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6일 목요일

IC 2574 : Coddington's Nebula

 


IC 2574 : Coddington's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Lorand Fenyes


큰곰 자리 (Ursa Major) 방향으로 약 12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왜소 은하 IC 2574 를 촬영한 사진이다.
보통 거대한 나선 은하들이 아름답고 대칭적인 나선팔을 따라 젊고 밝은 푸른 성단을 자랑하고 있는데, 작고 불규칙한 은하들 또한 별을 만들고 있다.
왜소 은하인 IC 2574 도 붉게 빛나는 수소 가스로 이루어진 곳에서 강렬하게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나선 은하들과 마찬가지로, IC 2574 의 혼란스런 별 생성 영역은 항성풍과 초신성 폭발 등에 의해 휘몰아치며 은하의 성간 매질 속으로 물질들을 분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또다른 별들을 만들게 된다.
M81 은하군의 일부인 IC 2574 는 폭이 50000 광년 정도이며, Coddington's Nebula 라는 이름도 갖고 있는데 이는 1898년에 처음으로 IC 2574 를 발견한 미국 천문학자 Edwin Coddington 에서 따온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206.html 이곳에서...


2025년 2월 4일 화요일

Wolf-Rayet Star 124 : Stellar Wind Machine

 


Wolf-Rayet Star 124 : Stellar Wind Machine


- Image Credit : Hubble Legacy Archive, NASA, ESA; 
- Processing & License : Judy Schmidt


화살 자리 (Sagitta, the Arrow) 방향으로 약 15000 광년 거리에 있는 별 WR 124 와 이를 둘러싼 성운 M1-67 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의 중심에서 빛나고 있는 별이 WR 124 인데, 이 별이 폭이 6광년 정도되는 성운 M1-67 을 만들었다.
WR 124 는 Wolf-Rayet Star 이며, Wolf-Rayet Star 들은 보통 무겁고, 밝으며 엄청난 항성풍이 몰아치는 별들인데, 보통 표면 온도가 아주 뜨거우며 (3만 ~ 20만 K) 강력한 항성풍 (2000 km/s 이상) 으로 인해 자신의 질량을 상실하고 있는 별들이다. (우리 태양이 태양풍으로 상실하는 질량의 약 10억배 정도를 상실한다고 한다.)
WR 124 또한 격렬하고 뜨거워서 지구 질량보다 30배 이상이나 되는 빛나는 가스 덩어리들을 항성풍을 통해 내뿜고 있다.
WR 124 는 이렇게 자신의 물질을 지난 20000 년에 걸쳐 천천히 날려 버리고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부분은 여전히 연구중이라 한다.
WR 124 와 같은 Wolf-Rayet Star 들은 그 질량에 따라 운명이 달라지는데, 많은 경우 초신성 폭발이나 감마선 폭발 같은 화려한 폭발로 별의 일생을 마감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203.html 이곳에서...

같은 포스팅을 2014년 7월 1일에도 올렸었는데, 그 당시 설명이 너무 부실해서 다시 올려본다.


2025년 2월 2일 일요일

Comet G3 ATLAS Disintegrates

 


Comet G3 ATLAS Disintegrates


- Image Credit : Lionel Majzik


이 사진은 1월 18일 부터 23일까지 칠레의 Río Hurtado 에서 촬영된 혜성 C/2024 G3 (ATLAS) 의 모습이다.
혜성 C/2024 G3 (ATLAS) 가 1월 중순에 태양 가까이 지나갔는데, 1월 말의 혜성의 모습은 비록 남반구에서 일몰 이후에 인상적인 꼬리를 보여주고는 있지만 머리가 없는 놀라운 상태였다.
사진에서 보면, 1월 18일의 혜성은 머리가 밝고 뚜렷한데 비해, 23일의 혜성은 머리 부분이 희미해졌다.
이렇게 된 이유로는 혜성 머리 중심부의 얼음과 바위로 된 핵이 파편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혜성 C/2024 G3 (ATLAS) 가 태양 가까이 지날 때 수성 궤도의 안쪽을 지나가게 되었는데, 이렇게 태양에 가까운 거리를 지나는 혜성들은 태양열 때문에 분해된다고 한다.
또한, 이렇게 분해된 혜성의 잔해들 중 일부는 계속해서 태양을 공전할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202.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31일 금요일

The Variable Nebula NGC 2261

 


The Variable Nebula NGC 2261


- Image Credit & Copyright : Tommy Lease (Denver Astronomical Society)


외뿔소 자리 (Monoceros) 방향으로 약 2500 광년 거리에 있는 변광 성운 NGC 2261 과 별 R Monocerotis (R Mon)를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중심에 부채꼴 형태로 있는 성운이 NGC 2261 이고, 그 밑 꼭지점에서 빛나고 있는 별이 R Monocerotis 이다.
NGC 2261 은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성간 구름인데, 몇 주 정도의 짧은 기간에도 그 모습이 눈에 띄게 변하고 있다.
200 여년 전에 처음 발견된 NGC 2261 은 그 폭이 약 1 광년 정도이고, 지난 세기 초 천문학자인 Edwin Hubble 에 의해 연구되었는데, 그 때문에 지금은 Hubble's Variable Nebula 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하다.
별 R Monocerotis 에서 퍼져 나가는 것처럼 보이는 반사 성운인 NGC 2261 의 가변성에 대한 주요 이론은, 별 R Monocerotis 근처를 지나는 어둡고 짙은 한 무리의 먼지가 NGC 2261 의 나머지 부분에 있는 먼지 구름에 움직이는 그림자를 드리운다는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31.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30일 목요일

Hydrogen Clouds of M33

 


Hydrogen Clouds of M33


- Image Credit & Copyright : Pea Mauro


삼각형 자리 (Triangulum, the Triangle) 방향으로 약 3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M33 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Triangulum Galaxy 라고도 알려진 M33 은 우리 은하가 속한 국부 은하군의 주요 구성원인데, 붉은 빛으로 보이는 수소 가스가 풍부한 은하이다.
사진에서는 은하의 중심부 약 60000 광년 정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HII regions 이라 하는 붉은 빛의 이온화된 수소 구름대가 특징적이다.
M33의 느슨한 나선팔을 따라 펼쳐져 있는 거대한 HII regions 은 알려져 있는 별 생성 영역들 중에 가장 큰 곳의 일부이며, 이곳에서는 주로 수명은 짧지만 질량이 큰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밝게 빛나고 무거운 별들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자외선이 주변의 수소 가스들을 이온화시키고 특징적인 붉은 빛을 만들어낸다.
이 사진은 가장 강한 가시광선 수소와 산소 스펙트럼 휘선 (emission lines)을 투과시키는 필터를 통해 기록된 협대역 데이터와 광대역 데이터를 합성하여 만든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30.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29일 수요일

Dust Shells around WR 140 from Webb

 



Dust Shells around WR 140 from Webb


- Image Credit : NASA, ESA, CSA, STScI, E. Lieb (U. Denver), R. Lau (NSF NOIRLab), J. Hoffman (U. Denver)


