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0월 30일 월요일

월간 리브레 10월호

 


월간 리브레 10월호

지난번 리브레에서 원두를 주문했을 때 같이 온 월간 리브레 10월호다.
일종의 리브레 소식지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그냥 앞면의 글만 읽다가 우연히 뒷면을 돌려봤더니 이런 멋진 사진이 있었다.
그냥 보고 넣어 놓기 아까워 이렇게 올려본다.


2023년 10월 29일 일요일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첼베사 내추럴 (Ethiopia Yirgacheffe Chelbesa Natural) - 커피 리브레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첼베사 내추럴
(Ethiopia Yirgacheffe Chelbesa Natural)

커피 리브레
(Coffee Libre)


- 지역 : 게데오, 예가체프, 첼베사 (Chelbesa, Yirgacheffe, Gedeo)
- 생산자 : 첼베사 지역 소농들 (Chelbesa Small holders)
- 재배 고도 : 2200 m
- 품종 : 74110, 74112
- 가공 방식 : natural

- Cupping note : 라벤더, 복숭아, 블루베리, 건포도


이번 커피는 커피 리브레의 에티오피아 첼베사를 선택해봤다.
특별한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그저 저렴한 것 중에 무난하게 먹기 좋은 걸 택했다.
Cupping note 에 여러 과일들이 적혀있었지만, 향미들이 잘 느껴질 것이라 생각하지는 않았다.
경험상 보통 이렇게 저렴한 커피들은 아쉬움이 조금씩 남기 마련이라 큰 기대는 안했다.

며칠동안 마셔보니 역시나 어떤 특별함은 없었다.
분쇄 커피나 추출 커피에서 느껴지는 향들도 평범하고 약했다.
과일 향이 있었고, 고소함과 단향이 있었는데, 과일향은 구체적으로 알기 어려웠고, 전체적으로 약했다.
가끔 베리향이 느껴질 때가 있었지만 크게 의미있는 정도는 아니었다.
마실 때에도 모든 향미가 평범했다.
과일맛이나 고소함, 단맛 등이 평범했고, 개성을 느끼기 힘들었다.
다만, 1차 추출을 진하게 할 경우, 과일맛이 제법 상큼하게 느껴져서 좋았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과일맛과 고소함, 단맛의 조화는 좋았다.
아마도 이런 좋은 균형감 때문에 이 커피를 즐길 수 있는 것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런 균형감은 다 마시고 난 후에도 여운이 남았다.
하나 더 추가하자면, 입안에서의 촉감은 진하게 추출했을 때에만 꽉차고 매끈하게 느껴졌다. 

크게 개성이 있거나 특별하거나 그런 면은 없지만, 과일맛과 고소함, 그리고 단맛의 조화가 좋아서 이것만으로도 나름 괜찮은 커피였다고 생각한다.


2023년 10월 28일 토요일

The Ghosts of Gamma Cas

 




The Ghosts of Gamma Cas


- Image Credit & Copyright : Guillaume Gruntz, Jean-François Bax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 자리 방향으로 약 600 광년 거리에 있는 별 Gamma Cassiopeiae (Gamma Cas)와 그 옆의 성운 IC59, IC63 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오른쪽 상단에 파란 빛으로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이 Gamma Cas 이고, 사진 왼편에 걸쳐 붉은 빛을 띄고 있는 성운들이 IC59와 IC63 이다.
성운 중에서 상단에 푸른 빛도 함께 있는 성운이 IC59 이고, 그 아래에 있는 성운이 IC63 이다.
IC59와 IC63 은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성간 구름인데, 뜨겁게 빛나는 Gamma Cas 로부터 방출되고 있는 강력한 복사에너지로 인해 침식되며 천천히 사라지고 있다고 한다.
성운들과 Gamma Cas 와의 거리가 불과 3 ~ 4 광년 정도밖에 안되어서, Gamma Cas 와의 거리가 조금 더 가까운 IC63 은 Gamma Cas 에서 나오는 자외선에 의해 이온화된 수소 원자가 전자와 재결합하면서 방출되는 red H-alpha light 가 지배적이어서 붉게 보이고, 조금 더 거리가 떨어져 있는 IC59 는 red H-alpha light 가 좀 덜하고 대신 먼지가 별빛을 반사하여 만들어내는 푸른 색이 조금더 보여진다.
한편, 이 사진의 폭은 대략 1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28.html 이곳에서...


