carina Nebula North

 



Carina Nebula North


- Image Credit & Copyright : Carlos Taylor


용골 자리 (Carina, the Keel) 방향으로 약 8500 광년 거리에 있는 Carina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은 Carina Nebula 중에서도 가장 북쪽 부분을 아주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Carina Nebula 는 오리온 성운 (Great Orion Nebula) 보다도 더 크고 더 밝은 별 생성 영역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덜 유명하다.
이유는 Carina Nebula 가 남반구에서 관측이 가능한데 대부분의 인류가 북반구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암튼, 사진을 보면, 왼쪽 하단에 작은 산개 성단 (NGC 3324)을 둘러싸고 있는 빛나는 가스의 발광 성운 (IC 2599)으로 구성된 Gabriela Mistral Nebula 가 위치하고 있고, 사진 중심부 바로 위쪽에 더 큰 산개 성단인 NGC 3293 가 자리하고 있다.
또한, NGC 3293 의 오른쪽엔 발광 성운 Loden 153 이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사진에는 Carina Nebula 의 가장 유명한 구성원이 보이지 않는데, 그것은 바로 Eta Carinae 로 알려진 별이다.
이 별은 사진에서 보이지 않지만, 사진 바깥 오른쪽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Eta Carinae 는 한때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중 하나였고, 앞으로 수백만년 내에 초신성 폭발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01.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2년 1월 31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거의 같고 사진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636035139


2023년 4월 30일 일요일

Saturn's Moon Helene in Color

 


Saturn's Moon Helene in Color


- Image Credit : NASA, JPL-Caltech, SSI; 
- Processing : Daniel Macháček


지난 2012년 토성 탐사선인 카시니 탐사선 (Cassini spacecraft)이 촬영한 토성의 위성 Helene 의 모습이다.
전례없이 세밀하게 촬영된 이 사진을 보면, 일반적인 크레이터와 언덕들을 볼 수 있긴 한데, 그밖에 비정상적으로 매끄럽고 줄무늬가 있는 지형도 볼 수 있다.
행성 천문학자들이 이 30km 짜리 떠다니는 빙산 덩어리인 Helene 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실마리를 얻기 위해 이 사진을 연구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Helene 이 특이한 점이 또 있는데, 그것은 토성의  둘레를 돌 때, 또다른 토성의 위성인 Dione 바로 앞에서 돌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으로 보아, Helene 이 중력적으로 평형 지점인 라그랑주 포인트 (Lagrange point)에 위치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참고로, 라그랑주 포인트 (Lagrange point)는 질량이 작은 천체가 질량이 더 큰 두 개의 천체의 중력 영향 하에 있을 때, 어느쪽으로도 움직이지 않는 평형 상태의 지점을 일컫는다.
토성에는 이처럼 라그랑주 포인트에 위치하며 궤도를 돌고 있는 위성이 4개 있으며, 이들을 trojan moons 이라 부른다.
토성 위성 중 Tethys 와 Dione 가 각각 2개의 trojan moons 을 갖고 있으며, Tethys 에는 Telesto 와 Calypso 가, Dione 에는 Helene 와  Polydeuces 가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30.html 이곳에서...


2023년 4월 28일 금요일

Runaway Star Alpha Camelopardalis

 


Runaway Star Alpha Camelopardalis


- Image Credit : André Vilhena


기린 자리 (Camelopardalis, the Giraffe) 방향으로 약 4000 광년 거리에 있는 초거성 Alpha Camelopardalis 를 촬영한 사진이다.
Alpha Camelopardalis 는 우주 공간을 빠른 속도로 질주하고 있는 별로, 보통 "Runaway Star"라고 하는데, 우리 말로는 "도망성, 또는 폭주성" 정도 되지 않을까 싶다.
이 별은 약 60 km/s 의 속도로 우주 공간을 질주하고 있어서, 지나가는 길목에 있는 성간 물질들을 압축하고, 사진에서처럼 호 형태의 bow wave 또는 bow shock 을 만드는데, 이것도 번역을 하자면, '선단 충격파' 정도 될 것 같다.
Alpha Camelopardalis 는 우리 태양 질량의 25 ~ 30 배 정도되는 질량을 갖고 있으며, 태양보다 5배 정도 더 뜨겁고 (30000 kelvins), 태양보다 500000 배 이상 더 밝은 별이다.
또한, 강한 항성풍을 내뿜고 있으며, 별이 만드는 선단 충격파는 별에서부터 약 10 광년 정도 떨어져 있다.

무엇이 이 별을 이렇게 움직이게 했는지에 대해 천문학자들은 몇몇 추정을 내놓았는데, 하나는 근처에 있는 젊고 뜨거운 별들로 이루어진 성단에 속해 있다가 성단 내 다른 별들과의 중력 상호작용으로 떨어져 나오게 된게 아닐까 하는 것이고, 다른 추정으로는 동반성의 초신성 폭발로 인해 튕겨 나오게 된 것 아닌가 하는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28.html 이곳에서...


2023년 4월 27일 목요일

The Tarantula Nebula from SuperBIT

 


The Tarantula Nebula from SuperBIT


- Image Credit : SuperBIT, NASA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인 대마젤란운 (Large Magellanic Cloud, LMC) 내에 위치한 Tarantula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30 Doradus 라고도 알려져 있는 Tarantula Nebula 는 황새치 자리 (Dorado) 방향으로 거리가 160000 광년 정도이며, 지름이 1000 광년이 넘는 거대한 별 생성 영역인데, 우리 국부 은하군 전체에서 가장 크고 가장 격렬한 별 생성 영역이다.
또한, Tarantula Nebula (NGC 2070) 는 중심에 R136 이라는 젊은 성단이 있는데, 이 성단으로부터 강력한 복사에너지와 항성풍, 그리고 초신성 충격파 등이 방출되면서 성운의 빛을 밝게 만들고 거미줄 처럼 생긴 필라멘트들을 만든다고 한다.
그밖에 Tarantula Nebula 주변에는 젊은 성단과 필라멘트, 그리고 버블 형태의 구름들로 이루어진 또다른 별 생성 영역이 위치하고 있다.

한편, 이 사진은 SuperBIT (Super Pressure Balloon Imaging Telescope)을 이용해 촬영한 것이며, SuperBIT 은 Super pressure balloon 이라는 기구에 탑재된 0.5 m 망원경이다.
과학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지상 108000 feet (약 33km)에서 떠다니고 있는 Super pressure balloon 은 천체 관측에도 활용되는데, 이 사진이 첫번째 결과물인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27.html 이곳에서...


2023년 4월 25일 화요일

...

 
"헌신적이고 사려깊은 시민들로 구성된 소집단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 의심하지 마라.
사실 그것만이 세상을 바꾸는 유일한 힘이다."

- 마거릿 미드

- <뉴필로소퍼 vol.10> 중에서...


2023년 4월 24일 월요일

The Medulla Nebula Supernova Remnant

 


The Medulla Nebula Supernova Remnant


- Image Credit & Copyright : Kimberly Sibbald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 자리 방향에 위치한 초신성 폭발 잔해인 Medulla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CTB-1 또는 Abell 85, LBN 576 등으로도 불리는 Medulla Nebula 는 약 10000년 전에 폭발한 별의 잔해로, 팽창하는 가스 껍질이다.
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별은 그 중심핵 부근에서 핵융합을 위해 압력을 안정화시키는 요소들이 고갈되어서 폭발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리고, 남은 잔해가 바로 Medulla Nebula 인데, 그 모습이 마치 사람 뇌를 닮았다 하여 이런 별칭을 갖게 되었다.
Medulla Nebula 는 주변 성간 가스와의 충돌로 인해 만들어진 열 때문에 아직도 가시광선 영역에서 빛을 내고 있으며, 또한 X-ray 영역에서도 빛을 내고 있는데, X-ray 영역에서 빛을 내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하나의 가설로, 강력한 펄서 (pulsar)가 바깥쪽으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항성풍으로 성운에 동력을 공급하고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
이 가설에 따라, 초신성 폭발로 인해 1000km/s 이상의 속도로 방출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 펄서 (pulsar)가 전파 영역에서 최근 발견되었다.
한편, Medulla Nebula 는 비록 크기는 큰 편이지만, 워낙 희미해서 관측이 어려운데, 이 사진도 캐나다 앨버타 (Alberta) 주 Seven Persons 에 위치한 망원경을 이용해 장시간 노출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24.html 이곳에서...