이 사진은 백조 자리 (Cygnus, the Swan) 방향으로 약 6000 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에서 만들어내는 여러 겹의 먼지 고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2022년에도 촬영을 했었는데, 그때와 비교하기 위해 원문에서는 마우스 커서를 올려 놓으면 2022년 사진으로 바뀐다.
이들 먼지 고리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아직 모르지만, Wolf-Rayet star 인 별 WR 140 이 주도하는 쌍성계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Wolf-Rayet star 는 무겁고, 밝으며 엄청난 항성풍이 몰아치는 별들인데, 보통 표면 온도가 아주 뜨거우며 (3만 ~ 20만 K) 강력한 항성풍 (2000 km/s 이상) 으로 인해 자신의 질량을 상실하고 있는 별들이다. (우리 태양이 태양풍으로 상실하는 질량의 약 10억배 정도를 상실한다고 한다.)
또한, Wolf-Rayet star 는 성간 먼지의 재료가 되는 탄소 같은 무거운 원소를 만들고 분산시킨다.
쌍성계를 구성하고 있는 또다른 별도 밝고 무겁지만 활동적이지는 읺는데, 이들 두 별은 길게 늘어진 타원형 궤도를 돌면서 8년 마다 서로 가까워진다.
두 별이 이렇게 가까워졌을 때, 쌍성계에서 방출하는 X-ray 가 증가하고 우주 공간으로 방출되는 먼지도 증가해서 새로운 먼지 껍질을 만들게 된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이들 적외선 이미지들은 그 어느 때보다 더 자세한 모습과 더 많은 먼지 껍질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2022년과 2023년 사진을 비교해보면 먼지 껍질들이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29.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2년 10월 13일에도 올렸었는데,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899602107


2025년 1월 28일 화요일

Comet G3 ATLAS over Uruguay

 


Comet G3 ATLAS over Uruguay


- Image Credit & Copyright : Mauricio Salazar


일주일 전쯤, 우루과이 (Uruguay) 산 호세 (San Jose)의 시에라스 데 마호마 (Sierras de Mahoma)에서 촬영된 혜성 C/2024 G3 (ATLAS)의 모습이다.
혜성이 보통 태양에서 멀리 있을 때는 혜성의 크기를 얼음과 바위로 된 단단한 핵으로 말하는데, 이런 혜성의 핵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수 km 정도로 작은 위성들 보다도 작다.
하지만, 혜성이 태양에 가까워지면 핵에서 먼지와 가스를 분출하여 얇은 꼬리를 만드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혜성의 꼬리는 그 길이가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보다도 훨씬 더 멀리까지 펼쳐질 수 있다.
사진 속의 혜성 C/2024 G3 (ATLAS)는 햇빛을 반사하는 먼지와 빛나는 가스로 이루어진 꼬리를 자랑하고 있는데, 이는 보름달의 겉보기 크기보다 몇 배나 더 길며, 육안으로 볼 때보다 장시간 노출 이미지로 볼 때 더 크게 보인다.
남반구의 일몰 이후에 두드러지게 보였던 혜성 C/2024 G3 (ATLAS)는 이제는 태양에서 멀어지면서 희미해지고 있으며 인상적인 꼬리도 보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28.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27일 월요일

케냐 기투구 (Kenya Gitugu) - 빈 브라더스

 


케냐 기투구
(Kenya Gitugu)

빈 브라더스
(Bean Brothers)


- 지역 : 케냐 무랑가 마라구아
- 가공소 : 기투구
- 재배 고도 : 1600 m
- 품종 : SL28, SL34, Ruiru11, Batian
- 가공 방식 : washed


- Tasting note : 망고, 샤인머스켓, 자두, 파인애플, 오렌지


이번 커피는 빈 브라더스에서 주문한 케냐이다.
케냐 커피는 어지간해서는 실망하는 경우가 별로 없기도 하고, 테이스팅 노트가 그다지 현실적일 것이라 생각이 들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는 괜찮겠지 라고 생각해서 선택해봤는데, 약간 실망했다.

분쇄하는 과정 중에는 오렌지 같은 향이 있어서 만족스러웠다.
하지만, 분쇄 후 따로 담아서 향을 맡아보면 그다지 개성있는 향들이 느껴지지 않았다.
과일 향이 있다는 것은 알겠지만 구체적으로는 구분이 어려웠다.
다만, 고소함과 단향은 나름대로 괜찮았다.
추출 후에도 주목할 만한 향은 없었다.

마실 때에는 1차 추출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조금 달라지는데, 그냥 평범하게 추출을 하면 정말 그냥 평범한 커피가 나온다.
마셔보면 과일 맛이 좀 밋밋하게 나와서 이도저도 아닌 것처럼 느껴지는데, 1차 추출을 진하게 하게되면 그래도 상큼한 과일 신맛이 느껴지고 견과의 고소함과 단맛이 서로 조화를 이루게 되어서 나름 괜찮은 커피가 된다.

이 커피는 너무 테이스팅 노트에 의미를 두지 않는게 좋을 것 같다.
신맛을 싫어하는 사람들은 1차 추출을 평범하게 해서 데일리 커피 정도로 즐기면 될 것 같고, 신맛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1차 추출을 진하게 하면 괜찮을 것 같다.


2025년 1월 25일 토요일

Stardust in the Perseus Molecular Cloud

 


Stardust in the Perseus Molecular Cloud


- Image Credit & Copyright : Jeff Schilling


페르세우스 (Perseus) 자리 방향으로 약 850 광년 거리에 페르세우스 분자 구름 (Perseus Molecular Cloud)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 분자 구름을 가로지르는 성간 먼지 구름들과 반사 성운 NGC 1333, 그리고 Herbig-Haro objects 등을 촬영한 사진이다.
먼지 구름들이 사진 전반에 퍼져 있으며, 사진 중심부에 파란 빛을 내는 성운이 반사 성운 NGC 1333 인데, 성운 내의 별에서 나오는 빛을 주변의 먼지들이 반사하여 이런 푸른 빛을 내고 있다.
또한, 그와 대조적으로 몇몇 붉은 빛을 내는 천체들이 있는데, 이것이 새로 태어난 별과 관련이 있는 Herbig-Haro objects 이다.
최근에 만들어진 별들에서 방출되는 제트와 빛나는 가스들이 먼지가 많은 넓은 공간에 흩어져 있는데, 이렇게 제트가 주변 가스와 먼지 구름 등을 충돌하여 성운 모양으로 빛을 내는 천체를 Herbig-Haro objects 라 한다.
이와 같이 많은 별들이 분자 구름 속에서 만들어지지만, 주변에 널리 퍼져 있는 먼지들 때문에 대부분 가시광선 관측은 어려운 상태이다.
한편, NGC 1333 주변의 혼란스러운 환경은 45억년 전 우리 태양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과 비슷할 수 있으며, 이 사진의 폭은 약 8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25.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24일 금요일

Comet G3 ATLAS : a Tail and a Telescope

 


Comet G3 ATLAS : a Tail and a Telescope


- Image Credit & Copyright : Yuri Beletsky (Carnegie Las Campanas Observatory, TWAN)


며칠 전 1월 19일, 칠레 아타카마 사막 (Atacama desert)에 있는 유럽 우주국 (ESO)의 파라날 천문대 (Paranal Observatory)에서 촬영된 혜성 C/2024 G3 ATLAS 의 모습이다.
먼 오르트 구름 (Oort Cloud)에서 온 혜성은 1월 13일에 근일점을 지났고, 사진에서는 남반구의 황혼 속으로 지고 있는 모습을 담았는데, 멋진 먼지 꼬리를 자랑하고 있으며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했다.
사진 속 건물은 파라날 천문대에 있는 4대의 1.8 m 직경 Auxiliary Telescopes (ATs) 중 하나이다.
여전히 남반구 관측자들을 놀라게 하고 있는 혜성 C/2024 G3 ATLAS 는 현재 밝은 머리 부분은 희미해졌고, 얼음 핵은 태양에 가까이 접근한 후 붕괴된 것으로 보인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24.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23일 목요일

NGC 7814 : Little Sombrero

 


NGC 7814 : Little Sombrero


- Image Credit & Copyright : Mike Selby


페가수스 (Pegasus) 자리 방향으로 약 4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 NGC 7814 를 촬영한 사진이다.
NGC 7814 는 Little Sombrero 라는 이름을 갖고 있기도 한데, 지구에서 봤을 때 사진처럼 옆 모습으로 보여 더 밝고 유명한 Sombrero Galaxy (M104)를 닮아서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
Sombrero Galaxy 나 Little Sombrero Galaxy 나 모두 나선 은하이며, 둘 다 넓은 halo를 지니고 있고 은하 중심부가 볼록한데, 얇은 먼지 띠가 있는 원반이 은하의 중심을 가로지르고 있다.
Little Sombrero Galaxy 가 더 멀리 있어서 작고 희미하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Little Sombrero 의 지름이 약 60000 광년으로 Sombrero Galaxy 와 크기가 비슷하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23.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22일 수요일