2023년 10월 27일 금요일

Encke and the Tadpoles

 


Encke and the Tadpoles


- Image Credit & Copyright : Dan Bartlett


지난 8월 24일 촬영된 혜성 Encke (2P/Encke)와 그 옆의 발광 성운 IC 410 의 모습이다.
사진 왼쪽에 녹색빛을 띄고 있는 것이 혜성 Encke 이고, 오른쪽에 붉은 색으로 빛나고 있는 성운이 IC 410 이다.
혜성 Encke 는 역시상 두번째로 알려진 주기 혜성이며, 주기가 3.3년으로 태양계 주요 혜성들 중에 가장 짧은 주기를 갖고 있다.
혜성 Encke 가 태양계 내부를 지날 때, 목성 궤도 안쪽에 있는 원일점 (태양에서 가장 먼 지점)에서 수성 궤도 바로 안쪽의 근일점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까지 이동하게 된다.
또한, 혜성 Encke 는 매년 두 번의 유성우와 관련이 있는데, 바로 북쪽과 남쪽 황소자리 유성우이다.
두 개의 황소자리 유성우는 10월말과 11월초에 활발해지며, 이들 유성우의 방사점은 황소자리의 밝은 별 Aldebaran 근처에 있다.
이 사진 촬영 당시, 혜성 Encke 는 성운 IC 410 에 있는 젊은 성단과 수 광년 길이의 올챙이 형태의 별 생성 구름대 가까이 지나고 있었는데, 지금은 처녀자리 밝은 별인 Spica 근처를 지나고 있으며 5일전인 10월 22일에 근일점을 지났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27.html 이곳에서...


2023년 10월 25일 수요일

...

대학 다닐 때 이후로 시간을 도둑맞은 것 같은 기분이 든다.
그것도 자주...
도둑 맞지 않고서야 내가 벌써 이렇게 나이 들었을리가 없을 것 같은데, 
뭔가 시간을 한참 건너 뛰어 우주가 나를 속인 듯한 느낌이다.
분명 얼마 전에 대학생이었던 것 같은데, 
이젠 지나온 날들 보다 남은 날들이 적은 나이가 되었다.
그것도 한참이나...

이런 한심한 소릴 하고 있는 걸 보니 남은 삶도 애시당초 글러먹은 것 같다.


2023년 10월 24일 화요일

Arp 87 : Merging Galaxies from Hubble

 


Arp 87 : Merging Galaxies from Hubble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 Processing : Harshwardhan Pathak


사자 자리 (Leo, the Lion) 방향으로 약 3억 광년 거리에 있는 두 은하를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이다.
두 은하는 중력 상호 작용으로 합쳐지고 있는 과정에 있는데, 이 두 은하를 통칭하여 Arp 87 이라 한다.
두 은하 중 왼쪽에 있는 은하가 NGC 3808B 이고 오른쪽에 있는 은하가 NGC 3808A 이다.
두 은하는 중력 상호 작용에 의한 격렬한 조수 (tides)를 겪으면서 다리처럼 서로 이어져 있는데, 이렇게 이어져 있는 부분의 길이가 무려 75000 광년 이상이다.
이렇게 이어진 부분은 별과 가스, 먼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력 상호 작용의 영향으로 오른쪽에 있는 은하 NGC 3808A 는 폭발적인 별 생성으로 인해 수많은 젊고 푸른 성단들을 보여주고 있고, 왼쪽에 있는 은하 NGC 3808B 는 두 은하를 다리처럼 이어주고 있는 부분의 물질들로 덮여 있으며 극 고리 (polar ring)로 둘러싸여 있다.
참고로, 극 고리 (polar ring)는 은하 중심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리 형태를 말하는데, 내내 별과 가스와 먼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런 은하를 polar ring galaxy 라고 한다.
암튼, 은하쌍 Arp 87 은 앞으로 수십억 년에 걸쳐 이런 상호 작용을 하며 결국 하나의 은하가 될 것이다.
두 은하가 합쳐져 하나의 은하가 되는 것이 이상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우주에서는 평범한 일이며, Arp 87 은 이 불가피한 과정의 한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사진의 왼쪽 끝 부분에 있는 작게 옆면으로 보이는 은하는 Arp 87 의 은하들과는 관계없는 더 멀리 있는 배경 은하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24.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9년 8월 11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거의 동일하고 사진만 조금 다른데, 내가 보기엔 사진도 같은 사진을 보정만 다르게 한 것 같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613215899