2023년 4월 22일 토요일

NGC 1333 : Stellar Nursery in Perseus

 


NGC 1333 : Stellar Nursery in Perseus


- Image Credit : Science - NASA, ESA, STScI, Processing - Varun Bajaj (STScI), Joseph DePasquale (STScI), Jennifer Mack (STScI)


페르세우스 (Perseus) 자리 방향으로, 별을 만들고 있는 거대한 분자 구름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거리는 약 1000 광년 떨어져 있는 반사 성운 NGC 1333 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허블우주망원경 33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공개된 이 사진에서 NGC 1333 이 성간 먼지에 의해 반사된 별빛에 의해 푸르게 보이고 있다.
그 폭이 1광년이 조금 넘는 이 사진에서는 Herbig-Haro objects 에서 방출되는 붉은 빛, 그리고 최근 만들어진 별들에서 방출되는 제트 (jets)와 빛나는 가스 등과 함께 먼지로 이루어진 지역의 세부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Herbig-Haro objects 는 새로 태어나는 별과 관련된 천체인데, 새로 태어나는 별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제트가 주변 가스와 먼지 구름 등을 충돌, 가열하여 성운 모양으로 빛나는 천체를 말한다.

사실, NGC 1333 은 만들어진 지 100만년도 안된 수백 개의 별들을 지니고 있는데, 넓게 퍼져있는 먼지 때문에 대부분 광학 관측이 어려운 상태이다.
이러한 혼돈스런 환경은 우리 태양이 45억년 전 만들어질 때와 비슷한 상황이라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22.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1년 11월 11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거의 비슷하고 사진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565487858


2023년 4월 21일 금요일

Solar Eclipse from Western Australia

 


Solar Eclipse from Western Australia


- Image Credit & Copyright : Gwenaël Blanck


어제 4월 20일 호주 서부 North West Cape 에서 관측된 개기 일식의 모습이다.
위에서부터 차례로 일식의 처음과 중간, 마지막 단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렇게 개기 일식이 일어난 시간은 겨우 62초 정도였다고 한다.
이번 개기 일식은 달의 그림자가 완벽하게 태양을 가려 그 테두리가 고리처럼 보이는 annular-total eclipse 또는 hybrid solar eclipse 였다.
첫번째 사진과 마지막 사진에서는 테두리를 따라 태양의 홍염과 구슬같은 태양빛을 볼 수 있으며, 가운데 사진에서는 활동적인 태양의 멋진 코로나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일식은 보통 월식과 쌍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데, 다가오는 5월 5일에는 부분 월식이 있을 예정이라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21.html 이곳에서...


2023년 4월 20일 목요일

The Dark Seahorse in Cepheus

 


The Dark Seahorse in Cepheus


- Image Credit & Copyright : Jeff Herman


케페우스 (Cepheus) 자리 방향으로 약 1200 광년 거리에 있는 암흑 성운 Seahorse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수많은 밝은 별들을 배경으로 그 실루엣을 보여주고 있는 Seahorse Nebula 는 우리 은하 분자 구름의 일부이다.
20세기 초 천문학자 E. E. Barnard 가 182개의 암흑 성운들 목록을 만들었는데, 그중 Seahorse Nebula 는 Barnard 150 (B150)으로 등록되어있다.
Seahorse Nebula 내부에서는 질량이 적은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는데, 이 별들의 중심핵이 붕괴되는 모습은 장적외선 파장에서만 관측이 가능하다고 한다.
하지만, 케페우스 자리 방향으로 보이는 다채로운 별들이 이 멋진 장면을 채워주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20.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이 포스팅을 2019년 10월 24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687835557


2023년 4월 19일 수요일

Auroral Storm over Lapland

 


Auroral Storm over Lapland


- Image Credit & Copyright : Juan Carlos Casado (Starry Earth, TWAN)


핀란드 북부 라플란드 (Lapland) 지역 Saariselkä 에서 촬영된 멋진 오로라의 모습이다.
활발해진 태양 활동으로 인해 지자기 폭풍이 발생해 이와같은 오로라가 만들어졌는데, 놀랍게도 태양 코로나 질량 방출 (CME ; Coronal Mass Ejection) 이 하루 전 지구를 비켜갔기 때문에 이와 같은 오로라를 만들 것이라 예상하지 못했었다.
예보에도 불구하고 이번 오로라는 북쪽 밤하늘 뿐만 아니라 미국의 뉴멕시코 주 (New Mexico) 같은 남쪽에서도 관측되었다.
광각으로 촬영된 이 사진은 놀랍도록 세밀하고, 다양한 색을 지니며, 넓은 하늘을 덮고 있는 밝은 오로라를 보여주고 있는데, 생생한 노란색과 녹색, 빨간색과 보라색 들은 지구 대기 상층부에서 산소와 질소 원자들이 전자와 반응하여 만들어졌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19.html 이곳에서...


2023년 4월 17일 월요일

ELVES Lightning over Italy

 


ELVES Lightning over Italy


- Image Credit & Copyright : Valter Binotto


지난 3월 말 이탈리아 Ancona 에서 촬영된 ELVES 번개의 모습이다.
흔히 번개라 하면 구름 사이에서 밝고 흰 빛이 번쩍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지난 50여년에 걸쳐 다른 유형의 번개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대기 상층부에서 발생하는 번개 유형으로 red sprites 와 blue jets 등의 현상이 있으며, 이보다 덜 알려져 있고 촬영이 어려운 다른 유형의 상층 대기 번개가 있는데, 그것이 ELVES 이다.
ELVES 는 하전된 구름에서 위로 솟구치는 전자기 펄스 (electromagnetic pulse)가 전리층과 충돌할 때 만들어지며 이때 질소 분자가 빛을 내게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사진 속 ELVES 번개는 상공 약 100km 에서 만들어졌으며 반경은 약 350km 정도였는데, 지속 시간이 0.001초 정도 밖에 안되는 현상이어서, 수년간의 경험과 초고속 촬영이 필요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17.html 이곳에서...

참고로, red sprites 와 blue jets 에 대한 관련 페이지를 함께 올려본다.
red sprites - https://apod.nasa.gov/apod/ap210330.html
blue jets - https://apod.nasa.gov/apod/ap160823.html


2023년 4월 16일 일요일

4.16.


9년이 흘렀다.
기억하고 잊지않겠다고는 하지만, 정권은 다시 그 정권이다.
9년이 지난 지금 국가는 그때와 다른가 ?
대중이, 사회가, 국가가 정말 잊지 않고 있는걸까 ?


2023년 4월 15일 토요일

When Z is for Mars

 



When Z is for Mars


- Image Credit & Copyright : Tunc Tezel (TWAN)


이 사진은 지구에서 봤을 때, 화성의 움직임이 거꾸로 가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촬영한 것이다.
마치 영어의 "Z" 자 처럼 움직인다고 제목을 이렇게 만든 것 같다.
이런 모습은 2년마다 나타나는 현상인데, 이 사진의 경우는 2022년 8월 중순부터 2023년 3월말까지의 움직임을 일주일 간격으로 촬영하여 합성한 것이다.
사진에서 화성은 황소 자리 (Taurus)를 지나면서 플레이아데스 (Pleiades) 성단과 하이아데스 (Hyades) 성단 사이를 가로질러 가며 "Z"자 모양을 그리며 움직이고 있다.
당연히 화성이 실제로 이렇게 역행하는 건 아니고, 화성이 움직이는 동안 지구도 자체적인 궤도 운동을 하다보니 이렇게 보여지는 것이다.
이런 역행 운동은, 지구가 태양에 가까이 있기 때문에 더 멀리있는 행성들 보다 빨리 움직여서, 지구보다 태양에서 더 멀리 있는 행성들을 추월하고 앞서갈 때마다 볼 수 있다.
사진의 중심 근처인 12월 8일에 북반구 하늘 높이 떠있는 화성은 태양 반대편에 있었고, 지구에 가장 가깝고 가장 밝았다.
그리고, 화성 근처에서 2월 10일과 2월 16일 이틀 동안 혜성 ZTF (C/2022 E3)도 관측되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15.html 이곳에서...