The North America Nebula

 


The North America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Dimitris Valianos


백조 자리 (Cygnus, the Swan) 방향으로 약 1500 광년 거리에 있는 North America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짐작대로, 북미 대륙을 닮았다 하여 이런 이름을 갖게 되었는데, NGC 7000 으로 등록되어 있는 North America Nebula 에서 북미 대륙의 동부 해안을 닮은 밝은 부분은 가스와 먼지, 그리고 새로 태어난 별들로 이루어진 뜨거운 곳으로 Cygnus Wall 로 알려져 있다.
많은 별들이 만들어지는 Cygnus Wall 은 밝고 젊은 별들로 인해 빛을 내고 침식되고 있으며 어두운 먼지에 의해 부분적으로는 가려져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22.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19일 일요일

Titan Touchdown


Titan Touchdown : Huygens Descent Movie


- Video Credit : ESA, NASA, JPL, U. Arizona, E. Karkoschka


이 영상은 2005년 유럽 우주국 (European Space Agency)의 하이겐스 탐사선 (Huygens probe)이 토성 위성인 타이탄 (Titan)에 착륙하면서 촬영한 이미지로 만든 영상이다.
하이겐스 탐사선는 2004년 후반 토성 주위 궤도에 도달한 직후 카시니 탐사선 (Cassini spacecraft)에서 분리되어 타이탄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도착 후 2시간 동안, 하이겐스 탐사선는 타이탄의 표면으로 하강하면서 처음엔 타이탄의 불투명한 대기만 기록했다.
트럭 타이어 크기의 컴퓨터화된 하이겐스 탐사선은 낙하산을 펼쳐 하강 속도를 느췄고, 두꺼운 구름을 뚫고 지금까지 가시광선 이미지로는 본 적이 없는 훨씬 아래의 이상한 표면 이미지를 전송하기 시작했다.
말라붙은 바다에 착륙해서 약 90 분 동안 살아남았던 하이겐스 탐사선는 주먹 크기만한 부드럽고 밝은 얼음 바위들이 흩어져 있는 어두운 모래 토양으로 이루어진 이상한 평원의 독특한 사진들을 보내왔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19.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16일 목요일

M83 : The Southern Pinwheel

 


M83 : The Southern Pinwheel


- Image Credit : CTIO, NOIRLab, DOE, NSF, AURA;
- Processing : T. A. Rector (U. Alaska Anchorage/NOIRLab), D. de Martin & M. Zamani (NOIRLab)


매우 긴 별자리인 바다뱀 자리 (Hydra, the Sea Serpent)의 남동쪽 끝 부분에 위치하며 거리는 약 1200만 광년인 나선 은하 M83 을 촬영한 사진이다.
뚜렷한 나선팔을 따라 어두운 먼지 띠와 푸른 성단들이 놓여져 있어서 The Southern Pinwheel 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데, 또한 이 나선팔을 따라 붉은 빛의 별 생성 영역들이 펼쳐져 있다보니 Thousand-Ruby Galaxy 라는 별칭도 갖고 있다.
은하의 폭은 약 40000 광년 정도로 우리 은하보다 작으며, 활동성 은하 Centaurus A 가 속해 있는 은하 그룹의 일원이다.
M83 의 중심 핵은 X-ray 방출원인데, 강력한 별 생성으로 인해 남겨진 중성자들과 블랙홀들이 밀집되어 있다.
한편, 이 사진은 Cerro Tololo Inter-American Observatory 에 있는 Dark Energy Camera 와 Blanco 4-meter telescope 으로 촬영되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16.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14일 화요일

North Star : Polaris and Surrounding Dust

 


North Star : Polaris and Surrounding Dust


- Image Credit & Copyright : Davide Coverta


이 사진은 북극성 (Polaris)과 그 주변을 촬영한 사진이다.
북극성은 지구 북쪽 자전축에 가장 가까운 밝은 별이어서 지구가 자전할 때 다른 별들이 북극성 주위를 공전하는 것처럼 보이며, 북극성 자체는 항상 같은 북쪽 방향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지구 남쪽 자전축 근처에는 밝은 별이 없기 때문에 현재 밝은 South Star 는 없는 상태이다.
수천 년 전에는 지구 자전축이 약간 달라서 Vega (직녀성)가 북극성이었다.
북극성이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은 아니지만, 북두칠성의 컵 부분에 있는 두 별과 거의 일직선 상에 있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다.
이 사진은 수백 장의 노출 이미지를 합성하여 만들었는데, 그러다보니 북극성 주변에 있는 Integrated Flux Nebula (IFN)의 희미한 가스와 먼지도 뚜렷히 보여주고 있다.
한편, 북극성은 케페이드 (Cepheid) 변광성이어서 며칠 주기로 그 밝기가 몇 % 씩 변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14.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3년 4월 11일에도 올렸었고, 그때와 글의 내용은 비슷하고 사진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3071752319


2025년 1월 13일 월요일

콜롬비아 우일라 핑크 부르봉 2024 그랑 크뤼 (Colombia Huila Pink Bourbon, 2024 Grand Cru) - 테라로사

 


콜롬비아 우일라 핑크 부르봉 <2024 그랑 크뤼>
(Colombia Huila Pink Bourbon, 2024 Grand Cru)

테라로사
(Terarosa)


- 지역 : Huila
- 품종 : Pink Bourbon
- 가공 방식 : washed
- 수확 시기 : 2023년 9월 ~ 12월

- Tasting note : Orange, Hibiscus, Cranberry, Mango, Juicy


이번 커피는 아주 오랜만에 테라로사에서 주문해봤다.
테라로사에서 나름대로 고품질 커피에 붙이는 명칭인 "Grand Cru"에 선정된 커피인데, 이런 호칭들이 얼마나 공신력이 있는 건지는 잘 모르겠고, 그저 상큼한 오렌지와 크랜베리, 망고 등의 테이스팅 노트가 있어서 선택해봤다.

분쇄하고 마셔보면서 느낀 건, 오렌지와 히비스커스 향미가 분명히 느껴진다는 점이다.
분쇄할 때 느껴지는 오렌지 향은 제법 훌륭하다.
하지만, 분쇄를 마치고 따로 컵에 담아서 향을 맡아보면 오렌지 향 보다는 히비스커스 향이 더 강하게 느껴진다.
처음엔 히비스커스 향미가 어떤 건지 몰라 단골 커피집에 가서 따로 히비스커스 차를 마셔봤다.
마셔보고 내가 느낀 히비스커스는 생 꽃잎을 먹는데 거기에 새콤한 맛이 있는 느낌이랄까. 암튼 그랬다.
그러고나서 커피를 마셔보니 정말 전형적인 히비스커스 향미가 느껴졌다.
뿐만 아니라 히비스커스 향미가 좀 강하다보니 때론 쿰쿰한 향처럼 다가오기도 했다.
예전에 커피 하시는 분들이 꽃 향기가 너무 강하면 쿰쿰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고 했던 말이 떠올랐다.
그런데, 오렌지와 히비스커스는 분명했지만, 테이스팅 노트에 적혀있던 크랜베리나 망고는 좀처럼 느끼기 어려웠다.
하지만, 고소함 또한 괜찮았고 단맛도 나쁘지 않았다.
그래도 오렌지 향미가 있는 커피치고 상큼한 과일 신맛이 부족했던 점은 좀 아쉬웠다.
테라로사 홈페이지에는 "상큼한 오렌지 과즙"이라는 표현이 적혀있는데, 내가 느끼기엔 그 정도는 아니었다.
암튼, 이번 커피는 처음부터 끝까지 오렌지와 히비스커스가 지배했던 커피였고, 뒷맛은 깔끔했다.


