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4일 목요일

NGC 147 and NGC 185

 


NGC 147 and NGC 185


- Image Credit & Copyright : Dan Bartlett


안드로메다 (Andromeda) 은하의 위성 은하들인 NGC 147 과 NGC 185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 이웃 은하로서 약 250만 광년 떨어져 있다.
사진에서 왼쪽에 있는 것이 NGC 147 이고 오른쪽에 있는 것이 NGC 185 인데, 두 은하 모두 왜소 은하이고, 안드로메다 은하의 다른 위성 은하인 M32 나 M110 보다 덜 유명하고 덜 밝은 편이다.
NGC 147 과 NGC 185 사이의 거리는 대략 35000 광년 정도이고, 두 은하는 쌍성 은하로 중력적으로 안정적인 쌍성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최근에 발견된 왜소 은하 Cassiopeia II 도 이들 왜소 은하계의 일부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모양이다.
그렇다보니 안드로메다 은하의 작은 위성 은하 집단 내에서 중력으로 묶인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104.html 이곳에서...


2021년 11월 3일 수요일

The Horsehead and Flame Nebulas

 


The Horsehead and Flame Nebulas


- Image Credit & Copyright : Wissam Ayoub


밤하늘에서 가장 유명한 성운 중 하나인 말머리 성운 (Horsehead Nebula) 과 Flame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오리온 자리에 위치한 두 성운은 서로 이웃하고 있는데, 사진에서 오른쪽 끝부분에 말머리를 닮은 검은 성운이 말머리 성운이고, 사진 중심에서 약간 왼쪽에 불꽃을 닮은 성운이 Flame Nebula 이다.
말머리 성운은 Barnard 33 이라고 알려진 암흑 성운인데, 뒤에 있는 오렌지 빛의 발광 성운을 배경으로 어둡게 보이는 먼지 구름이며, 아마도 앞으로 수천년 후에는 그 형태가 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말머리 성운의 배경으로 보여지는 오렌지 빛은 전자가 양성자와 재결합 하면서 수소 원자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Flame Nebula 의 경우는 주황색의 성운이 어둡고 복잡한 형태의 먼지 필라멘트들을 품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한편, 이 사진 속에는 또다른 성운들도 있는데, 사진의 왼쪽 끝에 있는 붉은 빛의 둥근 형태의 성운이 IC 432 이고, 말머리 성운의 왼쪽 바로 아래에 위치한 푸른 빛의 성운은 NGC 2023 인데, 두 성운 모두 중심에 있는 별의 빛을 반사하여 이렇게 빛나고 있는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103.html 이곳에서...


2021년 10월 30일 토요일

케냐 카구유 (Kenya Kaguyu) - 엘카페

 


케냐 카구유
(Kenya Kaguyu)

엘 카페 커피 로스터스
(El Cafe Coffee Roasters)


- 지역 : Kirinyaga county
- 농장 : Kaguyu Factory
- 농장주 : Small holders
- 재배 고도 : 1850 m
- 품종 : SL28, SL34
- 가공 방식 : washed

- tasting note : 자두, 토마토, 오렌지


이번에도 엘카페의 원두를 주문해봤다. 늘 그렇듯이 선택 기준은 그저 테이스팅 노트였다.
자두, 토마토, 오렌지 라고 적혀있어서 별 고민없이 주문했던 것 같다.

최근에 케냐 커피를 제법 자주 접했다.
이렇게 블로그에 기록하지 않은 커피들도 있는데, 그때도 케냐 커피를 주문했었다.
원래 케냐 커피를 그렇게 좋아하는 편은 아니었는데, 어쩌다보니 최근에 자주 접했고 다들 나름 만족했었다.
그런데, 이번 케냐 카구유는 좀 아쉬웠다.
엘카페에서 커피 주문을 그렇게 자주하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종종 하는 편인데, 이번이 가장 아쉬웠다.
선택의 기준이었던 자두, 토마토, 오렌지 향미는 전혀 느끼지 못했고 첫 추출부터 당황스러운 경험이었다.

분쇄커피에서부터 다 마시고 난 뒤까지 어느 하나 뚜렷히 와닿은 향미가 없었다.
모든 향미가 조금씩 애매했고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었다.
floral 부터 단맛까지 이런 저런 향미들이 있긴 했다.
floral, 과일, 향신료나 허브 같은 향, 고소함, 단맛 등등.
그런데, floral 은 평범한 향이었고, 과일은 약한 citrus 향미였으며, 향신료인지 허브인지 모를 향이 하나 있었는데 정확히 무슨 향인지 알 수 없었다.
또한, 고소함이나 단맛도 평범했는데, 다만 단맛은 일부 달고나 같은 뉘앙스가 느껴지기도 했다.
그밖에 가장 당황스러웠던 것이 건어물 같은 향이었다.
마치 마른 멸치 상자를 열었을 때 느껴지는 향이랄까. 암튼 그랬다.
그리고 또 하나, 진하게 내렸을때 마시고 난 뒤에 약하게 탄맛이 느껴졌다.
그래도 입안에서의 느낌은 묵직해서 괜찮았다.

이번 커피는 여러모로 아쉬움이 많은 커피였다.
엘카페 커피를 접하면서 아쉬움을 느꼈던 적이 한번도 없었던 것 같은데, 이번에는 좀 그랬다.
그리고, 엘카페 커피 원두 표면에서 기름이 배어나온 것을 본적이 한번도 없었는데, 이번엔 원두 표면에 기름이 꽤 배어 나왔다.
원두 표면에 기름이 배어 나오는게 문제는 아니지만, 한번도 그런 적이 없던 곳에서 그러니 좀 의외였다.
그럴리야 없겠지만, 혹 원두가 바뀐 것 아닐까 생각도 잠시 했었다.
사실, 나의 커핑 능력이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어서 이런 문제를 꼭 커피 탓이라고 말하기도 좀 애매하긴 한데, 그럼에도 이번 커피는 아쉬움이 참 많이 남는다.


2021년 10월 29일 금요일

Haunting the Cepheus Flare

 


Haunting the Cepheus Flare


- Image Credit & Copyright : Leo Shatz


지구에서 약 1200 광년 떨어져 있는 Cepheus Flare 분자 구름 복합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먼지 구름들을 담은 사진이다.
우리 은하면 위에 숨어있는 이 먼지 구름들이 희미하게 반사된 별빛으로 인해 으스스한 형체로 보여지고 있는데, 사진에서 오른쪽 끝부분 가운데에서 약간 아래에 위치하며 노란빛으로 빛나고 있는 것이 Ghost Nebula 라 불리우는 vdB 141 또는 Sh2-136 이며, 이 성운 내부에서는 별이 만들어지는 초기 단계로 고밀도의 핵이 붕괴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사진의 중심부에서 약간 왼쪽에 푸른 빛으로 빛나고 있는 성운이 반사 성운인 NGC 7023 인데, Iris Nebula 라는 별칭을 갖고 있기도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29.html 이곳에서...


2021년 10월 27일 수요일

NGC 6995 : The Bat Nebula

 


NGC 6995 : The Bat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Howard Trottier


백조 자리 (Cygnus, the Swan) 방향으로 약 1400 광년 거리에 위치한 성운 NGC 6995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Bat Nebula 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 NGC 6995 는 Veil Nebula 의 일부로서 Eastern Veil 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폭은 약 12 광년 정도이다.
그리고, 사진에서 붉은 색은 수소 원자, 파란색은 산소 원자에 의한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27.html 이곳에서...

참고로, Veil Nebula 는 초신성 폭발의 잔해이며, 대략 둥근 형태를 하고 있는데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면 될 것 같다.


- 이미지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Veil_Nebula


사실 NGC 6995 (Bat Nebula) 에 대한 포스팅은 2019년 11월 25일에도 올렸었고, 그 내용 또한 동일한데, 사진 방향만 조금 다르다.
사진 방향이 좌우가 서로 바뀐 것 같고, 물론 사진 작가 또한 다른 사람이다.