2023년 4월 14일 금요일

Portrait of NGC 3628

 


Portrait of NGC 3628


- Image Credit & Copyright : Mike Selby & Mark Hanson


사자 자리 (Leo) 방향으로 약 35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NGC 3628 을 촬영한 사진이다.
지구에서 봤을 때, 이렇게 옆으로 보여서 어두운 먼지층이 은하를 가로지르는 것 같은데, 이런 모습 때문에 Hamburger Galaxy 라는 별칭을 갖고 있기도 하다.
사진에서는 그밖에 NGC 3628 아래에 작은 은하도 볼 수 있는데 NGC 3628 의 위성 은하로 추정되고 있으며, 매우 희미하지만 기다란 조석 꼬리 (tidal tail)도 일부 볼 수 있다.
NGC 3628 의 조석 꼬리는 아주 길어서 길이가 약 300000 광년이나 되는데, 사진에는 담기지 않았지만 왼쪽 방향으로 길게 뻩어있다.
또한, NGC 3628 은 사자 자리의 다른 나선 은하들인 M65, M66 과 함께 Leo Triplet 을 이루고 있으면서 서로 중력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이러한 중력 상호작용 때문에 은하 원반의 넓게 퍼진 현상과 뒤틀림 그리고 조석 꼬리 (tidal tail) 등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NGC 3628 의 폭은 약 10000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14.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0년 6월 5일과 2022년 4월 29일에도 올렸었는데,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990469664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715877524


2023년 4월 13일 목요일

NGC 2419 : Intergalactic Wanderer

 


NGC 2419 : Intergalactic Wanderer


- Image Credit : ESA/Hubble, NASA, S. Larsen et al.


삵괭이 자리 (Lynx) 방향으로 약 300000 광년 거리에 있는 구상 성단 NGC 2419 의 모습을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이다.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인 대마젤란운 (Large Magellanic Cloud)의 거리가 약 160000 광년 정도인 걸 생각해보면, NGC 2419 는 굉장히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멀리 있다보니 원래는 Omega Centauri 같은 거대한 구상 성단과 비슷하게 아주 밝은 성단임에도 불구하고 희미하게 보이고 있고, 우리 은하의 외곽 halo를 돌아다니고 있는 다른 구상 성단들과의 특성 비교라든가 기타 연구에 있어서 어려움이 많다고 한다.
"은하계 방랑자 (Intergalactic Wanderer)"라고 불리기도 하는 NGC 2419 는 우리 은하 너머 다른 곳에서 온 것으로 보이는데, 성단이 우주 공간에서 움직이는 것을 측정한 연구에 따르면, NGC 2419 가 한때는 궁수자리 왜소 구상 은하 (Sagittarius dwarf spheroidal galaxy)에 속했었고, 또 다른 작은 위성 은하가 훨씬 더 큰 우리 은하와 반복적으로 만나게 되면서 붕괴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13.html 이곳에서...



2023년 4월 12일 수요일

NGC 206 and the Star Clouds of Andromeda

 


NGC 206 and the Star Clouds of Andromeda


- Image Credit & Copyright : Howard Trottier


우리 이웃 은하인 안드로메다 은하의 나선팔에 자리잡고 있는 거대한 별무리 (stellar association)인 NGC 206 을 촬영한 사진이다.
참고로, stellar association 은 유사한 스펙트럼 형과 공통의 발생 기원을 가진 10 ~ 1000개의 생성 연대가 짧은 별들이 산재하여 몰려 있는 별무리이다.
NGC 206 는 또한 분홍빛의 별 생성 영역과도 함께하고 있는데, 이 사진에서는 중심에서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NGC 206 의 별들이 밝고 푸른 색을 띄고 있다는 것은 주로 젊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의미인데, 가장 젊은 별들은 나이가 1000만년도 안된 것들도 있다.
또한, NGC 206 은 우리 은하에 있는 젊은 별들로 이루어진 성단들 보다 훨씬 더 큰데, 폭이 약 4000 광년이나 된다.
이는 또다른 이웃 은하인 M33 (Triangulum Galaxy)의 NGC 604 나 대마젤란운 (Large Magellanic Cloud)에 있는 Tarantula Nebula 와 비슷한 크기이다.
한편, 안드로메다 은하는 M31 로도 알려져 있으며 거리는 약 250만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12.html 이곳에서...


컬러링 북...

 


어머니 색칠 공부 때문에 구매한 몇몇 컬러링 북들이다.
너무 복잡하고 어려운 것들은 제외하고 좀 단순하고 쉬운 책 위주로 선택해봤다.
물론, 만다라 책들은 그림들이 복잡하긴 한데, 규칙적으로 복잡한 그림이어서 어머니께서 하실 수 있지 않을까 싶어 함께 구매했다.
색칠 공부도 좋아하시다 싫증내시다 반복되고 있긴 한데, 요즘은 그나마 어느 정도 하시는 것 같아 이렇게 얇은 책들 몇권 골라봤다.
관심을 갖고 재밌어 하시면 좋겠는데 잘 될지 모르겠다.


2023년 4월 11일 화요일

North Star : Polaris and Surrounding Dust

 


North Star : Polaris and Surrounding Dust


- Image Credit & Copyright : Javier Zayaz


북극성 Polaris 와 그 주변의 먼지, 가스 등을 담은 사진이다.
원문에서는 Polaris 와 North Star 를 별개로 사용하고 있고, 사전을 찾아보면 두 용어 모두 '북극성'으로 번역되어 있어 구분이 어려운데, Polaris 는 그냥 영어 그대로 Polaris 로 하고, North Star 는 북극성으로 표기할까 한다.

Polaris 는 작은곰 자리 α 별로, 지구의 북쪽 자전축 방향에서 가장 가까운 밝은 별이어서 지구가 자전할 때 다른 별들이 Polaris 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처럼 보이고, Polaris 자체는 같은 북쪽 방향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남쪽 자전축 근처에는 밝은 별이 없어서 현재 밝은 South Star 는 없는 상태이다.
참고로, 수천년 전에는 지구 자전축의 방향이 지금과는 달라서 Vega (직녀성)가 북극성이었다.
Polaris 가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은 아니지만, 북두칠성의 컵 부분을 이루는 두 별과도 거의 정렬되어 있어서 그 위치를 찾기는 쉽다.
이 사진은 수백 장의 노출 이미지를 합성하여 만들었는데, 중심에 있는 별이 북극성 Polaris 이고, 주변에 보이는 먼지와 가스로 이루어진 것들이 Integrated Flux Nebula (IFN) 이다.
또한, 사진의 왼쪽 끝 부분에 구상 성단 NGC 188 이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는 NGC 188 이 구상 성단으로 적혀 있는데, 여기저기 찾아보면 NGC 188 이 산개 성단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아마도 산개 성단이 맞는 것 같은데, APOD 에서 왜 구상 성단이라고 했는지 잘 모르겠다.
한편, Polaris 는 Cepheid 변광성으로 며칠에 걸친 주기로 몇 % 정도씩 그 밝기가 변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11.html 이곳에서...