2023년 10월 23일 월요일

Moon Io from Spacecraft Juno

 


Moon Io from Spacecraft Juno


- Image Credit : NASA, JPL-Caltech, SwRI, MSSS; 
- Processing & Copyright : Ted Stryk & Fernando García Navarro


목성 탐사선인 주노 탐사선 (Juno spacecraft)이 지난 주에 촬영한 목성의 위성, 이오 (Io)의 모습이다.
이오 (Io)의 상공 12000 km 이내를 지나면서 주노 탐사선은 화산이 분출하는 모습과 희미한 연기 기둥도 촬영했다.
사진 상단 근처에 연기 기둥을 볼 수 있다고 하는데, 나는 어딘지 잘 모르겠다.
암튼, 지구의 달과 크기가 비슷한 이오 (Io)는 화산 활동이 활발한데, 이렇게 이오 (Io)의 내부가 가열되고 화산으로 표면이 뒤덮인 것은 목성과 목성의 다른 위성들로부터 중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오 (Io)의 표면은 황과 얼어붙은 이산화황으로 덮여 있어 노란색과 주황색, 갈색 등으로 보인다.
이오 (Io)의 화산과 연기 기둥들을 연구함으로서 목성의 위성들과 고리, 오로라로 이루어진 복잡한 시스템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한편, 주노 탐사선은 앞으로 몇달 동안 거의 10배나 더 가까운 두 번의 근접 비행을 할 예정인데, 한번은 12월에, 또 한번은 2024년 2월에 할 예정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23.html 이곳에서...


2023년 10월 22일 일요일

Ghost Aurora over Canada

 


Ghost Aurora over Canada


- Image Credit & Copyright : Yuichi Takasaka, TWAN


2013년 캐나다 북부에서 촬영된 오로라의 모습이다.
이 사진을 촬영한 천체 사진가는 오로라를 보면서 "마녀"나 "새벽의 여신" 등을 떠올렸던 모양이다.
참고로, 로마 신화에서 새벽의 여신이 오로라이다.
암튼, 오로라는 우주에서 온 고에너지 입자와 지구 대기 상층부의 산소가 상호작용 하면서 나타나는 평범한 현상이며, 사진 속 오로라는 전형적인 녹색을 띄고 있다.
한편, 사진 아래에서는 상록수들과 얼어붙은 알렉산드라 폭포 (Alexandra Falls)를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22.html 이곳에서...


2023년 10월 21일 토요일

...


지혜의 나이가 신체의 나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러다 죽을 때까지 비루하게 사는 것 아닌지 모르겠다.


2023년 10월 20일 금요일

Galaxies and a Comet

 


Galaxies and a Comet


- Image Credit & Copyright : Dan Bartlett


10월 12일, 캘리포니아의 June Lake 에서 사냥개 자리 (Canes Venatici) 방향으로 어두운 밤하늘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은 여러 은하들 뿐만 아니라 혜성도 담고 있는데, 사진 왼쪽 상단에 있는 나선 은하는 2350만 광년 떨어져 있는 NGC 4258 이며 M106 으로도 알려져 있다.
사진의 중심에서 약간 오른쪽에 옆모습으로 보이는 나선 은하는 NGC 4217 이며 거리는 약 6000만 광년이다.
그리고, 사진 하단에 옥색 (lime green)을 띄고 있는 것이 혜성 C/2023 H2 Lemmon 이다.
C/2023 H2 Lemmon 은 지난 4월 Mount Lemmon Survey에서 관측된 사진에서 발견되었는데, 현재는 7광분 (light-minutes)도 안되는 거리를 지나고 있고, 옥색의 중심핵 뿐만 아니라 희미하게 위로 뻩어있는 이온 꼬리도 볼 수 있다.
아직은 쌍안경으로도 관측이 어렵지만 점점 밝아지고 있으며, 10월 29일에 태양에 가장 가까운 지점인 근일점을 지날 것으로 보이며, 11월 10일에는 지구에 가장 가까이 지날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20.html 이곳에서...


