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월 31일 수요일

Camera Orion Rising

 



Camera Orion Rising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cin Ślipko


폴란드와 체코 사이 국경에 있는 Śnieżka 산 위로 떠오른 오리온 자리와 그 주변의 여러 성운들, 그리고 다양한 별들을 담은 사진이다.
오리온 자리는 해마다 이맘때쯤에는 일몰 직후 남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데, 앞으로 몇달 동안 계속 더 높이 나타날 것이다.
장시간 노출을 통해 얻어진 이 사진에서, 오리온 성운 (Orion Nebula)과 Flame Nebula 를 볼 수 있고, 이들 성운을 둘러싸고 있는 붉은 빛의 Barnard's Loop 도 볼 수 있다.
또한, 오리온 자리를 구성하고 있는 별 Betelgeuse 와 Rigel 도 볼 수 있으며, 사진 상단에서는 푸른 빛의 플레이아데스 성단 (Pleiades star cluster)을 볼 수 있다.
그밖에 오리온 자리 왼쪽으로 붉은 빛의 Rosette Nebula 가 위치하고 있으며, 사진 왼쪽 아래에서는 별 시리우스 (Sirius)가 있고, 플레이아데스 성단과 오리온 자리 사이에서는 별 Aldebaran 이 자리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31.html 이곳에서...



선물 받은 라디오...

 


며칠전 이웃 블로거이신 쏭님 에게서 라디오 선물을 받았다.
라디오를 구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시고 고맙게도 보내주셨다.
건전지도 넣어주시고 충전도 다 해주셔서 더 감사한데, 염치없이 받기만 하고 아무것도 해드리지 못한 것이 마음에 걸린다.

쏭님 블로그...
https://blog.naver.com/scarlatti9


2024년 1월 29일 월요일

The Pleiades : Seven Dusty Sisters

 


The Pleiades : Seven Dusty Sisters


- Image Credit & Copyright : Craig Stocks


이 사진은 작년, 미국 유타 (Utah) 주에 있는 Utah Desert Remote Observatory 에서 약 9시간의 노출을 통해 촬영된 플레이아데스 성단 (Pleiades star cluster) 사진이다.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가장 잘 알려진 성단으로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산개 성단이며 북반구의 거의 모든 곳에서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지난 100000 년에 걸쳐 우연히도 플레이아데스 성단 앞으로 넓게 펼쳐진 가스와 먼지들이 지나고 있고, 별들과 먼지들 사이에 강한 반응이 일어나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가스와 먼지를 천천히 파괴하고 있는 모양이다.
이렇게 성단을 지나고 있는 먼지 구름들은 Radcliffe wave 의 일부로 보여지는데, Radcliffe wave 는 우리 은하 근처에서 몇몇 별 생성 영역들을 연결하는 새로 발견된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별빛의 압력이 푸른 반사 성운에서 먼지들을 크게 밀어내고 있는데, 특히나 작은 먼지 입자들이 더 강하게 밀려나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단기적인 결과로 먼지 구름의 일부가 필라멘트가 되고 층화되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29.html 이곳에서...


2024년 1월 27일 토요일

Full Observatory Moon

 


Full Observatory Moon


- Image Credit & Copyright : Yuri Beletsky (Carnegie Las Campanas Observatory, TWAN)


칠레에서 촬영된 새해 첫 보름달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보름달 앞에 있는 두 대의 쌍둥이 망원경 때문에 마치 보름달에 눈이 달린 것처럼 보이는 이 사진은 칠레 아타카마 사막 (Atacama Desert)을 가로질러 망원렌즈로 촬영되었다.
촬영 장소는 천문대에서 약 9 마일 떨어진 곳, 달 표면에서는 약 240000 마일 떨어진 곳이다.
보름달 앞에 있는 쌍둥이 망원경은 직경 6.5m 마젤란 망원경 (Magellan telescopes)이고, 이 망원경이 속해있는 천문대는 Las Campanas Observatory 이다.
북반구에서는 1월 보름달을 Full Wolf Moon 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늑대가 1월에 활동량이 많아지고 추운 밤에 울부짖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편, 음력 첫 보름달 (정월 대보름)을 Full Snow Moon 이라고도 하는데, 올해는 2월 24일에 떠오를 예정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27.html 이곳에서...