2023년 4월 10일 월요일

IC 2944 : The Running Chicken Nebula

 


IC 2944 : The Running Chicken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Daniel Stern


켄타우루스 (Centaur, Centaurus) 자리 방향으로 약 6000 광년 거리에 있는 성운 IC 2944 를 촬영한 사진이다.
폭이 약 100 광년 정도 되는 IC 2944 는 그 모습 때문에 Running Chicken Nebula 라는 별칭을 갖고 있으며, 성운의 빛나는 가스 내부에는 산개 성단 Collinder 249 가 자리하고 있다.
또한, 사진에서는 식별하기 어렵지만, 성운 내부에는 뚜렷한 모양을 지닌 몇몇 어두운 분자 구름들도 존재한다.
한편, 이 사진은 최근 3일 밤에 걸쳐 16시간 노출을 통해 촬영된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10.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0년 4월 21일에도 올렸었는데, 글의 내용에 있어서는 사진 촬영에 대한 내용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동일하고, 사진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919610028


2023년 4월 9일 일요일

The Egg Nebula in Polarized Light

 


The Egg Nebula in Polarized Light


- Image Credit : Hubble Heritage Team (STScI / AURA), W. Sparks (STScI) & R. Sahai (JPL), NASA


백조 자리 (Cygnus, the Swan) 방향으로 약 3000 광년 거리에 있는 Egg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 사진은 일반적인 광학 사진은 아니고, 2002년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것을 편광 방향을 강조하도록 렌더링한 것이다.
Egg Nebula 의 중심 별은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껍질을 우주 공간으로 날려 버리면서 서서히 백색 왜성으로 바뀌고 있고, Egg Nebula 는 폭이 1 광년 정도 되는 행성상 성운 전단계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하지만, 중심 별은 두터운 먼지층 때문에 관측이 어렵고, 더 멀리 있는 먼지 껍질들은 중심 별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하고 있다.
먼지 알갱이, 중심 별, 관찰자 각각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서 진동하는 빛이 우선적으로 반사되어 편광 (polarization)이라고 하는 현상을 일으키는데, 이러한 편광 방향을 측정하여 숨겨진 중심 별의 위치를 찾는 단서를 얻게 된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09.html 이곳에서...


2023년 4월 7일 금요일

Rigel Wide

 


Rigel Wide


- Image Credit : Rheinhold Wittich


오리온 자리의 구성 별 중 하나인 Rigel 과 그 주변을 촬영한 사진이다.
Rigel 은 푸른 빛을 띄는 초거성으로, 사냥꾼 오리온의 발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오리온 자리의 beta 별인 Beta Orionis 이다.
푸른 빛을 띄는 Rigel 은 같은 오리온 자리를 구성하고 있는 또다른 초거성인 노란 빛의 Betelgeuse 보다 훨씬 더 뜨거운 상태이며, 두 초거성 모두 결국에 가서는 핵 붕괴 초신성 폭발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참고로, Betelgeuse 는 오리온 자리의 alpha 별인 Alpha Orionis 이다.
Rigel 은 지구에서 약 860 광년 거리에 있으며, 당연히 우리 태양보다 더 뜨거우며 태양 반경의 74배 정도까지 확장되는데, 그러니까 Rigel 을 태양 위치에 갖다 놓으면 수성 궤도까지 이르게 된다.
사진에서 중앙에 있는 푸른 별이 Rigel 이며, 왼쪽 상단에 오리온 성운 (Orion Nebula)이 빛나고 있다.
그리고, Rigel 의 오른쪽 바로 옆에는 Rigel 의 푸른 빛을 받아 빛나고 있는 Witch Head Nebula 가 자리하고 있다.
한편, Rigel 은 다중성계에 속한 별이며, 그 동반성들은 아주 희미하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07.html 이곳에서...


2023년 4월 4일 화요일

Olympus Mons : Largest Volcano in the Solar System

 


Olympus Mons : Largest Volcano in the Solar System


- Image Credit : ESA, DLR, FU Berlin, Mars Express; 
- Processing & CC BY 2.0 License : Andrea Luck


현재 화성의 궤도를 돌고 있는 유럽 우주국 (European Space Agency)의 화성 탐사선에 의해 촬영된 화성의 화산 Olympus Mons 의 모습이다.
Olympus Mons 는 화성 뿐만 아니라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화산이며, 지구의 에베레스트 산 보다도 3배나 더 높다.
하지만, 경사가 완만하고 중력이 낮아서 사람이 오르기 어렵지 않을 것이라 한다.
하와이 화산대 보다도 훨씬 더 큰 지역을 덮고 있는 Olympus Mons 의 경사면은 한번에 몇 도 정도만 올라가며, 오래전 액체 용암에 의해 만들어진 거대한 방패형 화산이다.
상대적으로 정적인 표면 지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쌓여졌는데, 가장 최근의 화산 분출은 2500만년 전쯤으로 추정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04.html 이곳에서...


2023년 4월 3일 월요일

The Galactic Center Radio Arc

 


The Galactic Center Radio Arc


- Image Credit : Ian Heywood (Oxford U.), SARAO;


이 사진은 우리 은하 중심의 전파 구조를 보여주는 전파 이미지이다.
사진 윗 부분으로 기울어져 지나가는 기다란 평행 광선들이 보이는데, 이를 통칭하여 Galactic Center Radio Arc 라고 하며, Radio Arc 는 Arches 라고 알려져 있는 이상하게 구부러진 필라멘트에 의해 은하 중심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사진에서 오른쪽 아래에 아주 밝은 부분은 은하 중심의 블랙홀을 둘러싸고 있는 전파 구조이며 Sagittarius A* 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는 Sagittarius A* 를 우리 은하의 블랙홀이라고 하며 강력한 전파원이다.
Radio Arc 와 Arches 에 대한 하나의 기원 가설로, 일정한 자기장선을 따라 흐르는 뜨거운 플라즈마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Radio Arc 와 Arches 가 기하학적 구조를 갖고 있는 것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한편, NASA의 Chandra X-ray Observatory 가 관측한 이미지는 플라즈마가 근처의 차가운 가스로 이루어진 구름들과 충돌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아래에 올린 이미지에서 왼쪽 박스 안에 있는 푸른색 이미지가 Chandra X-ray Observatory 관측 이미지이다.



참고로, 관련 링크도 올려본다.
https://chandra.harvard.edu/photo/2002/gradioarc/index.html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03.html 이곳에서...


2023년 4월 2일 일요일

코스타리카 라 리아 디카페인 (CostaRica La Lia Decaffeine) - 커피 리브레

 


코스타리카 라 리아 디카페인
(CostaRica La Lia Decaffeine)

커피 리브레
(Coffee Libre)


- 마이크로 밀 (Micro Mill) : 라 리아 (La Lia)
- 농장주 : 루이스 알베르토 몬해 (Luis Alberto Monge)
- 지역 : 따라주, 산 로렌조 (San Lorenzo, Tarrazu)
- 재배 고도 : 2000 m
- 품종 : 카투아이 (Catuai)
- 가공 방식 : 마운틴 워터 프로세스 (Mountain Water Process)

- tasting note : 복숭아, 오렌지, 청포도, 꿀


이번에도 디카페인 원두를 주문해봤다.
커피 리브레의 디카페인인데, 지난 번 모모스 커피의 디카페인과는 가공 방식이 다르다.
그리고, 원두를 봤더니 모모스 커피의 디카페인 보다 조금 연한 색이었는데, 그래도 원두 표면에 기름은 많이 배어나와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도 역시나 독특한 향 때문에 조금 거부감이 들었다.
무슨 향인지는 모르겠는데, 향신료 같은 향이 분쇄할 때부터 다 마시고 난 후까지 거피의 향을 지배했다.
조금은 무거운 향이었는데 익숙치 않아서 그런지 좀 이상했다.
그밖에 화한 느낌의 향도 있었는데 역시나 정확히는 모르겠고, 과일향은 약하게 다가왔다.
일관되게 느껴진 것은 아니지만 뭔가 파인애플 같은 향이 스치듯 지나갔다.
또한, 고소함도 있었고, 단향도 있었는데 특별하진 않았고, 뭔가 건조한 느낌도 있었다.

향신료 같은 향은 계속 느껴졌는데, 이 향 이외에 드문 드문 다른 향들도 있었다.
추출 커피에서는 시나몬과 대추차 같은 뉘앙스도 있었는데, 마실 때에는 그다지 느껴지지 않았다.
마셔보니 무겁게 느껴진 향신료 같은 향 이외에 조금 화한 향도 있었고, 특히 꿀의 뉘앙스가 뚜렷히 느껴졌다.
꿀 뉘앙스는 처음 2~3일 정도 뚜렷히 느껴졌다가 그 뒤론 많이 약해지긴 했는데, 그래도 제법 뚜렷한 편이었다.
꽉 찬 느낌의 mouthfeel 또한 좋았고, 마시면서 느껴지는 단맛이 좋아 그 여운도 좋았다.