2025년 1월 12일 일요일

Mimas : Small Moon with a Big Crater

 


Mimas : Small Moon with a Big Crater


- Image Credit : NASA, JPL-Caltech, Space Science Institute, Cassini


이 사진은 토성 탐사선이었던 카시니 탐사선 (Cassini Spacecraft)이 2010년 토성의 위성인 Mimas 를 가장 가까이 지나갈 때 촬영한 사진이다.
Mimas 는 토성의 가장 작은 위성들 중 하나인데, 이곳에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커다란 충돌 분화구가 존재한다.
분석에 따르면, 충돌이 조금 더 컸더라면 아마도 Mimas 가 완전히 파괴되었을 것이라 한다.
Mimas의 거대한 충돌 분화구는 Herschel 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이는 1789년 Mimas 를 처음 발견한 William Herschel 경의 이름에서 딴 것이며, 분화구의 지름은 약 130 km 이다.
Mimas의 작은 질량은 구형체를 만들기에 충분히 강한 표면 중력을 생성하지만, 이처럼 커다란 충돌 분화구 같은 표면 특징을 만들만큼 약하기도 하다.
Mimas 는 대부분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고 약간의 바위가 섞여 있어서 크고 더러운 눈덩이로 표현되기도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12.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11일 토요일

An Evening Sky Full of Planets

 


An Evening Sky Full of Planets


- Image Credit & Copyright : Dario Giannobile


1월 2일, 에트나 산 (Mount Etna)의 실베스트리 분화구 (Silvestri Crater)에서 촬영된 밤하늘의 모습이다.
사진에서 보듯이, 태양계 행성들이 황도면의 호를 따라 줄지어 있는 모습인데, 수성만 빠져있다.
사진의 제일 왼쪽엔 화성이 빛나고 있고, 그밖에 목성과 토성, 금성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천왕성과 해왕성은 아주 희미한 상태이다.
그리고, 오른쪽 끝 서쪽 지평선에는 일몰 이후 지구 반사광에 의해 부분적으로 빛나고 있는 초승달이 자리하고 있다.
지구의 초저녁 밤하늘은 1월 내내 행성들로 가득한데, 1월 13일에는 미국 본토와 캐나다 동부에서 화성 앞을 지나는 보름달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11.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10일 금요일

Young Stars, Dark Nebulae

 


Young Stars, Dark Nebulae


- Image Credit & Copyright : Long Xin


황소 자리 (Taurus) 방향으로 약 450 광년 거리에 황소 자리 분자 구름 복합체 (Taurus molecular cloud complex)가 자리하고 있는데, 이곳에 있는 암흑 성운들과 별들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곳의 여러 항성계에 있는 별들은 나이가 수백만 년 정도 밖에 안된 어린 별들로, 밝기가 다양하고 중력 붕괴의 후기 단계에 있다.
T-Tauri 계열 별들로 알려진 이 별들은 대체로 희미하며 사진에서는 노란색을 띄고 있다.
참고로, T-Tauri 계열 별들은 나이가 1000만 년 미만인 변광성 계열의 별들이다.
가장 밝은 T-Tauri 계열 별들 중 하나인 V773 (HD283447)이 사진의 중심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진 상단에는 짙은 암흑 성운인 Barnard 209 가 자리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10.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9일 목요일

Peculiar Galaxies of Arp 273

 


Peculiar Galaxies of Arp 273


- Image Credit & Copyright : Dave Doctor


안드로메다 (Andromeda) 자리 방향으로 약 3억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쌍 Arp 273 을 촬영한 사진이다.
Arp 273 은 두 개의 은하가 서로 중력 상호 작용으로 인해 뒤틀리고 왜곡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런 은하들이 그 모습은 특이하게 보일지 몰라도 우주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약 2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우리 이웃 은하인 안드로메다 은하도 우리 은하와 계속해서 가까워지고 있는데, Arp 273 은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의 먼 미래와 유사한 모습을 제공해주고 있다.
우주적 기준에서 반복되는 은하들의 충돌은 결국 하나의 은하로 만들어지게 된다.
한편, Arp 273 에서 두 은하 핵 사이의 간격은 약 10000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09.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2년 2월 19일에도 올렸었고, 그때와 글의 내용은 비슷하고 사진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652184095


2025년 1월 8일 수요일

Supernova Remnants Big and Small

 




Supernova Remnants Big and Small


- Image Credit & Copyright : Stéphane Vetter (Nuits sacrées)


마부 자리 (Auriga)와 황소 자리 (Taurus) 사이에 위치한 두 개의 초신성 잔해를 촬영한 사진이다.
별이 폭발하게 되면 거대한 가스 불덩이들이 사방으로 뿜어져 나오게 되는데, 이 가스들이 기존의 성간 물질들과 충돌하게 되면 아주 뜨거워져 빛을 내게 된다.
이러한 초신성 잔해를 모로코 (Morocco)의 Oukaïmeden Observatory 에서 촬영했는데, 왼쪽 상단에 파란 축구공처럼 생긴 성운이 SNR G179.0+02.6 이며, 거리는 약 11000 광년이고 약 50000년 전에 폭발한 초신성 잔해이다.
SNR G179.0+02.6 은 대부분 수소 가스로 이루어져 있지만, 미량의 산소로 인해 푸른 빛이 방출되고 있다.
반면, 오른쪽 하단에 좀더 크게 보이는 성운은 Spaghetti Nebula 이며, Simeis 147 또는 sh2-240 등으로 등록되어 있다.
Spaghetti Nebula 까지의 거리는 약 3000 광년이고, 약 40000 년 전에 폭발을 일으켰다.
사진에서는 두 성운이 크기가 달라 보이지만, 실제로는 크기도 비슷하고 나이도 비슷하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08.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7일 화요일

A New Year's Aurora and SAR Arc

 



A New Year's Aurora and SAR Arc


- Image Credit & Copyright : Alessandra Masi


이 사진은 새해 1월 1일, 이탈리아 Pieve di Cadore 근처에서 촬영된 오로라와 SAR Arc 의 모습이다.
사진에서 왼쪽에 빛 기둥처럼 보이는 붉은 빛이 오로라이고, 이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하전 입자들이 지구 대기에 들어오면서 발생되는 것이다.
반면, 사진의 오른쪽에 보이는 붉은 빛은 SAR Arc 로 추정되는데, SAR Arc 는 지구 대기를 가로질러 흐르는 하전 입자들에 의해 발생된다.
두 광학 현상이 모두 붉은 색을 띄고 있지만 약간 다른데, 이것은 오로라가 산소와 질소 모두에서 빛을 내고 있는 반면, 고도가 더 높은 SAR Arc 는 순전히 대기 산소에 의해서만 빛을 내고 있기 때문으로 여겨지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07.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6일 월요일

Colliding Spiral Galaxies from Webb and Hubble

 


Colliding Spiral Galaxies from Webb and Hubble


- Image Credit : NASA, ESA, CSA, STScI


큰 개 자리 (Canis Major) 방향으로 약 8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두 나선 은하 NGC 2207 과 IC 2163 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두 은하는 서로 충돌하여 합쳐지고 있는데, 앞으로 수십억 년 후에는 하나의 은하가 될 것이라 한다.
그때까지, 두 은하는 서로 천천히 분리되면서 물질들의 흐름과 여러 층의 충격파 가스, 그리고 어두운 먼지 띠와 폭발적인 별 생성, 떨어져 나간 별들의 흐름 등을 만들게 된다.
오른쪽에 조금 더 큰 은하가 NGC 2207 이고 왼쪽의 작은 은하가 IC 2163 인데, 천문학자들은 결국 NGC 2207 이 IC 2163 을 통합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약 4000만 년 전에 절정이었던 두 은하의 최근 충돌에서는 작은 은하인 IC 2163 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더 큰 은하인 NGC 2207 보다 약간 뒤쪽에 있다.
또한, 두 은하에 속한 별들 사이의 공간은 아주 광대해서 은하가 충돌하더라도 별들이 서로 충돌하는 일은 일반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이 사진은 허블 우주 망원경의 가시광선 이미지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적외선 이미지를 합성하여 만든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06.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4일 토요일