2021년 10월 25일 월요일

Road to the Galactic Center

 



Road to the Galactic Center


- Image Credit & Copyright : Michael Abramyan


아래에 있는 도로를 따라가다 보면 마치 은하수의 중심으로 갈 수 있을 것만 같은 이 사진은 9월 초 미국 유타주 (Utah) Forest Gump Point 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하나의 사진은 아니고 여러 장의 사진을 합성한 것이지만, 같은 장소에서 같은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들을 합성한 것이다.
전경의 사진은 일몰 직후 촬영한 것이고, 배경의 사진은 그 몇 시간 뒤에 네 장의 노출 사진을 모자이크해 만든 사진이다.

한편, 아래의 도로는 US Route 163 도로이고, 멀리 보이는 지형은 나바호족 (Navajo) 거주지역의 Monument Valley 이며, 그 뒤 하늘로 올라가면서 어두운 먼지 필라멘트들과 수십억 개의 밝은 별들, 그리고 Lagoon nebula, Trifid nebula 등 밝게 빛나는 성운들까지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25.html 이곳에서...


2021년 10월 24일 일요일

Halloween and the Ghost Head Nebula

 


Halloween and the Ghost Head Nebula


- Image Credit : Mohammad Heydari-Malayeri (Observatoire de Paris) et al., ESA, NASA


할로윈 데이에 맞춰 NASA 에서 특별히 유령을 닮은 성운 사진을 올린 모양이다.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인 대마젤란운 (Large Magellanic Cloud)에 위치한 이 성운은 NGC 2080 이라고 명명되었는데, 그 모습 때문에 Ghost Head Nebula 라는 별칭을 갖고 있으며, 폭이 약 50 광년 정도되는 별 생성 영역 (star forming region) 이다.

참고로, 할로윈은 기원전 5세기경 부터 시작되었으며, 춘분과 추분, 동지와 하지의 가운데 날인 cross quarter day 로 기려졌는데, 이번엔 할로윈 데이가 다음주에 있지만 실제 cross quarter day 는 그 다음주에 있다.
또한, cross quarter day 는 Groundhog Day 라고도 하는데, 이런 할로윈은 현대에서도 죽은 자의 영혼을 겁줘 쫓아내려는 전통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24.html 이곳에서...


2021년 10월 21일 목요일

SH2-308 : The Dolphin-Head Nebula

 


SH2-308 : The Dolphin-Head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Nik Szymanek


큰 개 자리 (Canis Major, the Big Dog) 방향으로 약 5000 광년 거리에 있는 성운 Sharpless 2-308 을 촬영한 사진이다.
그 모습이 마치 돌고래 머리를 닮았다 하여 Dolphin-head Nebula 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 이 성운은 bubble 형태를 지니고 있는데, 성운의 중심에서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이 성운을 만든 별이다.
폭이 60 광년 정도되는 이 성운을 만든 중심별은 Wolf-Rayet star 로 분류되는 별인데, 우리 태양 보다 20배 이상되는 질량을 지닌 별이며 현재 초신성 전단계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중심 별에서 내뿜는 항성풍에 의해 이전 단계에서 만들어진 느린 물질들이 휩쓸려 가면서 이런 bubble 형태가 만들어졌으며, 성운의 나이는 약 70000 년 정도이다.
한편, 성운의 푸른 빛은 이온화된 산소 원자에 의한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21.html 이곳에서...

* Wolf-Rayet star : 표면 온도가 아주 뜨거우며 (3만 ~ 20만 K) 강력한 항성풍 (2000 km/s 이상) 으로 인해 자신의 질량을 상실하고 있는 별들이다. (우리 태양이 태양풍으로 상실하는 질량의 약 10억배 정도를 상실한다고 한다.)


2021년 10월 19일 화요일

Palomar 6 : Globular Star Cluster

 



Palomar 6 : Globular Star Cluster


- Image Credit : ESA/Hubble and NASA, R. Cohen


이 사진은 우리 은하의 중심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 지구로부터는 약 25000 광년 거리에 있는 구상 성단 Palomar 6 를 촬영한 사진이다.
Palomar 6 는 우리 은하에 속해 있는 200 여개의 구상 성단 중 하나이며, 나이는 우리 태양뿐만 아니라 우리 은하면에서 공전하고 있는 대부분의 별들보다도 많은데, 대략 125억 년으로, 이는 거의 전체 우주의 나이에 가까운 정도이다.
또한, Palomar 6 는 약 500000 개의 별을 지니고 있으며, 이 사진의 폭은 대략 15 광년 정도이다.
한편, 많은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다른 구상 성단들이 먼 은하 헤일로 (galactic halo)에 위치하고 있는 반면, Palomar 6 는 은하의 중심 불룩한 부분에서 만들어져 현재까지 존재하게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19.html 이곳에서...


2021년 10월 18일 월요일

Earthshine Moon over Sicily

 



Earthshine Moon over Sicily


- Image Credit & Copyright : Dario Giannobile


이달 초 이탈리아 시실리에 있는 도시 Palazzolo Acreide 에서 촬영된 밤하늘의 모습이다.
달이 초승달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햇빛이 비치는 부분 이외의 어두운 부분까지 잘 보여지는 것이 무척 흥미로운데, 이는 지구가 반사하는 햇빛 때문이라고 한다.
이를 earthshine 현상이라고 하는데, 다른 표현으로는 earthlight, 또는 da Vinci glow 라고도 한다.
지구에서 달을 볼 때는 초승달 모습이지만, 달에서 지구를 볼 때는 마치 보름달처럼 지구가 그렇게 보여지는 모양이다. 그래서 지구가 반사하는 햇빛이 달의 어두운 부분까지 비추게 되어서 이렇게 볼 수 있다고 한다.
한편, 사진에서 달의 왼쪽, 사진의 중심 부분에 밝게 빛나고 있는 것이 금성이며, 그 바로 위에 있는 것이 별 Dschubba (Delta Scorpii)이다. 
또한, 사진의 왼쪽 끝 상단에 붉은 빛으로 빛나고 있는 별이 Antares 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18.html 이곳에서...


2021년 10월 17일 일요일

The Einstein Cross Gravitational Lens

 


The Einstein Cross Gravitational Lens


- Image Credit & License : J. Rhoads (Arizona State U.) et al., WIYN, AURA, NOIRLab, NSF


클로버 잎 처럼 재밌게 생긴 이 천체는 마치 핵이 4개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앞에 있는 거대 은하의 중력장 영향을 받아 멀리 있는 천체가 4개로 쪼개져 보여지는 것이다.
이런 효과를 중력 렌즈 효과라 하는데, 여기서 보여지는 천체는 멀리있는 퀘이사이고, 앞에 있는 거대 은하 중심의 뒷쪽에 적절히 위치하고 있는 바람에 이렇게 4개의 핵을 지닌 것처럼 보이게 된 것이고, 특히 이렇게 클로버 잎처럼 4개의 이미지로 보여지는 경우를 아인슈타인 십자가 (Einstein Cross)라 부른다.
아인슈타인 십자가의 경우 상대 밝기가 다양하게 변하는데, 앞에 있는 은하에 속한 특정 별들에 의해 추가로 중력 마이크로렌즈 효과를 받아 더욱 강화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17.html 이곳에서...