테이스팅 노트에는 복숭아, 오렌지, 청포도 같은 과일 향미를 적어놨는데, 난 거의 느끼지 못했다.
이 커피에서 어떻게 이런 과일 향미를 느꼈는지 잘 모르겠다.
지난 번 모모스 커피의 디카페인도 그렇고 과일의 상큼함을 느낄 수 없었던 것이 가장 아쉬웠다.
주변 커피집 사장님들께 물어보니 디카페인은 어쩔 수 없다고 한다.
또한, 평소의 분쇄도로 분쇄를 하면 입자가 더 가늘게 나오는지 추출을 해보면 물빠짐이 많이 느렸다.
이것도 물어보니 역시나 디카페인이라 그렇다고 한다. 
가공 방법 때문에 원두가 많이 약한 상태라 그렇다고 하는데, 암튼 디카페인은 내 취향은 아닌 것 같다.


2023년 4월 1일 토요일

NGC 2442 : Galaxy in Volans

 


NGC 2442 : Galaxy in Volans


- Image Credit & Copyright : Nicolas Rolland, Martin Pugh


날치 자리 (Volans, the flying fish) 방향으로 약 5000 만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 NGC 2442 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을 보면, NGC 2442 는 뒤틀린 형태를 하고 있으며, 뚜렷한 중심 막대에서 두 나선팔이 뻩어나가며 갈고리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어두운 먼지층과 젊고 푸른 성단들, 그리고 붉은 빛의 별 생성 영역 등이 보다 나이가 많은 별들로 이루어진 노란빛의 중심핵 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그런데, NGC 2442 의 모습을 보면, 오른쪽 위로 뻩은 나선팔에 별 생성 영역이 더 집중되어 있는데, 이렇게 은하가 뒤틀린 형태를 갖는 것은 아주 오래 전에 다른 은하와의 근접 조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사진에서 왼쪽 위에 보이는 작은 은하가 NGC 2442 와 만났던 바로 그 은하인데, 이 두 은하 사이의 거리는 약 150000 광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401.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7년 8월 17일과 2020년 8월 5일에도 올렸었는데, 글의 내용은 비슷하지만 아주 같지는 않고, 사진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076342319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051441299




2023년 3월 31일 금요일

Seeing Titan

 


Seeing Titan


- Image Credit : VIMS Team, U. Arizona, U. Nantes, ESA, NASA


구슬처럼 생긴 이것은 토성의 가장 큰 위성인 타이탄 (Titan)의 모습이다.
2004년 부터 2017년 까지 토성을 탐사했던 카시니 탐사선 (Cassini spacecraft)이 촬영한 것이다.
타이탄은 워낙 두꺼운 대기로 덮여있어 가시 광선 관측이 어렵다.
타이탄 상층 대기에 떠다니는 작은 입자들 때문에 가시 광선이 뚫고 들어갈 수 없고, 이들 작은 입자들이 가시 광선을 강하게 산란시키기 때문에 관측이 어려운 것인데, 사진에서 중앙에 놓인 노란색의 타이탄이 가시 광선 관측을 한 결과이다.
반면, 가시 광선 관측 이미지 둘레에 놓인 6개의 타이탄 사진들은 적외선 촬영을 한 것이다.
카시니 탐사선에 탑재되어 있던 Visual and Infrared Mapping Spectrometer (VIMS)을 이용해 13년 동안 적외선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했던 모양이다.
그리고, 그 결과로 지금까지 관측된 것 중 가장 선명한 타이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적외선은 타이탄 대기에 의한 산란도 약하고 대기 흡수도 감소되어 이런 사진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타이탄에 대한 NASA 의 혁신적인 회전 날개 항공기 임무가 2027년 발사될 예정이라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31.html 이곳에서...


2023년 3월 30일 목요일

NGC 4372 and the Dark Doodad

 


NGC 4372 and the Dark Doodad


- Image Credit & Copyright : Matias Tomasello


파리 자리 (Musca, The Fly) 방향으로 약 700 광년 거리에 있는 암흑 성운 Dark Doodad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Coalsack Nebula 와 남십자성 (the Southern Cross) 바로 남쪽에 위치한 Dark Doodad Nebula 는 Musca molecular cloud (파리 자리 분자 구름)에 속하는데, 더 잘 알려져 있는 성운의 별칭 Dark Doodad 는 1986년 호주 오지에서 핼리 혜성 (Comet Halley)을 관측하던 천체 사진가이자 작가인 Dennis di Cicco 가 처음 만들어낸 말이다.
그리고, Dark Doodad Nebula 오른쪽 끝부분에 노란색으로 보이는 밝은 천체를 볼 수 있는데, 이는 NGC 4372 이라는 구상 성단이다.
NGC 4372 는 실제로는 우리 은하의 외곽 halo에 위치하고 있고 거리가 약 20000 광년이나 되는데, 이렇게 Dark Doodad Nebula 와 함께 보이는 것은 그저 우연히 같은 관측 방향에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Dark Doodad Nebula 의 길이는 약 30여 광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30.html 이곳에서...


2023년 3월 29일 수요일

Sh2-308 : A Dolphin Shaped Star Bubble

 


Sh2-308 : A Dolphin Shaped Star Bubble


- Image Credit & Copyright : Aleix Roig (AstroCatInfo)


큰개 자리 (Canis Major) 방향으로 약 5000 광년 거리에 있는 성운 Sh2-308 을 촬영한 사진이다.
그 모습이 마치 돌고래 머리를 닮았다 하여 Dolphin-Head Nebula 라는 이름도 갖고 있는 이 성운은 그 중심에 강력한 Wolf-Rayet star 가 있으며, 이 별에서 빠른 속도로 뿜어져 나오는 입자풍 (particle winds)이 이런 모습의 성운을 만들게 되었다.
보통 Wolf-Rayet star 는 우리 태양 질량의 20배가 넘는 질량을 지니고 있으며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입자풍 (particle winds)을 방출하면서 자신의 질량을 잃고 있는 별인데, Sh2-308 의 경우는 성운의 폭이 약 60 광년 정도이고 만들어진 지는 약 70000 년 정도 되었다.
사진에서 봤을 때, 성운의 Wolf-Rayet star 는 성운 내에서 오른쪽에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이 아니고, 성운 중심에 푸르스름하게 흰빛을 내는 작은 별이다.
한편, 사진 왼쪽 끝에 붉은 빛을 내는 구름이 있는데, 이 구름의 빛과 그 형태 또한 성운 Sh2-308 의 Wolf-Rayet star 에서 방출된 빛에 의해 만들어졌을 수도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29.html 이곳에서...


2023년 3월 27일 월요일

Aurora Over Arctic Henge

 



Aurora Over Arctic Henge


- Image Credit & Copyright : Cari Letelier


아이슬란드 (Iceland) 북부 Raufarhöfn 에 있는 Arctic Henge 하늘 위로 펼쳐져 있는 오로라를 촬영한 사진이다.
지난 달 말 해가 진 후에 촬영되었는데, 태양 플레어 (solar flare) 에 의해 이렇게 오로라가 발생한 모양이다.
참고로, 태양 플레어 (solar flare) 는 태양면에서의 자기장 폭발 현상이라고 한다.
사진은 정남향으로 보이는데, Arctic Henge 자체가 이미 별들에 정렬되어 있고, 그 일부는 한쪽은 정확히 북쪽을 향하고 있고 다른 쪽은 정확히 남쪽을 향하고 있다.
사진에서는 오로라 뿐만 아니라 그 뒤로 여러 별자리도 볼 수 있는데, 북극성인 Polaris 가 사진의 맨 위에 위치하고 있고, 큰곰 자리 (the Great Bear, Ursa Major)는 사진 중앙에서 약간 왼쪽에 있으며, 오리온 자리는 사진 오른쪽 가장 아래에서 볼 수 있다.
하늘을 밝히고 있는 인상적인 오로라는 빨강, 분홍, 노랑, 녹색 등의 아름다운 색상으로 빛나고 있는데, 때론 한번에 여러 색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27.html 이곳에서...