Welcome to Perihelion

 


Welcome to Perihelion


- Image Credit & Copyright : Peter Ward (Barden Ridge Observatory)


이 사진은 지난 12월 동짓날 촬영된 태양의 모습이다.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 궤도는 원이 아니라 타원이다.
타원 궤도를 도는 지구가 태양과 가장 가까이 지나는 지점을 근일점 이라 하는데, 올해 근일점은 바로 오늘 1월 4일 13:28 UTC 이었고, 거리는 약 1억 4700만 km 였다.
비교를 위해, 지구가 태양과 가장 먼 거리였던 원일점은 지난 7월 3일이었고, 거리는 약 1억 5,200만 km 였다.
하지만, 태양과의 거리가 지구의 계절을 결정하지는 않는다.
이 사진이 촬영된 12월 동짓날이 근일점과 불과 14일 이내였던 것은 우연의 일치였다.
또한, 근일점이 NASA의 태양 탐사선인 Parker Solar Probe 가 태양과 가장 가까운 거리까지 갔었던 날과 11일 밖에 차이나지 않는 것도 우연일 뿐이었다.
2018년에 발사된 태양 탐사선 Parker Solar Probe 는 2024년 12월 24일에 태양 표면에서 620만 km 이내를 비행하면서 지구에서 발사된 우주선 중 태양에 가장 가까이 접근한 기록을 경신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04.html 이곳에서...


2025년 1월 1일 수요일

Alpha Centauri : The Closest Star System

 



Alpha Centauri : The Closest Star System


- Image Credit & Copyright : Telescope Live, Heaven's Mirror Observatory; 
- Processing : Chris Cantrell


센타우루스 (Centaurus) 자리에 위치한 알파 센타우리 항성계 (Alpha Centauri, the Alpha Centauri system)를 촬영한 사진이다.
알파 센타우리 항성계는 가장 가까운 항성계이며, Alpha Centauri A 와 Alpha Centauri B, Alpha Centauri C 이렇게 세 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별은 순서대로 Rigil Kentaurus, Toliman, Proxima Centauri 라고도 부른다.
세 개의 별 중 가장 어두운 별인 Proxima Centauri 가 우리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이며 거리는 약 4광년 정도이다.
Alpha Centauri A 와 Alpha Centauri B 는 쌍성계를 이루고 있으며, 이 두 별 사이의 거리는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의 약 23배 정도이고, 이는 태양과 천왕성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더 먼 정도이다.
알파 센타우리 항성계는 북반구 대부분 지역에서는 볼 수 없고, Alpha Centauri A 가 센타우루스 (Centaurus) 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며, 밤하늘에서는 4번째로 밝은 별이다.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은 거리가 두 배나 더 먼 시리우스 (Sirius)이다.
우연히도, Alpha Centauri A 는 우리 태양과 같은 유형의 별이며, Proxima Centauri 는 잠재적으로 거주 가능한 외계 행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NGC 5617 은 산개 성단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50101.html 이곳에서...


2024년 12월 30일 월요일

M27 : The Dumbbell Nebula

 


M27 : The Dumbbell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Christopher Stobie


여우 자리 (Vulpecula, the Fox) 방향으로 약 1360 광년 거리에 있는 성운 M27 을 촬영한 사진이다.
M27 은 혜성과 혼돈하지 말아야 할 천체 목록을 작성하던 Charles Messier 가 1764년 처음 발견한 행성상 성운이다.
Dumbbell Nebula 로도 알려져 있는 M27 은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행성상 성운 중 하나이며 쌍안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행성상 성운은 우리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들의 마지막 단계인데, 우리 태양도 약 60억년 후에 외곽 가스층을 벗어던지고 행성상 성운이 될 것이고 남아있는 중심 핵은 X-ray 고온의 백색 왜성이 될 것이다.
사진에서는 황, 수소, 산소에서 방출되는 색을 각각 붉은색, 녹색, 파란색으로 보여주고 있다.
M27 에 대한 물리학과 그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은 18세기 과학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이었는데, 오늘날에도 행성상 성운에 대한 많은 부분들이 여전히 미스테리로 남아 있으며 그 복잡한 형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도 그 중 하나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30.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1년 7월 12일에도 올렸었고, 그때와 글의 내용은 거의 비슷하고 사진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429302713


2024년 12월 29일 일요일

애도 (哀悼) ...


무안 공항에서 발생한 제주 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들의 명복을 빕니다.
아울러, 그 유가족 분들에게 애도를 표하고 슬픔을 함께 합니다.


Methane Bubbles Frozen in Lake Baikal

 


Methane Bubbles Frozen in Lake Baikal


- Image Credit & Copyright : Kristina Makeeva


이 사진은 바이칼 호수 (Lake Baikal) 아래에서 올라오는 메탄 (Methane) 거품이 얼어있는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러시아의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인 바이칼 호수는 용적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호수이며, 가장 오래되고 가장 깊은 호수이기도 하다.
전 세계 담수의 20%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바이칼 호수는 또한 온실 가스인 메탄의 방대한 저장소이다.
만약, 이러한 메탄이 방출된다면 지구 대기에 흡수되는 적외선 양이 증가하고 지구 전체의 평균 기온이 상승할 수 있다.
다행히도 현재 방출되는 메탄의 양이 기후학적으로 그다지 중요한 정도는 아니지만, 만약 이 지역의 기온이 상승하거나 바이칼 호수의 수위가 낮아진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분명치 않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29.html 이곳에서...


2024년 12월 28일 토요일

A December Winter Night

 


A December Winter Night


- Image Credit & Copyright : Włodzimierz Bubak


며칠 전 동짓날 폴란드 남부에서 촬영된 밤하늘의 모습이다.
붉은 빛으로 빛나고 있는 성운들이 보이는데, 이는 붉은색의 hydrogen-alpha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조작하여 촬영했기 때문이다.
산봉우리 바로 위에 붉은색 반원 형태로 둘러싸고 있는 성운은 오리온 자리의 Barnard's Loop 이고, 그 안에 오리온 자리의 오리온 벨트를 구성하고 있는 세 개의 별들과 오리온 성운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오리온 자리 바깥쪽을 구성하고 있는 4개의 별들 중 왼쪽에 주황색으로 보이는 별이 적색 거성인 Betelgeuse 이고, 오른쪽 아래에 파란색으로 빛나고 있는 별이 Rigel 이다.
또한, 사진의 상단 중심 근처에 구분하기는 좀 어려운데, Hyades star cluster 가 있고, 그 옆에 역시 주황색으로 빛나고 있는 별이 Aldebaran 이다.
마지막으로, 사진 상단 근처에서 가장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은 실은 우리 태양계의 목성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28.html 이곳에서...