2024년 1월 26일 금요일

Epsilon Tauri : Star with Planet

 


Epsilon Tauri : Star with Planet


- Image Credit & Copyright : Reg Pratt


황소 자리 (Taurus)에 위치하며 약 146 광년 떨어져 있는 별 Epsilon Tauri 를 촬영한 사진이다.
K형 적색 거성인 Epsilon Tauri 는 태양보다 온도가 낮지만, 반경은 태양의 13배쯤 되고 밝기는 약 100배쯤 된다.
Ain 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 Epsilon Tauri 는 Hyades 산개 성단에 속해 있으며, 더 밝은 거성인 Aldebaran 과 함께 황소 자리의 눈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데, Ain 은 아랍어로 "황소의 눈"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황소 자리에서 먼지투성이의 어두운 구름에 둘러싸여 있는 Epsilon Tauri 는 Epsilon Tauri b 라는 행성을 갖고 있기도 한데, 2006년에 발견된 이 행성은 목성보다도 큰 거대한 가스 행성이며 공전 주기는 1.6년이다.
Epsilon Tauri b 를 직접 볼 수는 없지만, 그 모 항성인 Epsilon Tauri 는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26.html 이곳에서...


2024년 1월 24일 수요일

라디오 겸 mp3 플레이어...



오래전에 삼성 옙(yepp) 을 사용했었다.
mp3 도 들을 수 있고, 라디오도 들을 수 있어서 즐겨 사용했었다.
크기도 작아 휴대도 편하고 여러모로 좋았는데, 오래되다보니 이젠 고장이 났다.
혹시나 싶어 A/S 센터에 가봤더니 이젠 못고친다고 한다. 부품이 없어서...
요즘은 이런 제품이 나오지 않는건가 ?
비슷한 것이라도...


2024년 1월 23일 화요일

Deep Nebulas : From Seagull to California

 



Deep Nebulas : From Seagull to California


- Image Credit & Copyright : Alistair Symon


성운과 성단과 별들로 가득한 광활한 우주 공간을 촬영한 사진이다.
밤하늘에서 이런 천체들을 알아보는 것이 쉽지는 않은데, 태피스트리 (tapestry) 같은 밤하늘의 모습이 아주 복잡하기 때문이다.
이 사진은 미국 애리조나 (Arizona) 주에서 800여 시간에 걸쳐 촬영된 28장의 이미지들을 모자이크하여 만든 사진이다.
사진 속 천체들을 그냥 알아보는 것은 너무 어렵고, 천체들의 이름이 적힌 사진을 참고하면 될 것 같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23.html 이곳에서...


2024년 1월 22일 월요일

Shadows of Mountain and Moon

 


Shadows of Mountain and Moon


- Image Credit & Copyright : Enzo Massa Micon


지난 2022년 이탈리아 Grivola 산과 그 위에 뜬 달을 촬영한 사진이다.
달의 밝고 어두운 부분과 산의 밝고 어두운 부분을 절묘하게 일치시켜 멋진 장면을 담아냈다.
사진의 오른쪽에 태양이 있어, 산의 오른쪽을 비추는 것과 마찬가지로 달의 오른쪽을 비추고 있는데, 이러한 달의 위상 상태를 "quarter"라 한다.
우리 말로는 상현달, 하현달 정도 될 것 같다.
"Quarter"라 하는 이유는 지구에서 봤을 때 달의 보여지는 부분이 달 전체 표면의 1/4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한편, 지구가 하루에 한번 자전하기 때문에 달과 산의 명암 경계선을 이렇게 일치시켜 촬영하려면 신중한 타이밍이 필요하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22.html 이곳에서...


2024년 1월 21일 일요일

헛소리...