2023년 3월 26일 일요일

Wanderers

 



Wanderers


- Video Credit : Visuals: Erik Wernquist; 
- Music : Christian Sandquist; 
- Words & Voice : Carl Sagan


이 영상은 실제 공간 이미지와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가상 이미지를 합성하여 만든 영상이다.
사진이든 영상이든 가상으로 만든 것을 잘 올리지 않는 편인데, 이 영상을 올리는 이유는 딱 한 가지다.
바로 칼 세이건 박사의 목소리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영상에서는 미래에 인류가 토성의 고리 사이를 떠다니며 탐사하고, 근처 우주선에서 목성을 탐험하며, 천왕성의 위성에서는 낮은 중력을 이용해 높은 절벽에서 뛰어 내리기도 하는 모습들이 담겨 있다.
아무도 미래를 알 수 없지만, 물리적, 지적 경계를 넘어서는 방랑과 탐험은 인류 정신의 일부이며 과거에 인류에게 자주 도움이 되었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26.html 이곳에서...


2023년 3월 24일 금요일

Outbound Comet ZTF

 


Outbound Comet ZTF


- Image Credit & Copyright : Rolando Ligustri


지난 1 ~ 2월에 걸쳐 태양과 지구에 가장 가까이 왔었던 혜성 C/2022E3 (ZTF) 가 이제 돌아가고 있는 모양이다.
2월 1일, 지구와 가장 가까웠던 때의 거리가 2.3 광분 (light-minutes) 이었는데, 지금은 거의 13.3 광분 (light-minutes) 거리를 지나고 있다.
3월 21일에 촬영된 이 사진에서 혜성 C/2022E3 (ZTF) 은 여전히 녹색의 머리 부분과 넓고 하얀 먼지 꼬리를 보여주고 있다.
밤하늘에서 봤을 때, 오리온 자리의 별인 Rigel 에서 멀지 않은 곳을 지나고 있는 혜성 C/2022E3 (ZTF) 주변에 희미한 먼지 성운들과 먼 배경의 은하들을 볼 수 있으며, 에리다누스 (Eridanus) 자리 방향인 이곳에서 우리 은하에 속한 많은 별들 또한 볼 수 있다.
한편, 내부 태양계로 향하고 있는 혜성의 궤도에 목성의 중력이 영향을 줘서 혜성이 다시 돌아올 수 없게 될 수도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24.html 이곳에서...


2023년 3월 23일 목요일

Spiral Galaxy NGC 2841

 


Spiral Galaxy NGC 2841


- Image Credit & Copyright : Roberto Marinoni


큰곰 자리 (Ursa Major) 방향으로 약 46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NGC 2841 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 속에는 NGC 2841 뿐만 아니라 전경에 스파이크 모양 (spiky) 의 빛을 내고 있는 별과 배경에 보다 멀리 있는 다른 은하들도 담겨 있는데, 당연히 스파이크 빛을 내는 별은 우리 은하에 속해있는 별이다.
NGC 2841 의 모습을 보면, 중심에 밝은 핵을 볼 수 있고, 기울어진 은하 원반 그리고 희미한 외곽 지역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고르지 않으면서 조밀하게 감겨 있는 나선팔을 따라 먼지층과 작은 별 생성 영역, 젊은 성단 등이 자리하고 있다.
일반적인 나선 은하들은 보다 넓은 간격을 유지하는 나선팔과 보다 더 큰 별 생성 영역 등을 갖추고 있는데 반해, NGC 2841 은 그 크기에 비해 나선팔의 간격이 좁고 별 생성 영역이 작다.
참고로, NGC 2841 의 지름은 약 150000 광년이나 되어서 우리 은하보다도 크다.
한편, X-ray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거대 항성들의 엄청난 물질 유출과 항성 폭발 등으로 인해 만들어진 뜨거운 가스 기둥들이 은하의 외곽 halo 로 퍼지고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23.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2년 3월 3일에도 올렸었는데, 글의 내용은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비슷하고 사진은 다르다.
https://apod.nasa.gov/apod/ap220303.html


2023년 3월 22일 수요일

M31 : The Andromeda Galaxy

 


M31 : The Andromeda Galaxy


- Image Credit & Copyright : Abdullah Al-Harbi


우리 은하의 이웃 은하인 안드로메다 은하를 촬영한 사진이다.
거리가 200만 광년이 넘는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천체이다.
하지만, 망원경이 없다면 이 거대한 은하도 희미한 성운처럼 보인다.
1920년대 Harlow Shapley 와 Heber D. Curtis 라는 두 학자가 우주의 규모 등에 대해 토론을 한 일이 있는데, 이것이 유명한 "Shapley-Curtis debate of 1920" 이다.
이때 Curtis 는 우주가 우리와 같은 많은 은하들로 구성되었다고 주장한 반면, Shapley 는 우주는 하나의 거대한 은하이고 그 안에 여러 성운들이 있다고 했던 모양이다.
암튼, 그래서 안드로메다 은하도 그전까지는 성운으로 알고 있었던 것 같은데,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밝은 중심 핵과 어두운 먼지층, 푸른 나선팔, 붉은 발광 성운 등을 볼 수 있다.
안드로메다 은하까지의 거리는 1920년대에, 밝기가 변하는 각각의 별들을 분석한 관측에 의해 결정되었고, 그 결과 안드로메다가 우리 은하와 같은 은하이며, 우주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넓다는 결론을 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22.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6년 12월 28일과 2022년 1월 19일에도 올렸었는데, 사진과 글의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0896462637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626250866


2023년 3월 21일 화요일

Dark Nebulae and Star Formation in Taurus

 


Dark Nebulae and Star Formation in Taurus


- Image Credit & Copyright : Vikas Chander


황소 자리 (Taurus)의 황소 자리 분자 구름 (Taurus molecular cloud)에 있는 몇몇 밝은 별들과 어두운 먼지로 이루어진 암흑 성운들을 촬영한 사진이다.
어두운 먼지들은 파도나 잔물결 같은 모양을 하고 있거나 먼지 토끼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더 중요한 것은 이곳에 성간 가스가 중력 수축을 통해 별을 만들 수 있을 만큼 충분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진 중심에는 근처 별에서 빛을 받아 밝게 보이는 구름이 있는데, 이 구름에는 유명한 성운 뿐만 아니라 아주 젊고 거대한 별이 자리하고 있다.
밝은 구름 속에서 빛나고 있는 별은 T Tauri 라는 별이고, 성운은 Hind's Variable Nebula 이다.
별과 성운 모두 밝기가 아주 드라마틱하게 변하고 있는 변광성과 변광 성운인데, 그렇다고 별과 성운의 밝기가 동시에 변하는 것은 아니다.
T Tauri 와 함께 이와 비슷한 다른 별들은 현재 우리 태양과 같은 별로 알려져 있는데, 태어난 지 불과 수백만 년도 되지 않아서 여전히 별 생성 초기 단계이다.
한편, 이곳은 플레이아데스 성단 (Pleiades star cluster)에서 멀지 않은 곳이며, 거리는 약 40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21.html 이곳에서...

참고로 이와 관련된 다른 포스팅도 링크해 놓았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644382756


2023년 3월 20일 월요일

콜롬비아 카우카 디카페인 (Colombia Cauca Decaffeine) - 모모스 커피

 


콜롬비아 카우카 디카페인
(Colombia Cauca Decaffeine)

모모스 커피
(Momos Coffee)


- 지역 (region) : Cauca
- 농장 (estate) : Several farms
- 품종 (variety) : Caturra, Castillo etc.
- 재배 고도 (altitude) : 1550 ~ 1700 m

- tasting note : 자몽, 다크초콜렛, creamy


오랫동안 커피를 마시면서 처음으로 디카페인을 주문해봤다.
내가 커피를 접한 것이 2007년 부터인데, 그 당시 경험한 디카페인 커피들에 대한 인식이 워낙 안 좋아서 아예 먹어볼 생각도 안 했었다.
어쩌다보니 건강상 이유로 이렇게 되었는데, 먹어보니 여전히 내 취향은 아니지만 먹을만은 했다.