2024년 12월 26일 목요일

Grand Spiral NGC 5643

 


Grand Spiral NGC 5643


- Image Credit : ESA / Hubble & NASA


이리 자리 (Lupus, the Wolf) 방향으로 약 55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NGC 5643 을 촬영한 사진이다.
거의 정면으로 보이는 NGC 5643 은 그 지름이 100000 광년이 넘는데, 이 사진에서는 그 중심부 약 40000 광년을 보여주고 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의 이미지 데이터를 합성하여 만든 이 사진에서 NGC 5643 은 노란색의 중심 핵 부분과 이를 감싸고 돌며 뻗어 나오는 나선팔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는데, 노란색의 중심 핵 부분은 늙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고, 나선팔에는 먼지 띠와 젊고 푸른 별들, 그리고 붉은 색의 별 생성 영역 등이 펼쳐져 있다.
또한, NGC 5643 의 밝은 중심 핵은 전파와 X-rays 의 강력한 방출원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사실 NGC 5643 은 Seyfert 계열의 활동성 은하에 가장 가까운 예이며, 엄청난 양의 먼지와 가스들이 그 중심에 있는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참고로, 활동성 은하에는 크게 두 부류가 있는데, 하나는 Seyfert galaxy 이고, 다른 하나는 퀘이사 (quasar)를 갖고 있는 은하이다.
그 중 Seyfert galaxy 는 매우 높은 표면 밝기를 갖고 있고, 퀘이사와 비슷한 핵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스펙트럼은 강하고 높은 이온화 방출선을 보여주고 있으며, 퀘이사와 달리 Seyfert galaxy 는 명확한 탐지가 가능하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26.html 이곳에서...


2024년 12월 25일 수요일

Diamond Dust Sky Eye

 



Diamond Dust Sky Eye


- Image Credit & Copyright : Jaroslav Fous


이 사진은 지난 주, 체코의 Ore Mountains 에서 촬영된 Diamond Dust 라는 대기 광학 현상이다.
Diamond Dust 는 대기 중에서 만들어져서 지상으로 흩어지는 작은 얼음 결정들을 일컫는 비공식적 용어인데, 얼음 결정들이 기하학적인 형태이기 때문에 이들 결정들이 태양빛이나 달빛을 체계적으로 반사하게 되면 우리 눈에 거대한 halo 나 특이한 호 (arc)  처럼 보이게 된다.
때론, 이러한 현상들이 합쳐지면 거대한 눈이 우리를 바라보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사진에서는 밝은 달이 얼음 안개로 가득찬 대기 중에 떠오르면서 여러 광학 현상들이 동시에 나타나게 되었는데, Moon dogs, tangent arcs, halos, parhelic circle 뿐만 아니라 사진의 맨 왼쪽에서는 빛 기둥 (light pillars)도 볼 수 있다.
참고로, Moon dogs 은 달의 한쪽 또는 양쪽에 밝은 점처럼 나타나는 현상이며, tangent arcs 는 태양이나 달의 위, 아래에 나타나면서 22-degree halo 에 접하고 있는 halo 의 한 유형이다. 그리고, parhelic circle 는 태양이나 달과 같은 고도에서 수평으로 나타나는 흰선 모양의 halo 이다.
또한, 22-degree halo 의 바닥면 바로 안쪽에서 목성과 화성도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25.html 이곳에서...


2024년 12월 24일 화요일

Fox Fur, Cone, and Christmas Tree

 



Fox Fur, Cone, and Christmas Tree


- Image Credit & Copyright : Tim White


외뿔소 자리 (Monoceros, the Unicorn) 방향으로 약 2700 광년 거리에 있는 NGC 2264 를 촬영한 사진이다.
NGC 2264 는 하나의 천체가 아니라 여러 성운들과 성단이 포함된 별 생성 영역인데, 통상적으로 Cone Nebula 와 Christmas Tree Cluster 를 함께 칭하는 명칭이고, 역시 이곳에 함께 있는 Fox Fur Nebula 는 공식적으로는 포함되지 않는다.
사진에서 상단에 원뿔 형태로 있는 것이 Cone Nebula 이고, 중앙의 왼쪽에 동물 털처럼 보이는 성운이 Fox Fur Nebula 이며, 그 바로 오른쪽 옆에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이 변광성인 S Mon 이다.
반면, Cone Nebula 와 Fox Fur Nebula 사이에 많은 별들이 마치 크리스마스 트리의 장식처럼 밝게 빛나고 있는 곳이 Christmas Tree Cluster 이다.
NGC 2264 는 가스와 먼지가 복잡하게 뒤섞여 있는 곳이며, 새로 태어난 별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빛에 의해 들뜬 상태가 된 붉은 빛의 발광 성운 (emission nebulae)과 어두운 성간 먼지 구름들이 혼재되어 있는 곳이다.
한편, 이 사진의 폭은 약 5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24.html 이곳에서...


2024년 12월 23일 월요일

Christmas Tree Aurora

 


Christmas Tree Aurora


- Image Credit & Copyright : Jingyi Zhang


이 사진은 2023년 12월 아이슬란드 Djúpivogur 에서 촬영된 오로라의 모습이다.
마치 크리스마스 트리를 닮은 이 오로라는 녹색과 파란색, 보라색 등으로 선명하게 빛나고 있는데, 이는 상층 대기에서 산소와 질소가 폭발적으로 유입되는 전자와 반응하면서 만들어낸 것이다.
이렇게 원소들과 전자의 충돌로 인해 원자와 분자의 전자들이 들뜬 에너지 상태로 되었다가 다시 정상 상태로 돌아오면서 가시광선을 방출한다.
현재 우리 태양은 11년 활동 주기 중 가장 활발한 상태이며, 많은 수의 활성 영역과 흑점들이 내년까지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태양은 올 한해 내내 극대기 (solar maximum)에 가까웠으며, 때때로 멋진 오로라를 만들어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23.html 이곳에서...


2024년 12월 22일 일요일

The Local Fluff

 


The Local Fluff


- Illustration Credit : NASA, SVS, Adler, U. Chicago, Wesleyan


이 일러스트는 우리 태양이 국부 성간 구름 속을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는 그림이다.
우리 은하 원반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물질의 약 10 % 정도는 성간 물질 (interstellar medium (ISM))이라 불리는 가스의 형태인데, 이들 성간 물질들은 균일하지 않으며 우리 태양 근처에서도 산재해 있다.
국부 성간 물질 (local ISM)들은 너무 희박하고 빛을 거의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감지하기가 매우 어렵지만, 대부분 수소 가스인 이들은 가장 가까운 별들의 빛에서 탐지될 수 있는 특정 색상을 흡수한다.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성간 경계 탐사 위성 (Interstellar Boundary Exporer satellite (IBEX))의 지속적인 관측과 입자 탐지를 기반으로 20 광년 이내의 국부 성간 물질의 지도를 작성한 것이 위에 있는 그림이다.
이러한 관측은 Scorpius-Centaurus Association 별 생성 영역으로 부터 성간 구름이 바깥쪽으로 흘러감에 따라 우리 태양이 국부 성간 구름을 통과하며 움직이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우리 태양은 Local Fluff 라고도 불리는 이들 성간 구름을 앞으로 약 10000년에 걸쳐 벗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부 성간 물질의 분포나 기원, 그리고 우리 태양과 지구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는 것이 많지만, 뜻밖에도 성간 경계 탐사 위성 (Interstellar Boundary Exporer satellite (IBEX))의 측정을 통해 우리 태양계를 통과하는 중성 성간 입자 흐름 (neutral interstellar particles flow)의 방향이 바뀌고 있음을 알아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22.html 이곳에서...