1993 ~ 94년초, 나는 말년 병장이었다.
군대를 좀 늦게 갔었다.
그 당시 남북 관계가 최악이었다.
군대에서는 갑자기 준비 태세 훈련이 잦아졌다. 거의 매일 훈련이 있었다.
처음엔 그저 말 그대로 일상적인 훈련이겠거니 생각했다.
그런데, 훈련의 횟수나 강도가 이전과 다르다는 게 조금씩 느껴졌다.
전에는 어느 정도 형식적인 훈련이었는데, 이때는 정말 FM 훈련이었다.
나는 말년 병장이 될 때까지 우리 부대에 거대한 가마솥이 있었는지 몰랐었다.
나는 우리 부대에 그렇게 많은 탄약이 있었는지도 몰랐었다.
준비 태세 훈련 때마다 부대 내 모든 무기, 탄약, 식량 등이 꺼내졌었고, 말년 병장이라고 봐주는 것도 없었다.
내가 있던 곳이 후방 부대였는데도 이 정도면, 전방 부대들은 아마도 더 심했을 것이다.
부대 내 근무하는 방위병들이 있었어서 물어봤다.
부대 밖 사회 공기는 어떠냐고 ?
국민들 사이에 어떤 심상치 않은 분위기가 있냐고 ?
방위병들 말로는 그런게 전혀 없다고 했다.
훈련 중 병사들이 경각심이 없어 보이자 대대장이 상황의 심각함을 말하면서, 지금 CNN 종군 기자팀이 우리 나라에 들어와 있다고 했었다.
나는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괜히 겁주려고 하는 말인 줄 알았다.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알게 되었지만, 사실이었다.
그리고, 실제로 당시 미국은 전쟁을 시뮬레이션 하고 있었다.

그래서 그런지 나는 남북 관계가 긴장될 때마다 그런 것들이 괜히 허풍이 아닐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요즘의 남북 관계가 6.25 이후 최악이라는데, 1993 ~ 94년 당시에도 그런 말이 있었다.
주변 대부분의 사람들은 늘 그렇듯이 이번에도 미국 대선과 우리의 총선을 겨냥한 북한의 전략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물론, 그 정도면 다행이다.
나도 그럴 것이라 생각하고 싶고 별일 없었으면 좋겠다.
그런데, 인류는 늘 실수를 반복한다.
민주주의가 위기를 맞은 야만의 시대가 다시 왔듯이, 전쟁의 시대가 다시 오는 것 아닌가 우려스럽다.
나의 이런 생각이 기우이길 바란다.
지나치게 걱정 많은 사람의 헛소리이길 바란다.


2024년 1월 19일 금요일

Jupiter over 2 Hours and 30 Minutes

 


Jupiter over 2 Hours and 30 Minutes


- Image Credit & License : Aurélien Genin


지난 1월 15일 밤, 프랑스 파리 외곽에서 촬영된 목성의 모습이다.
2시간 30분에 걸쳐 촬영된 일련의 목성 사진들은 왼쪽 아래에서부터 오른쪽 위로 진행되어 이어진다.
목성은 우리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이기도 하지만, 또한 가장 빠르게 자전하는 행성이다.
채 10시간이 안되는 시간에 한번 자전을 하는데, 극지방에서의 하루는 약 9시간 56분이고, 적도 부근에서의 하루는 9시간 50분 정도이다.
이렇게 자전 속도가 빠르다보니 강한 제트 기류를 만들어서 구름들이 어두운 띠 부분과 밝은 영역으로 분리되고 있다.
사진을 보면, 목성의 적도 바로 남쪽에 목성의 거대한 폭풍 시스템인 대적반 (the Great Red Spot)이 위치하고 있는데, 목성의 자전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19.html 이곳에서...


2024년 1월 18일 목요일

...


블로그를 하다보면 마치 시대를 빗겨가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 때가 있다.
그런데, 우리는 과연 이 시대를 무사히 넘어갈 수 있는 것일까 ?