2021년 10월 16일 토요일

온두라스 아만도 (Honduras Amando Micro Lot, natural) - Cervus

 


온두라스 아만도
(Honduras Amando Micro Lot, natural)

Cervus


- 생산 지역 : Agalta
- 재배 고도 : 1800 m
- 가공 방식 : natural

- Cupping note : 딸기잼 같은 풍미와 메이플시럽의 달콤함, 부드러운 바디, 건포도


이번엔 오랜만에 온두라스 커피를 선택해봤다.
예전 온두라스 커피들의 기억이 꽤 좋은 편이었고, 커핑 노트에 "딸기잼"이라고 적혀 있어서 호기심에 구매했다.
딸기잼 향이 난다고 해도 그냥 적당히 나겠지 생각했는데, 원두 봉투를 열자마자 바로 느껴져서 조금 놀랐다.
정말 딸기잼 만들 때 끓이는 동안 나는 냄새와 거의 똑같았다. 
분쇄해보니 더욱 뚜렸했고 이렇게 커피에서 딸기잼 향이 난다는게 흥미로웠다.
그밖에 향으로는 약간의 floral 계열의 향과, 아주 약한 초콜렛 향, 시나몬 등이 느껴졌다.
단향은 그냥 일반적인 정도였고 특별하지 않았다.
추출 후에도 향은 거의 같았다.
딸기잼 향이 지배적이었고, 역시나 약한 floral 향이 느껴졌다. 다만, 하루 하루 지나면서 딸기잼 향은 약해지고 베리 향이 조금씩 느껴졌다.

마실때에도 마찬가지로 딸기잼 향이 주를 이뤘고, 그밖에 베리향도 느껴졌는데, 물줄기를 너무 가늘지도 않고 굵지도 않게 적당히 추출했을때 커피가 전체적으로 아주 은은한 느낌이 있어서 좋았다. 
물줄기를 가늘게 해서 진하게 내리면 뒤에 약간의 쌉싸름한 맛이 나오는데, 거슬리는 정도는 아니고 조금 느껴지는구나 정도였다.
한편, 입안에서의 촉감은 부드럽고 매끄러우면서 몽글몽글한 느낌이었는데, 나는 이 느낌이 참 좋았다.
전체적으로 무난한 느낌의 커피 아니었나 싶다. 특별하진 않지만, 그래도 은은한 향미가 긴장을 풀어주는 듯한 역할을 하는 것 같아서 좋았다.


2021년 10월 14일 목요일

NGC 7293 : The Helix Nebula

 


NGC 7293 : The Helix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Ignacio Diaz Bobillo


물병 자리 (Aquarius) 방향으로 약 700 광년 거리에 있는 Helix Nebula (NGC 7293) 를 촬영한 사진이다.
Helix Nebula 는 행성상 성운으로, 우리 태양과 같은 별이 서서히 수명을 다해가는 상태이다.
참고로, 우리 태양과 같은 정도의 질량을 지닌 별들이 그 삶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면 이런 행성상 성운이 된다고 한다.

이 이미지를 만드는데 총 90 시간의 노출 시간이 소요되었고, 붉은 색의 수소 원자 스펙트럼 휘선과 청록색의 산소 원자 스펙트럼 휘선으로부터 협대역 데이터를 결합하여 이미지를 만들었고 이로 인해 폭이 3 광년 정도되는 성운의 중심부를 자세히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사진에서 성운의 중심에 하얀 점으로 보이는 것이 행성상 성운을 만든 중심 별이다.
한편, 이렇게 단순해 보이는 성운이 실은 놀라울 정도로 복잡한 기하학적 형태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14.html 이곳에서...


2021년 10월 13일 수요일

NGC 7822 : Cosmic Question Mark

 


NGC 7822 : Cosmic Question Mark


- Image Credit & Copyright : Yizhou Zhang


케페우스 (Cepheus) 자리 방향으로 약 3000 광년 거리에 있는 성운 NGC 7822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생긴 모습이 마치 거대한 물음표를 닮은 이 성운은 케페우스 자리의 거대한 분자 구름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는데, 별 생성 영역인 이 성운에서 밝은 능선들과 어두운 형체들이 더욱 두드러지게 보여지고 있다.
미국 텍사스에서 28일 밤동안 촬영된 9장의 사진을 합성하여 만든 이 이미지에서 파란색, 녹색, 붉은 색은 각각 산소, 수소, 황 원자들이 내는 빛을 표현한 것이고, 이러한 원자들의 빛 방출은 성운의 중심에 있는 뜨거운 별에서 나오는 강력한 자외선 복사에 의해 더욱 강화되는 모양이다.
강력한 항성풍과 자외선 복사로 인해 짙은 먼지 기둥들이 침식되면서 성운 구름대의 중심에 수광년에 달하는 독특한 공동 (cavity)이 만들어졌고, 이런 먼지 기둥 내부에서는 중력 붕괴에 의해 여전히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먼지 기둥들이 점차 침식되면서 별이 만들어지는 것도 멈추게 될 것이라 한다.
한편, 이 사진의 폭은 약 4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13.html 이곳에서...


2021년 10월 12일 화요일

...

몇년만인지 기억에 없을 정도로 오랜만에 외식을 했다.
불편한 사람들과 좋아하지 않는 음식을 먹었고, 당연히 위장에 탈이 났다.
결국 병원에 다녀왔고, 아마도 며칠 고생할 것 같다.

근데, 아무리 생각해도 코로나는 달나라 이야기인듯 싶다.
식당에 사람들이 바글바글했고, 다들 시끄럽게 대화를 하며 식사를 한다.
그러면서 코로나 대응을 잘 못한다고 정부 욕을 해댄다.
다들 세상 참 편하게 사는 것 같다.


2021년 10월 11일 월요일

Juno Flyby of Ganymede and Jupiter


Juno Flyby of Ganymede and Jupiter


- Video Credit : Images : NASA, JPL-Caltech, SWRI, MSSS;
                     Animation : Koji Kuramura, Gerald Eichstädt, Mike Stetson; 
                     Music : Vangelis


지난 6월 목성 탐사선인 주노 (Juno spacecraft) 가 목성의 가장 큰 위성이자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인 가니메데 (Ganymede) 와 목성을 근접 비행했고 NASA 에서 디지털 작업을 통해 위와 같은 영상을 만들었다고 한다.
여러 홈 (grooves)들과 분화구 (craters)들로 채워진 가니메데의 표면은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으로 크게 나누어져 있는데, 홈 같은 경우는 표면판의 이동에 의해 만들어졌고 분화구는 여러 소행성 충돌에 의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가니메데를 지나 주노는 목성을 근접 비행했는데 이는 34번째 근접 비행이었으며, 목성 북반구의 여러 소용돌이 구름과 다채로운 구름대와 띠 모양, 진주가 줄지어 늘어선 것 같은 하얀 타원형 구름들, 그리고 남반구의 여러 소용돌이 구름들까지 보여주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11.html 이곳에서...


2021년 10월 8일 금요일

The Double Cluster in Perseus

 


The Double Cluster in Perseus


- Image Credit & Copyright : Jack Groves


페르세우스 (Perseus) 자리 방향으로 약 7000 광년 거리에 있는 두 개의 산개 성단을 촬영한 사진이다.
쌍을 이루고 있는 이 두 성단은 각각 h Persei 와 Chi Persei 로 알려진 유명한 성단인데, 위에 있는 것이 h Persei 이고 아래에 있는 것이 Chi Persei 이다.
NGC 869 와 NGC 884 로도 불려지는 두 성단은 우리 태양보다 더 젊고 뜨거운 별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두 성단 사이의 거리가 불과 수백 광년 정도이고, 두 성단 모두 만들어진 지 1300 만년 정도 밖에 안된 걸로 봐서, 두 성단이 같은 별 생성 영역에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쌍안경으로 관측 가능한 두 성단은 어두운 곳에서는 맨눈으로도 볼 수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08.html 이곳에서...