2023년 10월 19일 목요일

콜롬비아 비야 베툴리아 애너로빅 내추럴 (Colombia Villa Betulia Anaerobic Natural) - 모모스 커피

 


콜롬비아 비야 베툴리아 애너로빅 내추럴
(Colombia Villa Betulia Anaerobic Natural)

모모스 커피
(Momos Coffee)


- 지역 : Acevedo, Huila
- 농장 : Finca Villa betulia
- 재배 고도 : 1600 ~ 1700 masl
- 생산자 : Arley Calderan
- 품종 : Pink Bourbon
- 가공 방식 : Anaerobic Natural

- tasting note : 패션 후르츠 (passion fruit), 포도, 초콜레티 (Chocolaty), 로즈마리 (Rosemary)


이번엔 오랜만에 모모스 커피에서 주문을 해봤다.
에티오피아나 케냐 같은 아프리카 커피를 많이 마셔봐서 이번엔 중남미 커피를 선택해봤다.
무산소 공정 커피를 그다지 좋아하는 편이 아니어서 좀 꺼림칙했지만, 그래도 그동안 접해본 무산소 공정 커피들이 거부감이 들 정도는 아니었어서 그냥 주문했다.
그런데, 이번 커피는 지금까지 먹어본 무산소 커피들 중 가장 거부감이 심했다.

봉투를 열어 원두 상태를 봤는데, 그동안 다른 커피들과는 다르게 원두 색도 좀 진하고 원두 표면에 기름이 배어나와 있었다.
왜 이렇게 로스팅을 했는지 궁금했다.
그런데, 며칠동안 먹어보면서 느낀 건, 아마도 무산소 공정 특유의 향 (이하 무산소 특유향)이 너무 강해서 로스팅을 강하게 한게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조금이라도 무산소 특유향의 거부감을 감소시키려고 그런게 아닐까 싶었다.
암튼, 이번 커피의 무산소 특유향은 좀 힘들었다.
특히 아세톤 냄새가 강하게 느껴졌고, 때론 과일 썩은 내 같은 느낌도 있었다.
커피에 분명히 상큼한 과일 신맛과 단맛도 있었지만, 무산소 특유향이 그 모든 균형을 깨뜨리고 분쇄할 때부터 다 마시고 난 후까지 계속 강하게 남았다.
혹시나 진하게 내리면 과일 신맛이 좋아지지 않을까 싶어 진하게 내려봤는데, 오히려 과일맛은 묻혀버리고 무산소 특유향만 더 거칠어지고 강해졌다.
진하게 내리니 입안에서 꽉찬 느낌은 있었지만, 그래도 향미의 거부감이 너무 심했다.
그나마 연하게 추출해보니 마실만 했는데, 그래도 내 입에는 맞지 않았다.

커피에서 아세톤 냄새를 느낀다는 게 참 당황스러웠다.
앞으로 무산소 커피를 선택할 때 더 신중해질 것 같은데, 사실 마셔보기 전엔 알 수 없으니 되도록이면 선택하지 않게 될 것 같다.
이번 커피는 참 힘든 경험이었다.