2024년 1월 16일 화요일

The Orion You Can Almost See

 



The Orion You Can Almost See


- Image Credit & Copyright : Michele Guzzini


이 사진은 오리온 별자리 대부분을 담고 있는 사진으로, 장노출과 후 처리를 통해 얻어진 것이다.
사진의 왼쪽 상단에 주황색으로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이 적색 거성인 Betelgeuse 이고, 오른쪽 아래에서 Betelgeuse 와 균형을 이루고 있는 푸른 별이 초거성 Rigel 이다.
또한, 오른쪽 상단에는 Bellatrix 가 있고, 왼쪽 하단에는 Saiph 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사진 중심에 나란히 줄지어 있는 세 개의 별 (Alnitak, Alnilam, Mintaka)을 Orion's belt 라 하는데, 약 1500 광년 거리에 있는 이 별들은 성간 구름에서 만들어졌다.
Orion's belt 의 바로 아래에 밝지만 윤곽이 뚜렷치 않은 얼룩처럼 보이는 것이 바로 오리온 성운이다.
사진에서 별 Hatysa 바로 위에 있다.
끝으로, 육안으로는 관측이 어려운 Barnard's Loop 이라는 발광 성운이 있는데, 사진에서 Orion's belt 와 오리온 성운을 둘러싸며 오리온 자리 전체에 걸쳐있는 거대한 붉은 가스 성운이 Barnard's Loop 이다.
Barnard's Loop 은 약 100여 년 전 천문학자 E. E. Barnard 가 처음 발견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16.html 이곳에서...


2024년 1월 15일 월요일

Star Cluster IC 348 from Webb

 


Star Cluster IC 348 from Webb


- Image Credit : NASA, ESA, CSA, STScI, and K. Luhman (Penn State U.) and C. Alves de Oliveira (ESA)


페르세우스 (Perseus) 자리 방향으로 약 1000 광년 거리에 있는 성단 IC 348 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이다.
IC 348 은 주변의 필라멘트 형태의 먼지들을 밝혀주는 젊은 성단인데,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적외선 촬영에서 실처럼 구불구불한 모습의 먼지들이 분홍색으로 보여지고 있다.
하지만, 가시광선으로 관측했을 때는 이 먼지들이 대부분 푸른 빛을 반사해서 주변 물질들이 반사 성운에서 많이 봤던 푸른 색을 띄게 된다.
그런데, 성단 IC 348 에는 밝은 별 외에도 몇몇 차가운 천체들이 있는데, 이들은 적외선에서 더 밝게 보인다.
이들 천체들은 질량이 적은 갈색 왜성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증거로, 과거 토성의 대기에서 볼 수 있었던 탄화수소와 같은 미확인 대기 화학 물질이 검출된 점을 들고 있다.
또한 이들 갈색 왜성으로 추정되는 천체들은 알려진 행성들보다 약간 더 큰 질량을 지닌 것으로 보이는데, 목성보다 겨우 몇 배 더 큰 정도이다.
이러한 관측 결과로 봤을 때, 성단 IC 348 에 다른 별의 궤도를 돌지 않고 자유롭게 떠다니는 젊은 행성급 질량의 갈색 왜성이 존재하고 있는것으로 보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15.html 이곳에서...


2024년 1월 13일 토요일

Circling the Sun

 


Circling the Sun


- Image Credit & Copyright : Radoslav Zboran


독일 헤롤드슈타트 (Heroldstatt) 근처 시골을 산책하는 동안 촬영된 Sun halo 의 모습이다.
마침 높은 나무 줄기 뒤에 태양이 가려지는 바람에 관측이 더 쉽게 되었는데, 아름다운 이 얼음 halo 는 태양 주위에 22도 너비 (각 지름)의 원을 형성하고 있다.
Sun halo 의 22도 각 지름 (angular diameter)은 지구 대기권 높은 곳에서 떠다니는 얼음 결정들의 6면 기하학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참고로, 각 지름 (angular diameter)은 실제 지름이 아니라 관측자의 시점에서 보는 겉보기 지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13.html 이곳에서...