2021년 10월 7일 목요일

NGC 6559 : East of the Lagoon

 


NGC 6559 : East of the Lagoon


- Image Credit & Copyright : Roberto Sartori


우리 은하 중심부, 궁수 자리 (Sagittarius) 방향으로 약 5000 광년 거리에 있는 성운 복합체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 성운 복합체 바로 옆에는 훨씬 더 유명한 Lagoon Nebula 가 위치하고 있는데, Lagoon Nebula 의 경우는 Charles Messier 의 목록에 포함되어 M8 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사진 속 성운 복합체는 그 목록에 포함되지 못했다.
Lagoon Nebula 보다 좀더 희미한 이 성운 복합체에는 사진에서 오른쪽에 있는 NGC 6559 의 반사 성운과 발광 성운, 그리고 불투명한 먼지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이 사진의 폭은 대략 130 광년 정도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07.html 이곳에서...


2021년 10월 6일 수요일

M43 : Streams of Orion

 


M43 : Streams of Orion


- Image Credit & Copyright : Jari Saukkonen


이 사진은 오리온 성운 (M42) 바로 옆에 붙어있는 오리온 분자구름 복합체 (M43)의 한 부분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의 오른쪽 상단 분홍빛을 내고 있는 부분이 오리온 성운 (M42)의 일부인데, 이곳에는 Trapezium 성단의 밝은 별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M43 의 경우, 그 자체는 별 생성 영역인데, 대부분 빛나는 수소 가스로 구성되어 있지만, 복잡하게 얽힌 검은 먼지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가시광선으로는 불투명한 이런 어두운 먼지는 거대하고 차가운 별들의 외곽 대기층에서 만들어지고 양성자와 전자로 구성된 강력한 항성풍에 의해 방출된다고 한다.
한편, 지구에서 M42 와 M43 까지의 거리는 약 1600 광년 정도이고, 두 천체를 담은 사진을 아래에 참고로 첨부해봤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06.html 이곳에서...


첨부 사진 출처 : http://www.sidleach.com/m43_1.jpg


2021년 10월 4일 월요일

NGC 4676 : When Mice Collide

 


NGC 4676 : When Mice Collide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 Processing & Copyright : William Ostling (The Astronomy Enthusiast)


머리털 자리 (Coma Berenices, Bernice's Hair) 방향으로 약 3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두 개의 나선 은하가 충돌하는 모습을 촬영한 멋진 사진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이 2002년에 촬영한 이 사진에서 두 개의 은하는 이미 충돌하여 서로를 관통한 상태로 보여지며, 두 은하의 가까운 부분과 먼 부분에서의 중력 차이로 인해 사진과 같은 긴 꼬리가 만들어졌고, 이 때문에 "Mice" 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NGC 4676 으로 명명된 두 은하는 그 거리가 너무 멀어서 은하간 상호 작용은 수억년에 걸쳐 느리게 진행될 것이며, 충돌 후 서로 분리되지 않고 앞으로 수십억년에 걸쳐 충돌을 반복하여 결국 하나의 은하가 될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04.html 이곳에서...


2021년 10월 2일 토요일

A Light and Dusty Night

 


A Light and Dusty Night


- Image Credit & Copyright : Rodrigo Guerra


브라질 남부 Cascavel 에서 지난 9월 25일 촬영된 은하수와 금성의 사진이다.
사진에서 오른쪽에 아주 밝게 빛나고 있는 것이 금성인데, 원뿔 형태의 밝은 빛 안에 잠겨 있는 것 같은 모습이다.
금성을 담고 있는 것 같은 이 원뿔형 빛을 황도광 (zodiacal light) 이라 하는데, 일몰 후나 일출 전에 태양계의 황도면을 따라 먼지에 의해 산란된 햇빛이 띠 모양을 이룬 것을 말한다.
이러한 황도광은 북반구든 남반구든 춘분 즈음에는 일몰 후에, 추분 즈음에는 일출 전에 가장 잘 보인다고 한다.
이 사진에서는 황도광이 은하수 쪽으로 뻗어가며 불룩한 은하수의 중심으로 향하는 것처럼 보이고 있다.
한편, 은하수를 따라 수평선 쪽으로 쭉 내려오다보면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계인 Alpha Centauri 가 자리하고 있는데, 거리는 불과 4.37 광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02.html 이곳에서...


2021년 10월 1일 금요일

The Central Milky Way from Lagoon to Pipe

 


The Central Milky Way from Lagoon to Pipe


- Image Credit & Copyright : Gabriel Rodrigues Santos


우리 은하의 중심부 방향에서 보여지는 여러 성운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사진의 중심에서 약간 오른쪽에 담배 파이프처럼 생긴 검은 천체가 암흑 성운인데, B59, B72, B77 그리고 B78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모습 때문에 Pipe Nebula 라는 별칭을 갖고 있고 지구에서의 거리는 약 450 광년 정도이다.
참고로 암흑 성운들은 20세기 초에 천문학자 E. E. Barnard 에 의해 목록화 되었다.
또한, 사진의 왼편에는 붉고 푸른 밝은 빛을 내는 성운들이 위치하고 있는데, 궁수 자리 (Sagittarius) 방향으로 약 5000 광년 거리에 있는 세 개의 성운이다.
세 개의 성운들 중 가장 밝고 큰 성운이 M8 (Lagoon Nebula) 이고, 그 바로 위에 있는 파랗고 붉은 빛의 작은 성운이 M20 (Trifid Nebula) 이며, 가장 왼쪽에 있는 성운이 NGC 6559 이다.
이들 성운들의 목록은 18세기 천문학자 Charles Messier 가 만든 목록을 따르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1001.html 이곳에서...


2021년 9월 30일 목요일

The Hydrogen Clouds of M33

 


The Hydrogen Clouds of M33


- Image Credit & Copyright : Luca Fornaciari


우리 은하가 속한 은하단의 일원인 M33 (Triangulum Galaxy) 의 모습이다.
지구에서 약 3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M33 은 붉은 빛을 띄는 많은 HII regions 을 갖고 있는데, 사진에서 보면 느슨한 나선팔을 따라 분포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참고로 HII regions 은 이온화된 수소 원자들로 이루어진 구름대인데, 이곳에서 많은 별들이 만들어진다. 
특히 질량은 무겁고 수명은 짧은 별들이 주로 만들어지는데, 별들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자외선이 주변 수소 가스들을 이온화시키면서 이렇게 붉은 빛을 띄게 되는 모양이다.

이 이미지는 HII regions 을 강조하기 위해 은하의 사진과 hydrogen-alpha filter 를 거친 데이터를 합성하여 만든 것이며, 사진 양 옆에는 M33에 속한 여러 HII regions 을 번호를 적어 따로 붙여놓았다. 또한, 은하 사진에서도 찾아보기 쉽게 번호를 적어 놓았다.
예를 들어, HII region NGC604 같은 경우, 오른쪽에 나열된 작은 사진들 중 위에서 4번째 사진이며 번호는 15번이고, 은하의 사진에서도 은하의 중심에서 오른쪽으로 가장 붉은 부분에 숫자 15 가 적혀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930.html 이곳에서...


2021년 9월 27일 월요일

...



글귀 하나가 마음에 와 닿았다. 좀 세게...
우연히 <스토리지북앤필름>의 블로그에 들어갔다가 이런 글귀를 봤다.

"당신이 당신을 잊지 않길 바랍니다."


나는 이미 잊어 너무 멀리 와버린 것 같다.

<스토리지북앤필름>의 해당 포스팅 주소 : https://blog.naver.com/jumpgyu/222518311240


2021년 9월 25일 토요일

The Bubble and the Star Cluster

 


The Bubble and the Star Cluster


- Image Credit & Copyright : Lorand Fenyes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 자리 북쪽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한 산개 성단 M52 와 Bubble Nebula (NGC 7635)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사진 왼쪽에 수많은 별들이 모여있는 것이 산개 성단 M52 이고, 오른쪽에 거품처럼 생긴 성운이 Bubble Nebula 이다.
Bubble Nebula 는 성간 가스와 먼지 속에 위치하며 O-type star 에서 방출되는 항성풍에 의해 부풀려져 만들어진 성운으로 폭은 10 광년 정도이다.
참고로,  O-type star 는 스펙트럼 분류에서 O형에 해당되는 별로서 아주 뜨겁고 청백색을 띄는 별들이라 한다.
반면, 산개 성단 M52 는 약 1000 여개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폭은 25 광년 정도이다.
M52 와 Bubble Nebula 가 이렇게 한 사진에 담겨 있지만, 지구에서의 거리는 많이 달라서 M52 는 약 5000 광년 정도 떨어져 있고, Bubble Nebula 는 약 110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925.html 이곳에서...