2023년 10월 18일 수요일

Dust and the Western Veil Nebula

 


Dust and the Western Veil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Jiang Wu


백조 자리 (Cygnus, the Swan) 방향으로 약 2400 광년 거리에 있는 Veil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Veil nebula 중에서 서쪽 가장자리 부분을 보여주는 사진인데, 왼쪽 상단에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은 52 Cygni 이다.
전체 Veil nebula 의 크기는 보름달 지름의 6배에 달할 정도로 크지만, 워낙 어두워서 관측하려면 쌍안경이 필요하다고 한다.
Veil nebula 는 약 15000 년 전 백조 자리에 있는 별이 폭발하면서 만들어진 성운이며, 폭발 당시에는 일주일 동안 금성보다도 밝게 보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에 대한 알려진 기록은 없는 상태다.
여전히 팽창중인 가스 구름을 촬영한 이 사진에서 주목할만한 가스 필라멘트로는, 사진 왼쪽 상단의 별 52 Cygni 근처에 있는 Witch's Broom Nebula 와 사진 중앙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뻩어있는 Fleming's Triangular Wisp (예전에는 Pickering's Triangle 이라 했었다.) 등이 있다.
한편, 사진의 왼쪽편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뻩어 있는 갈색 먼지가 있는데, 이 갈색 먼지는 다양한 색상 대역에 걸쳐 장노출로 촬영해야만 볼 수 있어서 이전에 사진에 담긴 적이 거의 없었다. 그런데, 이 갈색 먼지는 거대 항성의 차가운 대기에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18.html 이곳에서...


2023년 10월 13일 금요일

Hydrogen Clouds of M33

 


Hydrogen Clouds of M33


- Image Credit & Copyright : Reinhold Wittich


삼각형 자리 (Triangulum, the Triangle) 방향으로 약 3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M33 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M33 은 우리 은하가 속해 있는 국부 은하군의 주요 구성원이며, Triangulum Galaxy 라고도 알려져 있다.
이 사진에서는 M33 의 중심부 약 30000 광년 정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온화된 수소 구름대인 HII regions 이 붉은 빛으로 보여지는 것이 특징이다.
은하의 중심핵을 따라 감겨있는 느슨한 나선팔을 따라 펼쳐져 있는 거대한 HII regions 은 알려져 있는 별 생성 영역들 중에 가장 큰 곳의 일부이며, 주로 수명은 짧고 질량은 큰 별들이 만들어지는 곳이다.
밝고 무거운 별들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자외선 복사가 주변의 수소 가스들을 이온화시켜 특징적인 붉은 빛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사진의 경우, 은하의 색상을 담고 있는 광대역 데이터와 hydrogen-alpha filter 를 통해 기록된 협대역 데이터를 합성하여 만든 것인데, hydrogen-alpha filter 는 가장 강한 수소 스펙트럼 휘선의 빛을 투과시키는 필터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13.html 이곳에서...


2023년 10월 12일 목요일

Mu Cephei

 


Mu Cephei


- Image Credit & Copyright : David Cruz


케페우스 (Cepheus) 자리 방향으로 약 2800 광년 거리에 있는 별 Mu Cephei 를 촬영한 사진이다.
Mu Cephei 는 붉은 발광 성운 IC 1396 의 가장자리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데, 태양보다 1500배 정도 큰 M급 초거성이다.
크기가 워낙 커서 Mu Cephei 가 우리 태양 자리에 있게 된다면 화성과 목성까지도 집어 삼킬만큼 크다고 한다.
또한, Mu Cephei 는 우리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들 중 가장 큰 별 중 하나이며, 우리 은하 전체에서도 가장 큰 별 중 하나이다.
역사적으로, Herschel's Garnet Star 로 알려져 있는 Mu Cephei 매우 붉은 색을 띄고 있는데, 우리 태양보다 훨씬 차가워서 더 붉으며, 우리 은하내에 있는 성간 먼지에 의한 흡수와 산란 때문에 더 붉게 보인다.
한편, 별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변광성인 Mu Cephei 는 결국 핵 붕괴 초신성으로 폭발하게 될 운명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12.html 이곳에서...