처음에 원두를 보고 조금 놀랐다.
이 정도로 강하게 로스팅을 했을 것이라고 생각 못했는데, 원두 색도 그렇고 원두 표면에 배어있는 기름도 그렇고 전혀 생각지 못했던 로스팅 포인트였다.
보통 이 정도로 로스팅한 커피들에게서 나는 특유의 향들이 있는데, 예상대로 그런 향들이 있었다.
봉투를 열자마자 양념간장 같은 향이 느껴졌다.
이 향은 분쇄하고 추출하고 마실 때까지 계속 되었고, 그와 함께 건어물의 짭조름한 향이나 달짝지근한 향미들도 꾸준히 느껴졌다.
하지만, 이런 향들만 있었던 건 아니고, 허브향이나 향신료 같은 향이 하나 있었는데, 이 또한 예전 경험에 비추어 볼때 조금 강하게 볶은 커피에서 많이 느껴졌던 향들이었다.
뭔가 밝은 듯 하면서도 화한 느낌인 듯한 알 수 없는 향이 하나 있는데, 나는 이 향미를 장점으로 생각하며 커피를 즐기는 편이다.
그리고, 드문 드문 아주 약한 과일향을 느낄 수 있었는데 큰 의미를 둘 정도는 아니었고, 대체로 쌉싸름하거나 쓴맛도 나타나는 편이었다.
다만, 모모스 커피의 추출 가이드 대로 하게 되면 좀더 부드러워지는 경향은 있었다.
나는 추출 방식을 조금씩 달리 해보는 걸 좋아하다 보니 매번 모모스 커피의 가이드를 따르지는 않았는데, 대체로 따르는게 마시기 편하게 나온다.
특히 물 온도는 반드시 모모스 가이드를 따르는게 좋다. 
로스팅 포인트를 낮게 하는 커피들을 내리듯이 높은 온도로 내리면 당연히 쓴맛이 뚜렷해진다.

이번 커피가 내 취향의 커피는 아니었지만, 좋아하는 분들도 많은 걸 보면 나름 매력이 있는 커피일 것이라 생각한다.

* 사족 : 처음에 원두 상태를 보면서 고노 드리퍼를 꺼내야 할까 생각도 잠시 했었지만, 그만두었다. 오래전 고노 드리퍼나 융 드리퍼에 점드립을 하던 모습들이 떠올랐다.


2023년 3월 19일 일요일

Equinox at the Pyramid of the Feathered Serpent

 



Equinox at the Pyramid of the Feathered Serpent


- Image Credit & Copyright : Robert Fedez


지난 2019년 멕시코의 유카탄 반도 (Yucatán Peninsula)에 있는 El Castillo (사진 속 피라미드)에서 촬영한 은하수와 목성, 토성 등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은하수가 대각선 방향으로 내려오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마치 깃털달린 뱀이 내려오는 것이라고 원문에서는 표현했는데, 이런 장면을 포착하려면 춘분 즈음 맑은 날 늦은 오후 동안 이곳을 찾아야 한다.
이때 피라미드는 삼각형 그림자를 드리우며 사진처럼 은하수와 일체가 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참고로, 이 피라미드는 쿠쿨칸의 사원 (Temple of Kukulkan)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높이는 30m 이고 바닥의 폭은 55m 이며, 9 ~ 12 세기 사이 콜럼버스 이전 문명에 의해 일련의 정사각형 테라스로 지어졌다.
피라미드 구조로 봐서 일종의 달력 (또는 역법(曆法))으로 사용되었을 수 있고 천문학적 정렬 (하지, 동지, 춘분, 추분, 달의 위상 변화, 행성의 위치 변화 등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사진에서는 목성과 토성이 은하수에 걸쳐 있는 걸 볼 수 있고 더불어 안타레스 (Antares)도 불 수 있다.
안타레스는 전갈 자리의 알파별로 지름은 태양의 230배쯤 되고 질량은 태양의 12배쯤 되는 적색 초거성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19.html 이곳에서...


2023년 3월 18일 토요일

Wolf-Rayet 124

 


Wolf-Rayet 124


- Image Credit : NASA, ESA, CSA, STScI, Webb ERO Production Team


화살 자리 (Sagitta, the Arrow) 방향으로 약 15000 광년 거리에 있는 별 Wolf-Rayet 124 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James Webb Space Telescope)이 적외선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 중앙에 가장 크게 빛나고 있는 별이 Wolf-Rayet 124 인데, 6개의 스파이크 (spike) 패턴을 보이는 것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18개 육각 거울이 만들어내는 이미지 특징이다.
Wolf-Rayet 124 는 우리 태양보다 30배 이상 질량이 큰 별인데, 우리 은하의 거대 항성 진화 단계 중 짧고 희귀한 단계에서 만들어진 격렬한 성운을 갖고 있으며, 이 성운의 폭은 약 6광년이다.
이는 Wolf-Rayet 124 가 초신성 폭발로 인해 곧 죽게 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라 한다.
하지만, 이런 초신성 폭발을 통해 팽창하는 성운에서 만들어져 남게 된 성간 먼지들은 미래에 또다른 별을 만드는데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참고로, Wolf-Rayet star 는 무겁고, 밝으며 엄청난 항성풍이 몰아치는 별들인데, 보통 표면 온도가 아주 뜨거우며 (3만 ~ 20만 K) 강력한 항성풍 (2000 km/s 이상) 으로 인해 자신의 질량을 상실하고 있는 별들이다. (우리 태양이 태양풍으로 상실하는 질량의 약 10억배 정도를 상실한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18.html 이곳에서...


2023년 3월 17일 금요일

The Medusa Nebula

 


The Medusa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tin Bradley Chesterfield Astronomical Society


쌍둥이 자리 (Gemini) 방향으로 약 1500 광년 거리에 있는 Medusa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빛나는 가스로 이루어진 필라멘트들이 이리 저리 꼬여있고 뱀처럼 구불구불하여 Medusa Nebula 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는데, 공식적으로 Abell 21 이란 이름을 갖고 있으며, 아주 오래된 행성상 성운 상태이다.
행성상 성운은 우리 태양처럼 적은 질량을 가진 별들이 수명이 다해 그 마지막 단계에 이르렀을 때 나타나는 상태인데, 적색 거성이었던 별이 그 외곽층을 우주 공간으로 잃게 되고 뜨거운 백색 왜성이 된다.
이렇게 백색 왜성이 되면서 이 별에서 방출되는 강한 자외선이 성운을 빛나게 하는 것이다.
Medusa Nebula 에서는 밝은 초승달 형태의 중심부에 있는 희미한 별이 백색 왜성이다.
또한, 성운의 오른쪽 하단에서는 희미한 필라멘트들을 볼 수 있다.
한편, Medusa Nebula 의 폭은 대략 4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17.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1년 3월 26일과 2022년 3월 25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288699321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683008171


2023년 3월 16일 목요일

Millions of Stars in Omega Centauri

 


Millions of Stars in Omega Centauri


- Image Credit & Copyright : Neil Corke, Heaven's Mirror Observatory


지구에서 약 15000 광년 거리에 있는 구상 성단 Omega Centauri 를 촬영한 사진이다.
NGC 5139 로도 알려진 Omega Centauri 는 약 150 광년 지름 내에 우리 태양보다 나이가 많은 별들이 1000만 개 정도나 모여있고, 우리 은하의 halo 를 배회하는 200 여개의 알려진 구상 성단들 중에서 가장 크고 가장 밝은 성단이다.
대부분의 성단들은 그 안에 있는 별들의 나이나 구성 성분들이 같은데 반해, Omega Centauri 의 별들은 나이나 화학적 성분 등이 다른 다양한 항성 집단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천문학자들은 Omega Centauri 가 한때 작은 은하였지만 우리 은하와 합쳐지면서 남게 된 작은 은하의 중심부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한편, 사진에서 노란색으로 보여지는 별들은 적색 거성들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16.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지난 2019년 8월 24일과 2021년 6월 3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조금씩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627344348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383463346


2023년 3월 14일 화요일

W5 : The Soul Nebula

 


W5 : The Soul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José Jiménez (Astromet)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 자리 방향으로 약 6500 광년 거리에 있는 Soul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Westerhout 5 (W5) 라고도 알려진 Soul Nebula 에는 몇몇 산개 성단들도 있고, 우주 먼지로 인해 어둡게 보이는 산등성이 같은 부분과 먼지 기둥들도 있으며, 거대한 젊은 별의 항성풍에 의해 만들어진 거대한 버블 (bubble) 같은 것들도 있다.
이 사진은 다양한 색상의 사진을 합성한 것인데, 수소 가스와 황과 산소에 의해 방출된 빛이 각각 붉은 색, 노란색, 파란색으로 보여지고 있다.
한편, Soul Nebula 의 폭은 약 100 광년이고, 그 옆에는 Heart Nebula (IC 1805) 가 위치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14.html 이곳에서...