2021년 9월 24일 금요일

케냐 카리미쿠이 AB (Kenya Karimikui AB) - 커피 몽타주

 


케냐 카리미쿠이 AB
(Kenya Karimikui AB)

커피 몽타주
(Coffee Montage)


- 지역 (Region) : Kirinyaga
- 농장 (Farm) : Karimikui Coffee Factory
- 농장주 (Farmer) : Rungeto Coffee Farmers Cooperative
- 품종 (Variety) : SL28, SL34
- 재배 고도 (Altitude) : 1550 ~ 1750 m
- 가공 방식 (Process) : washed

- Tasting note : Rose, Raspberry, Plum, Cinnamon, Caramel


커피 몽타주의 커피를 구매한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어쩌다보니 다시 커피 몽타주의 커피를 선택하게 되었다.
커피 몽타주가 원두 종류는 많지 않지만, 먹어보면 꽤 괜찮은 커피들을 갖추고 있는 것 같다. 어지간해서는 실망하는 경우가 없다.
그리고, 또 어쩌다보니 이번에도 케냐를 선택했다.

원두를 분쇄하면서 느껴보니 tasting note 와 비슷하게 느껴져서 마음에 들었는데, 그래도 모든 향미를 다 느끼진 못했다.
분쇄하면서 가장 먼저 느낀 건 floral 계열의 향이었다. 무슨 향인지 구체적으로는 모르겠지만 분명히 느껴졌다. 
뒤이어 과일향이 있었는데 주로 citrus 계 과일의 껍질같은 느낌이었고 그밖에 라즈베리와 체리 같은 향이 느껴졌다. 
또한, 시나몬 향이 분명하게 느껴져서 흥미로웠다. 다만, 시나몬 향은 분쇄 커피에서만 느낄 수 있었고 추출 이후에는 느낄 수 없어 좀 아쉬웠다.

추출 커피에서도 비슷한 향들이 있었는데, 주로 citrus 계 과일향이었다. 
오렌지나 귤의 껍질 같은 느낌으로 다가왔고 그밖에 다른 과일향은 라즈베리 향이 있었다. 

마실때의 향미들도 비슷했고, 오렌지 같은 느낌과 라즈베리 향이 계속 느껴졌다.
또한, 상큼한 신맛으로 인해 쥬스를 마시는 듯한 느낌이 좋았고, 이런 쥬스같은 기분좋은 느낌과 은은한 단맛이 조화를 이뤄 참 괜찮았다.

커피 몽타주를 통해 연이어 케냐 커피를 접하게 되었는데, 지난 번에 이어 이번에도 꽤나 만족스러웠다.
예전엔 케냐 커피를 좀 피하는 편이었는데, 이런 커피들을 접하면서 그런 선입견을 없앨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2021년 9월 20일 월요일

Lynds Dark Nebula 1251

 


Lynds Dark Nebula 1251


- Image Credit & Copyright : Cristiano Gualco


케페우스 (Cepheus) 자리 방향으로 약 1000 광년 거리에 있는 암흑 성운 LDN 1251 의 모습이다.
우리 은하면 위에 표류하는 것처럼 보이는 LDN 1251 은 케페우스 암흑 성운 무리의 일부인데, 연구에 따르면 LDN 1251 에서는 새로 만들어진 별과 관련된 충격파와 물질의 방출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Herbig-Haro objects 가 붉은 빛을 띄며 숨겨져 있다고 한다.
참고로, Herbig-Haro objects 는 새로 태어나는 별과 관련된 천체인데, 새로 태어나는 별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제트가 주변 가스와 먼지 구름 등을 충돌, 가열하여 성운 모양으로 빛나는 천체를 말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920.html 이곳에서...

* LDN 1251 에 대한 포스팅은 2020년 7월 3일에도 올린 적이 있는데, 이번 포스팅과 글의 내용은 같고 사진만 다르다.


2021년 9월 19일 일요일

2021년 9월 18일 토요일

Rubin's Galaxy

 


Rubin's Galaxy


- Image Credit : NASA, ESA, B. Holwerda (University of Louisville)


페르세우스 (Perseus) 자리 방향으로 약 2억 3200 만 광년 거리에 있는 거대 나선 은하 UGC 2885 의 모습이다.
Rubin's Galaxy 또는 Godzilla galaxy 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 UGC 2885 는 약 1조 개 정도의 별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우리 은하가 갖고 있는 별의 10배쯤 되는 것이고, 또한 지름은 약 80 만 광년 정도인데 이에 비해 우리 은하는 약 10 만 광년 정도이다.
UGC 2885 는 은하가 어떻게 거대한 크기로 성장할 수 있는지 이해하기 위한 흥미로운 연구 대상이었고, 또한 천문학자 Vera Rubin 의 나선 은하 회전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를 위한 은하였다고 한다.
그녀의 작업은 우리 우주에서 암흑 물질의 지배적인 존재를 설득력 있게 입증한 최초의 작업이었다고 한다.
한편, 은하의 왼편과 사진 상단에 십자 모양의 빛을 발하고 있는 별은 우리 은하에 속한 별들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918.html 이곳에서...


2021년 9월 12일 일요일

A Spiral Aurora over Iceland

 


A Spiral Aurora over Iceland


- Image Credit & Copyright : Davide Necchi


2015년 아이슬란드 Selfoss City 의 Ölfusá 강 위에 빛나고 있는 오로라를 촬영한 사진이다.
태양에서 방출된 고에너지 입자들이 지구 자기권의 균열을 통해 들어오면서 오로라가 발생하는데, 현재의 태양 극소기에서 점점 벗어남에 따라 오로라도 천천히 증가하리라 예상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912.html 이곳에서...


2021년 9월 11일 토요일

Saturn at Night

 


Saturn at Night


- Image Credit : NASA, JPL-Caltech, Space Science Institute, Mindaugas Macijauskas


토성 탐사선인 카시니 탐사선 (Cassini spacecraft)에 의해 촬영된 토성의 밤 모습이다.
이 사진은 2017년 9월 15일 카시니 탐사선이 토성 대기 속으로 추락하기 이틀 전에 촬영된 사진이다.
참고로, 카시니 탐사선은 2004년부터 2017년까지 13년 동안 토성을 탐사했으며, 토성 탐사의 마지막 임무를 마치고 최후를 맞는 프로젝트를 "Grand Finale"라고 했다.
"Grand Finale"에 대한 참고 영상과 내용은 https://solarsystem.nasa.gov/missions/cassini/the-journey/the-grand-finale/ 이곳에서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911.html 이곳에서...


2021년 9월 10일 금요일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코체레 (Ethiopia Yirgacheffe Kochere) G1, washed - Cervus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코체레 G1, washed
(Ethiopia Yirgacheffe Kochere G1, washed)

Cervus


- 지역 : Kochere, Gedeo, Yirgacheffe
- 재배 고도 : 1700 ~ 2200 m
- 가공 방식 : washed

- Cupping note : 오렌지, 자두, 자스민, 브라운 슈거


이번 원두는 자주 접할 수 있는 에티오피아 코체레이다.
자주 가는 커피집에서 구매한 원두인데, 맛이 참 괜찮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정말 기분좋은 단맛이었다.
지난번 에티오피아 두메르소도 단맛이 좋았는데, 이번 코체레도 단맛이 참 좋았다.