2024년 12월 20일 금요일

에티오피아 구지 함벨라 불레 내추럴 (Ethiopia Guji Hambella Bule Natural) - 커피 리브레

 


에티오피아 구지 함벨라 불레 내추럴
(Ethiopia Guji Hambella Bule Natural)

커피 리브레
(Coffee Libre)


- 생산자 : 이스마엘 하센
- 지역 : 구지, 함벨라, 불레
- 재배 고도 : 2000 ~ 2500 m
- 품종 : 74110
- 가공 방식 : natural

- Tasting note : 라벤더, 복숭아, 블루베리, 체리


이번 커피는 커피 리브레의 에티오피아 이다.
예전에도 에티오피아 구지 함벨라 지역에서 나는 커피를 몇번 접했었는데, 뒤에 붙는 이름들이 조금씩 다른 걸 보면 같은 지역 내에서도 또 구획이 다른 모양이다.
암튼, 이번 커피도 특별히 개성이 있다기 보다는 데일리 커피로 어울리는 커피였다.
테이스팅 노트에 복숭아나 블루베리, 체리 등이 적혀있는데, 나는 잘 느끼지 못했다.
베리류의 뉘앙스는 분명 있는데, 이것이 꼭 집어서 블루베리인지는 좀 애매했다.
오래전에 에티오피아 리무 커피에서 느꼈던 정말 강한 블루베리 맛에 비하면 이번 커피의 베리 향미는 그에 한참 부족하다.
하지만, 향미 초반에 느껴지는 밝고 산뜻한 느낌은 괜찮았다. 
이 향미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또 베리와 관련이 있는 것인지도 확실치 않지만, 나름 괜찮았다.
특히 진하게 추출했을 때 좀더 뚜렷해졌는데, 나는 꽤 마음에 들었다.
그밖에 꽃인지 허브인지 모를 향이 하나 있는데, 이것도 약한 편이어서 구분이 어려웠다.
전체적으로, 약간의 밝고 상큼한 느낌과 약간의 고소함, 그리고 약간의 단맛이 있는 커피였고, 개성은 없었지만 그냥 무난하게 마시기는 나쁘지 않은 커피였다.
하지만, 누군가에게 추천할만 하냐고 묻는다면 내 대답은 "글쎄"이다.


2024년 12월 18일 수요일

NGC 660 : Polar Ring Galaxy

 


NGC 660 : Polar Ring Galaxy


- Image Credit & Copyright : Mike Selby


물고리 자리 (Pisces, the Fish) 방향으로 약 4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 NGC 660 을 촬영한 사진이다.
NGC 660 은 특이한 고리 구조를 지니고 있는데, 이런 은하를 극고리 은하 (Polar Ring Galaxy)라 한다.
두 개의 고리를 갖고 있는 NGC 660 에서 고리 하나는 거의 수직 방향으로 되어있고, 다른 하나는 왼쪽 상단에서부터 오른쪽 하단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좀더 작은 크기로 되어 있다.
고리들은 밝은 별들과 가스, 어두운 먼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NGC 660 이 어떻게 이런 구조를 갖게 되었는지는 여전히 연구중이지만, 주요 이론에 따르면 서로 다른 중앙 고리 평면을 지닌 두 은하가 충돌하면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한편, NGC 660 은 폭이 약 50000 광년 정도이고, 이 사진은 칠레에 있는 Observatorio El Sauce 에서 촬영되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18.html 이곳에서...


2024년 12월 17일 화요일

Near to the Heart Nebula

 



Near to the Heart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Jeff Horne & Drew Evans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 자리 방향으로 약 7500 광년 거리에 있는 발광 성운 (emission nebula)인 Heart Nebula 와 그 주변을 촬영한 사진이다.
IC 1805 로 등록되어 있는 Heart Nebula 는 사람의 심장을 닮았다 하여 이런 별칭을 얻게 되었는데, 사진에서는 왼쪽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Heart Nebula 는 가장 두드러진 원소인 수소에서 방출되는 붉은 빛으로 밝게 빛나고 있지만, 그외에도 황에서 방출되는 노란빛과 산소에서 방출되는 파란빛도 함께 하고 있다.
Heart Nebula 의 중심에는 Melotte 15 라는 산개 성단이 있으며, 이 성단을 구성하는 젊은 별들은 강력한 빛과 항성풍을 내뿜으며 주변의 먼지 기둥들을 침식시키고 있다.
한편, 이 사진에는 Heart Nebula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성운들도 있는데, Heart Nebula 바로 아래에는 Fishhead Nebula 가 위치하고 있고, 그 아래 왼쪽 제일 밑에는 초신성 잔해인 SNR G132.7+01.3 이 자리하고 있다.
또한, 사진의 오른쪽에는 세 개의 행성상 성운들이 위치하고 있다.
57일에 걸쳐 촬영된 이 사진은 아주 세밀해서 희미하고 길고 복잡한 필라멘트도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17.html 이곳에서...


2024년 12월 13일 금요일

M51 : Tidal Streams and H-alpha Cliffs

 


M51 : Tidal Streams and H-alpha Cliffs


- Image Credit & Copyright : The Deep Sky Collective - Tim Schaeffer, Carl Björk, Steeve Body, Fabian Neyer, Aki Jain, Ryan Wierckx, Paul Kent, Brian Valente, Antoine & Dalia Grelin, Nicolas Puig, Stephen Guberski, Mike Hamende, Julian Shapiro, John Dziuba, Mikhail Vasilev, Bogdan Borz, Adrien Keijzer


사냥개 자리 (Canes Venatici) 경계 내에 위치하고 거리는 약 3100만 광년인 은하쌍 M51 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왼쪽에 정면으로 보이면서 소용돌이 나선 구조를 보여주는 은하가 NGC 5194 이고, 그 오른쪽 옆에 작은 동반 은하가 NGC 5195 이다.
NGC 5194 의 나선팔과 먼지띠가 NGC 5195 앞을 지나고 있는 모습이며, M51 은 직접 망원경으로 보면 희미하고 흐릿한데, 이 사진에서는 은하쌍의 인상적인 색상과 희미한 조석 흐름 (tidal streams) 등을 놀랄만큼 세밀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최근에 발견된 이온화된 수소 가스로 이루어진 광대한 붉은색 구름을 강조하여 보여주고 있는데, 이 붉은색 구름을 H-alpha Cliffs 라고도 한다.
사진에서는 그밖에 우리 은하에 속해 있는 전경의 먼지 구름들과 멀리 있는 배경 은하들도 볼 수 있다.
한편, 이 사진은 여러 망원경을 사용한 천체 사진가들의 3주에 걸친 노출 시간을 통해 얻어진 이미지들을 모아 만들어졌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13.html 이곳에서...


2024년 12월 12일 목요일

...


그 옛날 우리가 김대중 대통령을 기다렸듯이 나는 조국 대표를 기다릴 것이다.
언젠가 그의 시대가 올 것이라 믿는다.


2024년 12월 11일 수요일

The Shells and Jets of Galaxy Centaurus A

 




The Shells and Jets of Galaxy Centaurus A


- Image Credit : Rolf Olsen


센타우루스 자리 (Centaurus) 방향으로 약 12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활동성 은하 Centaurus A 를 촬영한 사진이다.
NGC 5128 로도 등록되어 있는 Centaurus A 는 두 개의 정상적인 은하가 충돌하여 만들어졌으며,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어두운 먼지띠와 별과 가스로 이루어진 외곽 껍질 구조, 그리고 은하 중심의 초거대 블래홀에서 뿜어져 나오는 입자 제트 (jets) 등의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저에너지 전파에서부터 고에너지 감마선까지 Centaurus A 중심부의 밝기는 활동성 은하라는 명칭의 기반이 되고 있다.
한편, 이 사진은 뉴질랜드 Auckland 에서 운영되고 있는 자체 제작 망원경으로 촬영되었는데, 지난 10년 동안 310 시간 이상의 가시광선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얻어진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11.html 이곳에서...