2024년 1월 10일 수요일

The Light, the Dark, and the Dusty

 


The Light, the Dark, and the Dusty


- Image Credit & Copyright : Gábor Galambos


케페우스 (Cepheus) 자리 방향으로 우리 은하면을 따라 성운들이 많은 영역이 있는데, 이곳에 있는 거대 분자 구름의 가장자리 근처에 위치하며, 거리로는 약 2400 광년 떨어져 있는 붉은 발광 성운 Sharpless (Sh)2-155 와 그 주변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 중심에 있는 붉은 빛의 성운이 Sharpless (Sh)2-155 인데, Cave Nebula 라고도 알려져 있다.
약 10 광년 정도되는 붉은 빛의 가스 장벽은 근처에 있는 뜨겁고 젊은 별들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이온화된 상태다.
그리고, 사진의 왼쪽에 푸르스름하게 먼지로 이루어진 성운이 반사 성운인 vdB 155 이고, 짙고 어두운 먼지 구름으로 덮여있다.
한편, 연구에 따르면, 이곳에서는 별 생성에 대한 드라마틱한 징후들도 볼 수 있는데, 새로 태어나는 별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제트에 의해 만들어지는 성운 모양의 천체를 Herbig-Haro 천체라 하며, 사진에서 왼쪽 상단에 붉은 반점처럼 보이는 것이 Herbig-Haro (HH) 168 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10.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8년 9월 28일, 2020년 3월 5일, 2022년 11월 30일에도 올렸었고, 모두 글의 내용은 비슷하고 사진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367353887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839489063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942671534


2024년 1월 9일 화요일

Thor's Helmet

 


Thor's Helmet


- Image Credit & Copyright : Ritesh Biswas


큰개 자리 (Canis Major) 방향으로 약 15000 광년 거리에 있는 발광 성운 NGC 2359 를 촬영한 사진이다.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Thor 의 헬멧을 닮았다 하여 Thor's Helmet 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 이 성운은 날개처럼 생긴 장식이 달려있는 모자 형태의 우주 구름이다.
성운의 폭은 약 30 광년 정도이며, 사실 성간 버블 (interstellar bubble)에 가까운 상태인데, 이 버블은 성운의 중심 근처에 있는 밝고 무거운 별에서 방출되는 빠른 항성풍에 의해 부풀려진 것이다.
그리고, 성운의 중심 별은 초신성 전단계로 추정되는 아주 뜨겁고 거대한 Wolf-Rayet star 이며, 이 별은 앞으로 수천 년 내에 초신성 폭발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참고로, Wolf-Rayet star 는 표면 온도가 아주 뜨거우며 (3만 ~ 20만 K) 강력한 항성풍 (2000 km/s 이상) 으로 인해 자신의 질량을 상실하고 있는 별들이다. (우리 태양이 태양풍으로 상실하는 질량의 약 10억배 정도를 상실한다고 한다.)
한편, 이 사진은 자연스럽게 보이는 별들과 성운 필라멘트 구조의 세부적인 모습까지 담고 있는 데이터를 합성하여 만든 사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09.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2년 12월 20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961223026


2024년 1월 7일 일요일

...



"테러"의 문제를 "지역 의료 무시"라는 프레임으로 바꿔버리는 언론과 대중의 "악의"는 어디에서부터 오는 것일까 ?


2024년 1월 6일 토요일

...



세상은 온통 시궁창인데, 홀로 별이 되어 빛나는구나.

김광석
(1964.1.22 ~ 1996. 1.6)


The Snows of Churyumov-Gerasimenko


The Snows of Churyumov-Gerasimenko


- Images Credit : ESA, Rosetta, MPS, OSIRIS; UPD/LAM/IAA/SSO/INTA/UPM/DASP/IDA;
- Animation : Jacint Roger Perez


이 영상은 혜성 탐사선인 로제타 탐사선 (Rosetta spacecraft)이 2016년 6월, 주기 혜성인 67P/Churyumov-Gerasimenko 의 핵에서 13km 쯤 떨어진 곳을 순항하면서 촬영한 영상이다.
영상을 보면 마치 눈이 오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는 먼지와 얼음 입자들이 혜성 표면 위를 떠다니며 휘날리는 모습이다.
또한, 화면에서 보이는 밝은 얼룩들 중 일부는 비처럼 내리는 하전 입자들이나 우주선 (cosmic rays)이 카메라에 부딪혀서 그렇게 보이는 것일 수 있으며, 큰개 자리 (Canis Major, the Big Dog) 방향의 별들이 밀집해있는 배경 때문일 수도 있다.
영상에서 배경의 별들이 위에서 아래로 이어지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한편, 이 영상은 로제타 탐사선이 25분 동안 촬영한 33개의 연속 이미지를 이용해 만들어졌으며, 로제타 탐사선은 2016년 9월, 성공적인 제어를 통해 혜성 67P/Churyumov-Gerasimenko 와 충돌함으로써 그 임무를 마치게 되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06.html 이곳에서...