원두를 분쇄해보니 역시나 코체레 답게 기분좋은 향들이 있었다.
아주 강하지는 않았지만, 예상대로 citrus 계열의 과일향과 시원한 느낌의 허브향, 그리고 고소함과 함께 부드럽지만 아주 인상적인 단향이 있었다.
추출했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이런 향들이 모두 있었고, 마시면서도 같은 향미가 느껴졌다.
한 모금 두 모금 마시면서, 시원한 느낌의 허브향과 오렌지나 레몬이 연상되는 과일맛, 그리고 고소함과 더불어 부드러운 단맛이 아주 인상적이었다.
특히 단맛은 정말 고급스러웠는데, 부드럽지만 탄탄하고 깊이가 있는 느낌이었다.
과일의 상큼한 신맛과 이런 멋진 단맛의 조화가 좋았는데, 과일의 단맛에 시럽을 섞은 듯한 느낌도 있어 아주 좋았다.
또한, 추출시 1차 추출은 물줄기를 가늘게 하여 진하게 내리고, 2차 추출은 물줄기를 좀 굵게 하여 내렸더니 단맛이 조금 무거워지면서 아주 고급스러운 느낌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을 했더니 입안에서의 촉감 또한 좋아져서 부드러우면서도 입안에 꽉찬듯한 느낌을 받았다.
그런 후에 뒤에 남는 향미는 역시나 오래 지속되는 단맛이었는데, 끝까지 기분좋은 단맛 때문에 여운이 오래 남았다.
이런 좋은 단맛 때문에 식사 후에 마신다면 마치 디저트같은 느낌을 줄 수 있는 커피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2021년 9월 9일 목요일

M16 Close Up

 


M16 Close Up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tin Pugh


뱀꼬리 자리 (Serpens Cauda, the tail of the snake) 방향으로 약 7000 광년 거리에 위치한 독수리 성운 (Eagle Nebula), M16 의 모습이다.
먼지 구름과 빛나는 가스들로 둘러싸인, 나이가 200만년 정도밖에 안된 젊은 성단이 있고, 그 안에서 새로운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먼지 기둥들이 있는 M16 은 소형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한 성운인데, 특히나 "창조의 기둥 (Pillars of Creation)"이라 불리우는 먼지 기둥으로 유명하다.
사진에서 중심부에 코끼리 코처럼 길게 솟아오른 먼지 기둥이 바로 "창조의 기둥 (Pillars of Creation)" 인데, 길이가 수 광년에 이르고 중력 붕괴가 일어나면서 새로운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성단의 별들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복사에너지에 의해 "창조의 기둥" 끝부분이 침식되면서 그 안에 있던 새로운 별들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상황이라 한다.
그리고, 사진의 왼쪽으로 또다른 먼지 기둥이 있는데, 가장자리가 빛나고 있는 이 먼지 기둥 역시 그 안에서 별을 만들어내고 있는데, 이 먼지 기둥을 Fairy of Eagle Nebula 라고도 부르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909.html 이곳에서...

참고로 2019년 8월 10일에 같은 제목으로 포스팅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612394401) 을 했었는데, 그 포스팅과 오늘 올리는 포스팅이 사진만 조금 다르고 (사진 작가도 다르다.) 글은 똑같은 내용이다.


2021년 9월 8일 수요일

The Deep Sky Toward Andromeda

 



The Deep Sky Toward Andromeda


- Image Credit & License : Stefan Ziegenbalg


이 사진은 우리 은하의 이웃 은하인 안드로메다 (M31) 와 그 주변을 아주 세밀하게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안드로메다는 몇몇 작은 위성 은하들로 둘러싸여 있고, 또 가스 구름들에도 둘러싸여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가스 구름들은 실제로는 우리 은하에 속한 것으로, 이런 현상은 마치 지구 대기의 구름들이 달을 둘러싸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과 같은 것이다.
하지만, 안드로메다 방향의 가스 구름들은 너무 희미해서 보통은 잘 보이지 않는데, 이 이미지에서는 이들 가스 구름을 아주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그밖에 사진 상단에 Triangulum galaxy (M33) 가 자리하고 있는데, 이 은하는 은하단 내에서 3번째로 큰 은하이면서 우리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큰 천체이다.
또한, M33 아래에서 붉은 빛으로 밝게 빛나는 별이 우리 은하에 속한 Mirach 이다.
한편, 이 이미지는 2018년 부터 2021년까지 독일 Pulsnitz 에서 장시간 노출로 촬영된 여러 이미지들을 디지털 합성하여 만든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908.html 이곳에서...


2021년 9월 7일 화요일

NGC 520 : Colliding Galaxies from Hubble

 


NGC 520 : Colliding Galaxies from Hubble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 Processing & Copyright : William Ostling (The Astronomy Enthusiast)


물고기 자리 (Pisces, the Fish) 방향으로 약 1억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 NGC 520 의 모습을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이다.
Arp 157 이라고도 부르는 NGC 520 은 실은 하나의 은하가 아니고 두 개의 은하가 충돌한 모습이라 한다.
별과 가스, 먼지 등이 뒤섞인 NGC 520 은 두 개의 원반 은하 잔해들이 합쳐진 것인데, 사진에서 보면 충돌하는 은하들의 척추에 해당하는 부분이 수직으로 내려오면서 뒤섞인 먼지층이 복잡하게 띠를 이루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앞으로 수십억년 후에 우리 은하와 이웃 은하인 안드로메다 (M31) 은하가 서로 충돌하여 합쳐질 때에도 이런 모습과 비슷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한편, NGC 520 을 만들고 있는 이 은하간 충돌은 약 3억년 전부터 시작되었고, 현재 NGC 520 의 폭은 약 10만 광년이며, 소형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한데, NGC 520 의 별들이 아무리 빨리 움직인다 해도 우리가 살고 있는 동안에는 NGC 520 의 모습이 크게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907.html 이곳에서...


2021년 9월 4일 토요일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00번 출간 기념 리커버판 <페스트>, <노인과 바다>, <프랑켄슈타인>

 


참지 못하고 또 일을 저질렀다.
지난번 열린책들의 창립 35주년 기념 세계문학 중단편 세트도 어렵게 참고 넘겼는데, 이번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00번 출간 기념 리커버판은 참지 못하고 구매해버렸다.
모두 5권이 새로 리커버판으로 나왔는데, 그중에 3권을 샀다.
<페스트>, <노인과 바다>, <프랑켄슈타인>
5권 모두 사고 싶었지만, 금액의 부담 때문에 그러지 못했다.
아직 읽지 못한 책들이 많이 있는데, 또 책을 샀으니 조금 난감하다.
언제 읽을지 알 수가 없는 책들이 점점 더 쌓여가고 있는데, 욕심은 멈추지 않으니...
이왕 이렇게 된거 열린책들 중단편 세트도 살까 하는 생각도 든다. 참는데까지 참아 보겠지만...
암튼, 뒷일 생각하지 않고 이렇게 책을 사는게 대책 없는 일이긴 하지만, 책이 쌓여있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참 마음이 좋다.


2021년 9월 3일 금요일

NGC 7023 : The Iris Nebula

 


NGC 7023 : The Iris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Satwant Kumar


케페우스 (Cepheus) 자리 방향으로 약 13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반사 성운 Iris Nebula, NGC 7023 의 모습이다.
사진에서는 성간 먼지에 둘러싸인 Iris Nebula 의 다양한 색상과 대칭을 보여주고 있는데, 성운 내부에서는 성운의 물질들이 젊고 뜨거운 별을 둘러싸고 있다.
성운의 색이 파란 것은 먼지 입자들이 별빛을 반사하기 때문이고, 성운의 중심부에 희미하게 붉은 빛이 보이는 것은 일부 먼지 입자들이 별의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붉은 빛을 띄게 만들기 때문이다.
또한, 적외선 관측을 통해 성운이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으로 알려진 복합 탄소 분자를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한다.
한편, Iris Nebula 의 폭은 대략 6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903.html 이곳에서...