2024년 12월 10일 화요일

The Great Meteor Storm of 1833

 


The Great Meteor Storm of 1833


- Image Credit : Engraving: Adolf Vollmy; Original Art: Karl Jauslin


이 그림은 1833년에 있었던 대유성 폭풍 (Great Meteor Storm of 1833)의 모습을 담은 목판을 디지털 이미지로 만든 것이다.
당시에 약 100000 개의 유성들이 쏟아지면서 최근 역사에서 가장 인상적인 유성 현상이었다.
1833년 11월 13일 동트기 전, 북미 동부 지역에서 가장 잘 볼 수 있었고, 많은 사람들이 밤하늘에서 쏟아지는 줄무늬와 섬광을 보여 깨어났는데, 사람들 중에는 젊은 에이브러험 링컨 (Abraham Lincoln)도 있었다.
수십만 개의 유성이 사자 자리 (Leo, the Lion) 에서 뿜어져 나오는 것처럼 보이면서 하늘을 가로질러 빛났다.
오늘날 우리는 1833년의 대유성 폭풍이 지구가 혜성 Tempel-Tuttle 에서 분출된 짙은 먼지 영역을 지나면서 발생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지구는 매년 11월마다 사자 자리 유성우 (Leonid meteor shower) 기간 동안 이 먼지 흐름을 지나게 된다.
한편, 이번 주 후반에는 매년 발생하는 쌍둥이 자리 유성우 (Geminid meteor shower)를 볼 수 있는데, 이때 어쩌면 1833년 유성우의 강렬함을 살짝 맛볼수 있을지도 모른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10.html 이곳에서...


2024년 12월 9일 월요일

Pleiades : The Seven Sisters Star Cluster

 


Pleiades : The Seven Sisters Star Cluster


- Image Credit & Copyright : Francesco Pelizzo


황소 자리 (Taurus) 방향으로 약 400 광년 거리에 있는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촬영한 사진이다.
밤하늘에서 가장 유명한 성단인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불빛이 밝은 도시에서도 육안 관측이 가능할 정도로 밝은 성단이다.
또한, 어두운 장소에서 장노출을 통한 촬영을 하면 플레이아데스 성단 주변의 먼지 구름까지도 관측이 가능하다.
이 사진의 경우는 이탈리아의 Fagagna 에서 23시간의 노출을 통해 촬영되었다.
그런데, Seven Sisters 나 M45 라고도 알려져 있는 플레이아데스 성단에서 밝은 별들 중 하나가 성단의 이름이 지어진 후에 희미해져서 6개의 별만 육안 관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플레이아데스 성단에서 실제로 볼 수 있는 별의 갯수는 관측 장소의 어두운 정도와 관찰자의 시력에 따라 7개 보다 많을 수도 있고 적을 수도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09.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0년 9월 10일, 2021년 11월 24일, 그리고 2022년 12월 5일에도 올렸었고, 그때와 글의 내용은 거의 비슷하고 사진만 다르다.

2020년 9월 10일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086142229

2021년 11월 24일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577779488

2022년 12월 5일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947109207


2024년 12월 7일 토요일

2024년 12월 6일 금요일

에티오피아 할로 베르티 내추럴 (Ethiopia Halo Berti natural) - 커피 몽타주

 


에티오피아 할로 베르티 내추럴
(Ethiopia Halo Berti natural)

커피 몽타주
(Coffee Montage)


- 지역 (Region) : Yirgacheffe
- 농장 (Farm) : Halo Berti washing station
- 농장주 (Farmer) : Small holders
- 품종 (Variety) : Heirloom
- 재배 고도 (Altitude) : 2200 m
- 가공 방식 (Process) : ​​​natural

- Tasting note : Strawberry, Peach, Orange, Winy, Milk Chocolate, Smooth


이번 커피는 커피 몽타주의 에티오피아 이다.
에티오피아도 어지간하면 나쁘지 않고, 꽃향기라든가 과일 맛 등이 좋은 편인데, 이번 커피는 조금 아쉬웠다.
분쇄할 때부터 다 마시고 난 후까지 별다른 개성도 없었고, 밋밋해서 뭐라 언급할만한 것이 없다.
다만, 부드럽고 밝고 달달한 과일의 느낌이 향에서부터 맛까지 일관되게 느껴지긴 했다.
또한, 물줄기를 가늘게 해서 진하게 추출하면 상큼한 과일 신맛이 좀더 강하게 느껴지는데, 이런 맛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최소한 1차 추출만큼은 진하게 하는게 좋다.
반면, 좀 연하더라도 부드럽고 달달한 느낌을 더 좋아한다면 푸어오버에 가깝게 추출을 하면 괜찮을 것 같다.

암튼, 이번 커피는 그저 데일리 커피로 별 생각없이 마시기는 괜찮은 것 같은데, 그 이상은 아닌 것 같다.
그런데, 테이스팅 노트에 적혀있는 향미들을 다들 어떻게 느꼈다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 
난, 전혀 느끼지 못했다.


2024년 12월 4일 수요일

...

정당하지 못한 명령을 군이 거부할 수도 있다는 낭만적인 생각은 버리는 게 좋지 않을까 싶다.
명령이 내려지면 군은 그대로 행동할 것이다.
이번 사태에서 많은 이들이 군대의 다른 모습을 봤다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군은 명령대로 했고, 명령대로 철수했다.
국민에 총구를 겨누라면 겨눌 것이고, 전쟁을 하라면 할 것이다.
1980년 광주에서처럼...

이번 일을 계기로 대중이 그 모체가 되는 정당에 더는 투표하지 않을 것이란 생각도 버리는 게 좋을 것이다.

대중은 금방 또 잊을 것이고, 민주주의의 위기는 반복될 것이다.
전 세계적인 추세인 극우, 독재 정치는 분쟁을 일으키기 쉬울 것이고, 그것이 끝나야 다시 민주주의가 시작될 것이다.
터져야 할 화산은 터져야 하고, 짜내야 할 고름은 짜내야 하듯...
경제 위기와 민주주의의 위기는 어느 것이 먼저인지 잘 모르겠지만, 늘 반복되는 것 같다.
불안한 대중은 자주 잘못된 선택을 한다.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가장 중요한 건, 아직 그가 최고 통수권자이고, 그 정당은 이를 계속 유지하려 한다는 점이다.


2024년 12월 3일 화요일

Ice Clouds over a Red Planet

 


Ice Clouds over a Red Planet


- Image Credit : NASA, JPL-Caltech, Kevin M. Gill; 
- Processing : Rogelio Bernal Andreo


이 사진은 지난 3월, 화성에서 탐사 중인 Perseverance Rover 에 의해 촬영된 화성 하늘의 모습이다.
먼지 낀 주황색 하늘 아래에 바위들로 뒤덮인 광활한 주황색 풍경을 볼 수 있고, 지평선 위로 지고 있는 푸른 빛의 태양도 볼 수 있다.
또한, 하늘 높이 떠있는 특이하게 생긴 물 구름도 볼 수 있다.
화성의 주황색은 화성 토양에 포함된 녹슨 철 성분 때문인데, 이런 철 성분들이 아주 작아서 그 일부가 바람에 날려 대기 중으로 휩쓸려 간다.
사진 왼쪽에서 볼 수 있는 태양의 푸른 빛은 떠다니는 먼지들이 파란 빛을 우선적으로 산란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이며, 오른쪽 하늘에 떠있는 밝은 색 구름들은 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성 대기 높은 곳에 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화성 구름들 형태는 지구에서는 보기 힘든 것으로, 여전히 연구중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03.html 이곳에서...


2024년 12월 2일 월요일

NGC 300 : A Galaxy of Stars

 


NGC 300 : A Galaxy of Stars


- Image Credit & Copyright : Daniel Stern


조각가 또는 조각실 자리 (Sculptor) 방향으로 약 6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NGC 300 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은하의 별들이 아주 뚜렷하게 보이는데, 이는 많은 별들이 밝은 파란색을 띄고 있고, 분석 가능한 밝은 성단들로 무리지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NGC 300 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나선 은하 중 하나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은하에는 밝은 별들 보다 희미한 별들이 훨씬 더 많고, 은하의 질량 중 더 많은 부분이 보이지 않는 암흑 물질에 기인한다.
한편, NGC 300 은 소형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한데, 이 사진은 칠레의 Rio Hurtado 에서 지난 10월에 촬영되었으며, 20시간 이상의 노출 사진들을 합성하여 만들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1202.html 이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