2023년 3월 12일 일요일

...

현정이는 왜 그리 빨리 하늘로 갔을까 ?

너의 공감과 배려와 눈물에 내가 준 건 그저 무심함 뿐이었다.


...

살면서 무언가 이젠 정말 한계라고 느껴본 적이 거의 없다.
그냥 내가 능력이 없거나 하기 싫거나 해서 그만두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처음으로 정말 한계라는 걸 느껴본다.
솔직히 어떻게 해야할 지 잘 모르겠다.


Saturn's Hyperion : A Moon with Odd Craters

 


Saturn's Hyperion : A Moon with Odd Craters


- Image Credit : NASA, ESA, JPL, SSI, Cassini Imaging Team


지난 2005년 토성 탐사선인 카시니 탐사선 (Cassini spacecraft)이 토성의 위성인 하이페리온 (Hyperion)을 촬영한 사진이다.
놀랍도록 자세한 이 사진에서 하이페리온의 이상하게 생긴 크레이터들과 스펀지 같은 표면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크레이터들 바닥에서 알 수 없는 암적색의 물질이 있었는데, 이는 토성의 또다른 위성인 아이페투스 (Iapetus) 표면을 덮고 있는 물질들과 비슷해 보였다.
하이페리온이 태양빛을 더 잘 흡수하기 때문에 암적색의 물질들이 표면에서 보여졌던 아이페투스 (Iapetus) 와 달리 크레이터 바닥에서 보여지는 것 아닌가 추정하고 있는 것 같다.
한편, 하이페리온의 지름은 약 250 km 이고, 무질서하게 회전하며, 밀도가 낮은 것으로 봐서 내부에 거대한 빈 공간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12.html 이곳에서...


2023년 3월 10일 금요일

Orion and the Running Man

 


Orion and the Running Man


- Image Credit & Copyright : Abraham Jones


지난 1월 미국 웨스트 버지니아 (West Virginia)에서 촬영된 오리온 성운과 Running Man Nebula 의 모습이다.
사진에서 붉은 빛을 띄며 넓게 펼쳐져 있는 성운이 오리온 성운이고 그 위에 푸른 빛을 띄는 성운이 Running Man Nebula 이다.
오리온 성운은 M42 로 등록되어 있으며, 거리는 1500 광년 정도이고, 성운의 폭은 40 광년 정도이다.
또한, 우리 은하에서 우리 태양계가 있는 같은 나선팔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오리온 성운은 가장 가까운 거대한 별 생성 영역이며 빛나는 가스들이 뜨겁고 젊은 별들을 둘러싸고 있다.
반면, 사진 상단에 있는 Running Man Nebula 는 NGC1977, NGC1975, NGC1973 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NGC1977 만을 단독으로 Running Man Nebula 라고 하는 경우도 있고, 세 성운 모두를 통칭해 부르는 경우도 있는 것 같은데, 여기서는 NGC1977 을 말하는 것 같다.
암튼, 푸른 빛을 띄는 이들 반사 성운들은 우리 은하 이웃의 풍부한 별 생성 물질들의 작은 부분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 한다.
한편, 연구를 통해 천문학자들은 이들 별 생성 영역에서 수많은 어린 태양계들을 확인한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10.html 이곳에서...


2023년 3월 8일 수요일

카페에서...

 


사진을 잘 찍지 않는 편인데, 피곤한 몸을 기댄 채 무심코 찍어봤다.



2023년 3월 7일 화요일

Deep Field : The Large Magellanic Cloud

 


Deep Field : The Large Magellanic Cloud


- Image Credit & Copyright : Yuri Beletsky (Carnegie Las Campanas Observatory, TWAN)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인 대마젤란운 (Large Magellanic Cloud, LMC)을 촬영한 사진이다.
대마젤란운은 우리 위성 은하 중 가장 큰 은하로, 그 폭이 15000 광년 정도이며, 황새치 자리 (Dorado, the Dolphinfish) 방향으로 약 180000 광년 거리에 있다.
은하의 모습이 무질서한 모습이어서 왜소 불규칙 은하로 분류되고 있는데, 더 긴 노출을 통한 촬영을 했더니 막대 나선 은하와 비슷해지기 시작했다.
또한, 대마젤란운 내에는 현대에 가장 밝고 가까운 초신성인 SN1987A 가 위치하고 있다.
한편, 대마젤란운과 소마젤란운 (Small Magellanic Cloud, SMC)은 남반구 하늘에서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307.html 이곳에서...


2023년 3월 6일 월요일

...

대상포진 백신을 맞았다.
건강에 워낙 자신이 없다보니 맞는게 좋을 것 같아 맞긴 했는데, 좀 아프다.
주사 맞은 부위 통증도 오래 가고, 약간의 몸살 기운도 있다.

코로나 2가 백신은 아직 맞지 않았다.
나야 뭐 그렇다치고, 어머니 때문에 고민인데, 접종 하는게 좋을지 아직 잘 모르겠다.
워낙 고령이고 이런 저런 지병이 많다보니 늘 뭔가 결정할 때 고민이 된다.
주변 지인들하고 이야기 해보면 코로나 2가 백신 맞은 사람이 거의 없다.
아마도 다들 큰 효과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하긴, 의사도 맞는게 좋을지 아닐지 잘 모르겠다고 할 정도이니 일반인들이야 더 하겠지.


2023년 3월 4일 토요일

케냐 와무구마 AA (Kenya Wamuguma AA) - 커피 몽타주

 


케냐 와무구마 AA
(Kenya Wamuguma AA)

커피 몽타주
(Coffee Montage)


- 지역 (Region) : Kiambu
- 농장 (Farm) : Wamuguma
- 농부 (Farmer) : Wamuguma Coffee Farmers Cooperative
- 품종 (Variety) : SL28, SL34, Ruiru11
- 재배 고도 (Altitude) : 1600 ~ 1800 m
- 가공 방식 (Process) : washed

- tasting note : Grapefruit, Blackcurrent, Grape, Red apple, Juicy, Caramel


이번엔 커피 몽타주의 케냐 커피를 선택해봤다.
예전의 기억에 케냐 커피들이 좋았던 기억이 있어서 주문해봤는데, 전체적으로 예전 케냐 커피들과는 느낌이 조금 달랐다.
분쇄 커피와 추출 커피에서의 향이 조금 약해서 아쉬웠는데, 그래도 나름대로 약하지만 citrus 계열의 과일향과 고소함, 단향이 느껴지긴 했다.
과일향은 약하면서 뭔가 부드러운 다른 향에 감싸여진 느낌이 있었는데 왜 그런지는 잘 모르겠다.
그또한 나름대로 개성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추출 방법을 조금씩 달리해서 마셔봤는데, 전체적으로 상큼한 과일의 신맛과 단맛의 조화가 좋았다.
1차 추출을 조금 진하게 하느냐, 연하게 하느냐에 따라 상큼함의 정도가 달랐는데, 나는 상큼한 신맛이 강조되는 걸 좋아하다보니 1차 추출에서 물줄기를 가늘게 하는게 더 입맛에 맞았다.
1차 추출을 조금 연하게 내리면 과일의 상큼한 신맛은 약해지지만 향에서 느꼈던 것 처럼 과일맛이 뭔가 달콤하고 부드러운 다른 맛에 감싸여진 느낌이 있어 그또한 괜찮았다.
단맛은 카라멜 뉘앙스로 다가왔는데 정확히 구분하지는 못했고, 과일맛은 주로 citrus 계열의 과일 신맛이었고 상큼해서 좋았는데 이걸 똑부러지게 '자몽'이라고 말하기엔 나는 확신이 들지 않았다. 그밖에 다른 과일맛은 느끼지 못해서 조금 아쉬웠다.
암튼,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상큼한 과일의 신맛과 단맛의 조화가 이 커피의 가장 큰 장점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