2024년 1월 5일 금요일

Trapezium : At the Heart of Orion

 


Trapezium : At the Heart of Orion


- Image Credit & Copyright : Fred Zimmer, Telescope Live


약 1500 광년 거리에 있는 오리온 성운의 중심에 위치한 4개의 별과 그 주변을 촬영한 사진이다.
반경 1.5 광년 내에 모여있는 이 4개의 별을 Trapezium 이라 하는데, 이 별들이 밀집한 오리온 성운 성단 (Orion Nebula Star Cluster) 중심부를 주도하고 있다.
그리고, Trapezium (주로 가장 밝은 별인 Theta-1 Orionis C)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이온화 방사선이 복잡한 별 생성 영역 전체를 밝게 만들고 있다.
약 300만 년 정도 된 오리온 성운 성단은 초기에 더 밀집해 있었고, 연구에 따르면 도망성 (runaway stars)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우리 태양 질량의 100배가 넘는 블랙홀이 만들어졌을 것이라 한다.
또한, Trapezium 별들의 빠른 속도도 이 블랙홀의 존재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런 오리온 성운 내의 블랙홀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블랙홀 중 하나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05.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8년 8월 5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333156124


2024년 1월 4일 목요일

과테말라 알레한드로 로페즈 (Guatemala Alejandro Lopez) - 호호커피집

 


과테말라 알레한드로 로페즈
(Guatemala Alejandro Lopez)

호호커피집


- 지역 : Antigua
- 농장 : Alejandro Lopez
- 농부 : Dan Alejandro Lopez Santos
- 재배 고도 : 1630 m
- 품종 : Bourbon
- 가공 방식 : washed


이번 커피는 호호커피집의 12월 커피였던 과테말라이다.
겨울에 잘 어울리는 커피를 선정한 것 같아서 주문해봤다.
커피 프로필 중에 tasting note 에 대한 정보는 없어서 여기에 적진 않았지만, 커피 소개글에 보면 밀크초콜렛을 느낄 수 있다고 적혀있다.
물론, 나는 잘 느끼지 못했지만, 나름대로 무난하게 먹을만한 커피였던 것 같다.

분쇄 커피와 추출 후의 향이 좀 약한 편이어서 구체적인 향을 말하기는 좀 애매하지만, 대체로 약한 citrus 계열의 산뜻한 과일 향이 있는 것 같았고, 고소함이 좋았다.
또한, 단향도 좋아서 부드럽게 다가왔다.
꽃이나 허브 같은 향긋한 향이 하나 있었는데, 좀 약하기도 하고 매번 느낀 것이 아니어서 뭐라 말을 못하겠다.
그밖에 과일 사탕 같은 뉘앙스도 있었다.
과일 사탕 같은 느낌도 항상 느낀 것은 아니었지만, 느껴질 때는 제법 뚜렷했다.
이런 과일 사탕 뉘앙스는 추출 커피에서도 간혹 느껴졌지만, 역시나 늘 그렇지는 않았다.
하지만, 고소함이나 단향은 추출 커피에서도 뛰어났다.

마시면서는 전체적인 조화가 좋았다.
강하지는 않지만 상큼한 과일 신맛이 기분좋게 만들어줬고, 고소함과 단맛이 좋았다.
은은한 과일의 신맛과 고소함, 그리고 단맛이 잘 어우러져 만족스러웠다.
전체적으로 아주 개성이 있거나 하진 않았지만, 겨울철 잔잔한 느낌으로 마시기엔 괜찮은 커피인 것 같았다.