2021년 9월 2일 목요일

M51 : The Whirlpool Galaxy

 


M51 : The Whirlpool Galaxy


- Image Credit & Copyright : Josep Drudis


사냥개 자리 (Canes Venatici) 방향으로 약 3100 만 광년 거리에 위치한 나선 은하 M51 (NGC 5194) 의 모습이다.
그 완벽한 모습 때문에 Whirlpool Galaxy 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 M51 은 동반 은하 NGC 5195 와 서로 상호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사진에서 완벽한 나선 형태를 지니고 있는 은하가 Whirlpool Galaxy 이고, 그 바로 위에 작게 위치하고 있는 은하가 NGC 5195 이다.
밤하늘에서 북두칠성의 손잡이 부분을 따라가다가 남서쪽으로 방향을 약간 틀다보면 M51 을 만나게 되는데, 육안으로는 너무 희미해서 관측이 쉽지 않지만, 이 사진에서는 놀라운 색상과 뚜렷한 나선팔, 먼지층과 조석 잔해까지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902.html 이곳에서...


2021년 9월 1일 수요일

Dancing Ghosts : Curved Jets from Active Galaxies

 


Dancing Ghosts : Curved Jets from Active Galaxies


- Image Credit : Jayanne English & Ray Norris, EMU-ASKAP, DES; Text : Jayanne English (U. Manitoba)


이 이미지는 두 개의 은하에서 방출되는 재밌게 생긴 형태의 제트를 보여주는 사진인데, Australian Square Kilometer Array Pathfinder (ASKAP) 라는 전파망원경을 이용하여 관측한 것이다. 그리고, 이런 관측을 통해 은하의 진화를 추적하는 지도를 만든다고 한다.
사진 중심부 상단과 약간 왼쪽 하단에 위치한 하얗게 빛나는 것이 두 개 은하인데, 이들 은하의 중심부에 있는 거대 블랙홀에서 이와 같은 제트를 방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방출된 에너지의 상대적 양을 비교함으로서 자기장선 주위의 전자 흐름에 의해 기다랗게 빛나는 구조가 만들어졌음을 밝혀냈는데, 광학 데이터와 전파 데이터를 중첩하여 이러한 전자 흐름이 활동성 은하의 중심에서 시작되었음을 확인했다고 한다.
한편, 일반적인 활동성 은하의 핵은 직선 형태의 제트를 생성하는데, 이번 특이하게 생긴 제트 같은 경우는 대규모 은하간 은하풍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하는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901.html 이곳에서...


2021년 8월 29일 일요일

Orbits of 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s

 


Orbits of 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s


- Image Credit : NASA, JPL-Caltech


짐작하겠지만, 이 이미지는 여러 소행성들 중에 지구에 위협이 되는 1000 여개의 소행성 궤도를 그린 것이다.
지구 위협 소행성 (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s, PHAs) 이라 하는 이들 소행성들은 보통 돌과 얼음 덩어리들인데, 크기는 대략 140 m 이상이며 지구로부터 750만 km 이내를 지나갈 것이라 한다. 이는 우리 달까지 거리의 약 20배쯤 되는 거리이다.
비록 이들 소행성들이 앞으로 100년 내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지구 위협 소행성들이 모두 알려져 있는 것도 아니고 지난 100년 동안 이들 소행성들의 궤도 예측이 어려워져서 안심할 수만은 없는 모양이다.
어쨌거나 이 정도 소행성들이 지구와 충돌하면 위험한 쓰나미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한다.
이러한 위험에 대비해 지구를 구하기 위한 전략을 연구하기 위해 올해 말에 NASA 의 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 (DART) 가 발사될 예정이다.
한편, 이보다 훨씬 작은 돌과 얼음 덩어리들은 매일 지구에 부딪히는데 대부분 위험하지 않으며 가끔 인상적인 화구 (fireball)와 유성을 만든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829.html 이곳에서...


2021년 8월 28일 토요일

에티오피아 두메르소 (Ethiopia Dumerso) - 엘카페

 


에티오피아 두메르소
(Ethiopia Dumerso)

엘 카페 커피 로스터스
(El Cafe Coffee Roasters)


- 지역 : Yirgacheffe, Gedeo
- 농장 : Dumerso
- 농장주 : Ashenafi Argao
- 재배 고도 : 1700 ~ 2200 m
- 품종 : mixed heirloom 74110, 74112, 74158
- 가공 방식 : washed

- tasting note : 자스민, 감귤, 자두


이번엔 보편적인 에티오피아 커피 맛을 즐기고 싶어 이 원두를 선택해봤다.
예상대로 보편적이긴 했는데, 이 커피를 마시는 지난 일주일 동안 건강이 갑자기 나빠져서 향미를 제대로 느끼진 못했다. 많이 아쉬웠는데, 그래도 과일맛이 적당히 있고, 단맛이 아주 좋아서 잘 마셨던 것 같다.

원두를 분쇄해보니 적당한 과일향과 고소함, 단향이 느껴졌는데, 그 와중에 꽃이나 허브 같은 향도 있었다.
과일향은 citrus 계의 과일 같았는데, 어찌보면 오렌지나 귤 같은 뉘앙스였고, 또 어찌보면 귤껍질 같은 느낌이었다. 더불어 과일의 단향과 물엿 같은 느낌의 단향이 같이 있었다. 
그밖에 뒤로 갈수록 약간 쿰쿰한 향이 하나 있었는데, 이 향이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다. 
이 쿰쿰한 향이 귤껍질 같은 향과 관련이 있는 것 같기도 했고, 아니면, 독립적으로 치즈 같은 향 같기도 했다.

그리고, 추출 후에도 분쇄 커피와 비슷하게 꽃이나 허브 같은 뉘앙스가 있었고, 과일향과 고소함, 카라멜 같은 단향 등이 있었다.
과일향은 역시나 귤과 관련된 향 같았는데, 귤껍질이나 덜 익은 귤 같은 느낌이 있었다.
또한, 추출 후에도 쿰쿰한 향은 계속 나타났다.

마시면서는 좀 더 뚜렷하게 과일 맛을 느낄 수 있었고, 고소함과 단맛은 지속적으로 좋게 나타났다.
과일 향미는 강하지 않은 citrus 계열의 맛으로 느꼈는데, 귤이나 오렌지 같은 맛과 귤 껍질, 레몬 같은 뉘앙스도 있었다.
때론, 처음에 단맛 좋은 귤 같은 과일 맛이 나오다가 뒤로 갈수록 허브 같은 뉘앙스가 살짝 나타나는 느낌도 받았었는데, 정확한지는 모르겠으나 상당히 좋았다. 
그리고, 고소함과 단맛이 참 좋았는데, 특히나 단맛은 과일의 단맛과 카라멜 같은 단맛이 혼재된 듯한 느낌도 있었고, 마치 시럽은 넣은 것처럼 달았다.

그밖에 입안에서의 촉감은 부드러운 편이었는데, 좀 진하게 내렸을 때는 꽉찬 느낌도 있었다.
또한, 다 마시고 난 뒤에는 역시나 단맛이 지속력이 좋아 여운이 오래 갔다.

이번 커피는 향미를 구체적으로 잘 느끼진 못했지만, 전체적으로 과일맛이 적당했고, 특히나 단맛이 아주 좋았다.
고소함과 단맛을 즐긴다면 아주 괜찮은 커피인 것 같다. 정말 시럽을 넣은 것 같았다.