2024년 1월 3일 수요일

A SAR Arc from New Zealand

 


A SAR Arc from New Zealand


- Image Credit & Copyright : Tristian McDonald; 
- Text : Tiffany Lewis (Michigan Tech U.)


이달 초, 뉴질랜드 풀번 (Poolburn)에서 촬영된 Stable Auroral Red (SAR) arc 의 모습이다.
원문에서 "이달 초"라고 했는데, 이것이 이번 2024년 1월 초를 말하는 건지, 2023년 12월 초를 말하는 건지 확실히 모르겠다.
1월 초라고 하기엔, 아직 3일 밖에 지나지 않아서 "이달 초"라는 표현을 썼을 것 같진 않은데 잘 모르겠다.

암튼, 사진 속의 SAR arc 는 보다 일반적인 녹색/붉은색의 오로라를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며, 강력한 지자기 폭풍이 있는 동안 광각으로 촬영되었다.
SAR arc 는 희귀한 자연 현상으로 1954년 이후부터 알려지고 연구되어 왔다.
아직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지만, SAR arc 가 지구 내부 깊숙한 곳에서 흐르고 있는 용해된 철에 의해 만들어지는 지구 보호 자기장과 관련이 있는 것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풍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전 입자를 자기장이 지구 극지방 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반면, 적도에 더 가까운 이온 고리를 가두어 놓아서, 태양 활동이 활발한 동안 자기권으로부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이온 고리에 있는 강력한 전자들이 전형적인 오로라 보다 더 높은 지구 전리층에 있는 산소와 충돌하고 들뜬 상태로 만들어 산소를 붉은 색으로 빛나게 만든다.
연구에 따르면, 붉은 빛의 SAR arc 가 보라색과 녹색의 STEVE (Strong Thermal Emission Velocity Enhancement)로 변할 수도 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고 한다.
참고로, STEVE 는 자주색과 녹색 빛을 띄는 리본 형태의 대기 광학 현상으로, 450 km 정도의 상공에서 25 km 정도의 폭을 지닌 리본 형태의 뜨거운 플라즈마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온도가 3000℃ 정도되며, 6 km/s 정도의 속도로 흘러간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03.html 이곳에서...


2024년 1월 1일 월요일

NGC 1232 : A Grand Design Spiral Galaxy

 


NGC 1232 : A Grand Design Spiral Galaxy


- Image Credit : FORS, 8.2-meter VLT Antu, ESO


에리다누스 자리 (Eridanus) 방향으로 약 6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 NGC 1232 를 촬영한 사진이다.
촬영은 칠레 아타카마 사막 (Atacama Desert), Cerro Paranal 에 위치하고, 유럽 남부 천문대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에서 운영하는 Very Large Telescopes 소속 망원경으로 이루어졌다.
참고로, Very Large Telescopes 은 4대의 망원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은하는 보이는 것 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에서도 매혹적인데, 은하 NGC 1232 가 그 좋은 예라 한다.
볼 수 있는 것으로는 은하의 중심을 휘감아 도는 나선팔에 있는 수백만 개의 밝은 별들과 어두운 먼지들이 있는데, 밝고 푸른 별들로 이루어진 산개 성단과 고밀도의 성간 먼지로 이루어진 먼지층이 나선팔을 따라 뿌려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반면, 보는 것은 어렵지만 감지할 수 있는 것은 수십억 개의 희미한 일반 별들과 광대한 성간 가스 영역 등이 있는데, 이들의 높은 질량이 은하 내부의 역학을 지배한다.
주요 이론에 따르면, 훨씬 더 많은 양의 물질이 우리가 아직 알지 못하는 형태로, 볼 수 없는 상태라 한다.
이렇게 널리 퍼져있는 암흑 물질이, 부분적으로, 은하의 외곽 지역에 있는 볼 수 있는 물질들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것으로 가정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40101.html 이곳에서...

제목은 다르지만 같은 내용과 사진으로 지난 2017년 12월 26일에 포스팅한 적이 있는데, 번역에 오류가 있어 이번에 다시 올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