2021년 8월 27일 금요일

Elephant's Trunk and Caravan

 


Elephant's Trunk and Caravan


- Image Credit & Copyright : Robert Eder


케페우스 (Cepheus) 자리 방향으로 약 30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Elephant's Trunk Nebula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vdB 142 라고도 알려져 있는 Elephant's Trunk Nebula 는 사진에서 왼쪽에 코끼리 코를 닮은 모습의 암흑 성단이다.
Elephant's Trunk Nebula 는 젊은 성단 복합체인 IC 1396 에 위치하고 있어서 Elephant's Trunk Nebula 가 주변의 발광 성운과 IC 1396 속을 뚫고 지나가는 것처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사진에서는 어두운 성운과 성운의 밝은 테두리를 강조하기 위해 주변의 별들을 보이지 않게 편집한 상태인데, 정작 이 덩쿨손을 닮은 암흑 성운 내에서는 새로운 별을 만들 수 있는 물질들과 이제 곧 별이 될 원시성들이 존재하고 있다고 한다.
한편, Elephant's Trunk Nebula 의 길이는 대략 20 광년 정도이고, 사진의 오른쪽 하단에 위치한 검은 형체는 그 모습이 마치 Elephant's Trunk Nebula 방향으로 행진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여 Caravan 이라고도 부르는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827.html 이곳에서...


2021년 8월 26일 목요일

2021년 8월 25일 수요일

...

 

힘 있는 자들의 비열함과 힘 없는 자들의 무지...

늘 이것이 비극의 원천이다.



2021년 8월 24일 화요일

PDS 70 : Disk, Planets, and Moons

 


PDS 70 : Disk, Planets, and Moons


- Image Credit : ALMA (ESO/NAOJ/NRAO); M. Benisty et al.


칠레 북부 Atacama 사막에 66개의 전파망원경으로 구성된 Atacama Large Millimeter Array (ALMA) 가 있는데, 이것으로 촬영된 멋진 사진이다.
이 사진은 새로운 항성계가 만들어지고 있는 상태를 촬영한 것인데, 중심에 있는 별이 PDS 70 이고, 바깥 부분 거대한 원반은 앞으로 행성들이 될 것이며, 거대 원반 안쪽 오른편에 위치한 것은 이미 만들어진 행성 PDS 70c 이다.
PDS 70c 는 목성과 그 크기와 질량이 비슷하다고 한다.
하지만, 여기서 학자들이 관심을 갖는 것은 중심 별이나 거대 원반, 또는 이미 만들어진 행성 PDS 70c 가 아니라, PDS 70c 바로 아래 희미하게 점처럼 보이는 먼지 원반이다.
이 먼지 원반은 지구의 달처럼 PDS 70c 의 위성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전에는 한번도 본 적이 없는 모습이라 한다.
ALMA 의 관측 자료에 따르면, 천문학자들은 위성을 만드는 이 외계 행성계의 지름이 우리 지구의 궤도와 비슷하며 언젠가는 달 정도 크기를 가진 3개 정도의 위성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마치 목성의 4개 위성들처럼 말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824.html 이곳에서...


2021년 8월 17일 화요일

M57 : The Ring Nebula from Hubble

 


M57 : The Ring Nebula from Hubble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Legacy Archive; 
- Processing : Judy Schmidt


지구에서 약 25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행성상 성운 M57 의 모습이다.
그 생긴 모습 때문에 Ring Nebula 라는 이름도 갖고 있는 M57 은 실제로 고리 모양은 아니고, 미식 축구공 형태의 가스 구름 중심부를 도넛 모양의 고리 형태가 감싸고 있는 상황이다.
지구에서 봤을때 미식 축구공의 길이 방향으로 보여져서 이렇게 고리처럼 보이게 된 것이다.
또한, 성운의 가스층들은 죽어가는 별의 외곽층이 떨어져 나가면서 만들어졌는데, 사진에서 보면 성운의 중심에 있는 하얀 점으로 보이는 것이 바로 그 죽어가는 별이다. 그리고, 중심별로부터 강한 자외선이 방출되어 가스의 원자들을 이온화시킨다고 한다.
참고로, 보통 우리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들이 이렇게 행성상 성운을 만들게 된다.
한편, Ring Nebula 는 그 폭이 대략 1 광년 정도이다.

성운의 형태에 대한 영상을 보고 싶으면 이곳을 참고하면 될 것 같다. https://svs.gsfc.nasa.gov/31045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817.html 이곳에서...


2021년 8월 16일 월요일

Perseid Meteor, Red Sprites, and Nova RS Ophiuchus

 



Perseid Meteor, Red Sprites, and Nova RS Ophiuchus


- Image Credit & Copyright : Daniel Korona


멕시코, Zacatecas 에서 촬영된 아주 특별한 밤하늘의 모습이다.
이 사진에는 우리 은하수와 며칠전 유성우가 쏟아졌던 페르세우스 유성, 그리고 독특한 번개 현상인 Red Sprites 와 별 표면에서 폭발이 일어나는 Nova 까지 담겨있다.
하지만, 우리 은하수 때문에 사진이 특별한 것도 아니고, 유성 때문에도 아니며, 독특하지만 Red Sprites 때문도 아니다. Red Sprites 같은 경우는 지난 수십년 사이에 새롭게 주목받게 되었지만, 요즘은 그리 특별한 현상도 아니라고 한다.
또한, Nova 도 육안으로 관측이 가능할만큼 밝은 것들이 몇년에 한번씩은 늘 관측되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진이 특별한 이유는 이 모든 것들이 같은 날 밤 한꺼번에 촬영되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Nova 는 별 표면에서의 폭발로 인해 밝게 빛나게 되는 현상인데, 이번 Nova 는 일주일쯤 전에 발견된 RS Ophiuchus 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816.html 이곳에서...


2021년 8월 13일 금요일

A Perfect Spiral

 


A Perfect Spiral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HLA; 
- Processing : Mehmet Hakan Ozsarac


물고기 자리 (Pisces) 방향으로 약 3200만 광년 거리에 위치한 나선 은하 M74 의 모습이다.
약 1000 억 개 정도의 별을 품고 있는 M74 는 폭이 30000 광년 정도이고, 지구에서 봤을때 이렇게 멋진 정면을 보여주고 있어서 가장 완벽한 은하들 중 하나라 한다.
또한, 은하의 나선팔을 따라 밝고 푸른 성단들과 어두운 먼지층이 뚜렷하게 자리하고 있어 더욱 완벽한 나선 은하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붉은 빛을 내는 부분들은 별을 만들어 내는 별 생성 영역이다.
하지만, 이렇게 멋진 모습에도 불구하고 M74 의 밝기가 일반적인 은하들보다 어두운 편이라 Phantom Galaxy 라는 별칭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그리고, M74 는 은하 형태에 따른 분류에서 Sc galaxy 로 분류되는데, 참고로 은하 형태 분류에 대한 이미지 하나를 아래에 첨부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813.html 이곳에서...



- 이미지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Hubble_sequence


2021년 8월 12일 목요일

A Beautiful Trifid

 


A Beautiful Trifid


- Image Credit & Copyright : Mike Selby


궁수 자리 (Sagittarius) 방향으로 약 50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Trifid Nebula (M20) 의 모습이다.
우리 은하면에 위치하면서 별들이 많이 만들어지는 곳인 Trifid Nebula 는 사진에서 보듯이 중심부에 어두운 먼지층이 세 갈래로 갈라진 모습 때문에 "Trifid"라는 별칭이 붙었는데, 이 성운은 실제로는 수소 원자의 빛에 의해 붉은 빛을 띄는 발광 성운과 별빛을 반사하는 먼지에 의해 푸른 색으로 빛나는 반사 성운, 그리고 짙은 먼지 구름으로 이루어진 암흑 성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심부 왼쪽 하단에는 새로 태어난 별에 의해 만들어진 기둥과 제트들이 있다.
한편, Trifid Nebula 의 폭은 약 40 광년 정도이고, 육안으로는 관측이 어렵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812.html 이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