2023년 10월 11일 수요일

NGC 1097 : Spiral Galaxy with Supernova

 


NGC 1097 : Spiral Galaxy with Supernova


- Image Data : Telescope Live (Chile); 
- Image Processing & Copyright : Bernard Miller


화학로 자리 (Fornax, the Furnace) 방향으로 약 45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NGC 1097 을 촬영한 사진이다.
비교적 가까운 거리여서 소형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한 NGC 1097 에서 최근에 초신성이 발견되었다.
사진에서는 두 달 간격으로 촬영된 노출 이미지를 겹쳐서 초신성을 깜빡이게 하여 강조하였다.
아랍 에미리트 (UAE) 의 알 카팀 천문대 (Al-Khatim Observatory)에서 지난 달 발견한 이 초신성은 SN 2023rve 으로 명명되었는데, 블랙홀을 남기는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 항성의 폭발과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NGC 1097 은 아름다운 나선팔 뿐만 아니라 은하 충돌로 인해 남겨진 고대 별 흐름과 일치하는 희미한 제트 (jet)로도 유명한데, 이때 충돌한 은하가 사진에서 NGC 1097 의 왼쪽 하단, 나선팔 사이에 보이는 작은 은하인 것으로 추정된다.
비교적 가까운 거리의 은하에서 이렇게 초신성을 발견하는 것은 우주 전체의 규모와 팽창 속도를 결정하는데 중요할 수 있는데, 이는 현재 예상치 못한 긴장과 많은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주제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11.html 이곳에서...


2023년 10월 10일 화요일

Hidden Orion from Webb

 




Hidden Orion from Webb


- Image Credit & License : NASA, ESA, CSA, JWST; 
- Processing : M. McCaughrean & S. Pearson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오리온 성운의 모습이다.
오리온 성운을 가시광선 영역에서 육안 관측을 하면 그저 작고 희미한 조각처럼 보이는데, 이번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촬영을 통해 오리온 성운이 젊은 별들과 뜨거운 가스, 그리고 어두운 먼지 등으로 이루어진 분주한 동네하는 것이 아주 자세히 밝혀졌다.
두 사진 중 위에 있는 사진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촬영에서 붉은색과 근적외선의 대표 색상을 이용해 합성한 것이고, 아래 사진은 조금 더 근적외선에 가깝게 합성된 사진이다.
오리온 성운에는 그 중심에 밝은 별들로 이루어진 Trapezium 이라는 산개 성단이 있으며, 밝은 별들을 둘러싸고 있는 필라멘트 형태의 확산된 빛은 대부분 가열된 성간 먼지다. 
이 사진들에 대한 자세한 연구를 통해, 오리온 성운에는 예상외로 목성 크기의 쌍성계를 이루는 천체 (Jupiter-Mass Binary Objects (JuMBOs))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이로인해 별들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한편, 말머리 성운을 포함한 전체 오리온 성운 구름 복합체는 앞으로 수백만년에 걸쳐 천천히 흩어지게 될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10.html 이곳에서...


2023년 10월 6일 금요일

Edwin Hubble Discovers the Universe

 


Edwin Hubble Discovers the Universe


- Image Credit & Copyright : Courtesy 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


이 사진은 1923년 10월,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 (Edwin Hubble)이 안드로메다 은하를 촬영한 원본 유리판을 디지털 방식으로 재현한 사진이다.
1920년 천문학계는 "우리의 우주가 얼마나 큰가 ?"에 대해 논쟁이 있었다.
학계를 이끄는 두 명의 천문학자에 의해 논쟁이 이루어졌는데, 당시 많은 천문학자들이 우리 은하가 우주 전체라고 믿었고, 또다른 많은 학자들은 우리 은하는 우주의 여러 은하들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
대논쟁에서 양측의 주장이 상세히 논의되었지만 결국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다.
그러다 3년 후인 1923년, 허블이 관측한 사진 속 안드로메다 은하 (당시에는 성운이라 생각한 모양이다.)에서 한 지점의 밝기가 변하는 것을 발견하고 1923년 10월 6일에 유리판에 "VAR!"라고 적었다.
허블은 이 점이 아주 멀리 있는 변광성의 이미지라는 것이 가장 적절한 설명임을 알았다.
그로인해 M31 이 우리 은하와 비슷한 안드로메다 "은하"였음을 밝혀냈다.
100년전 이 유리판 이미지가 보기 좋은 상태는 아니지만, 변광하는 점을 통해 인류가 놀랍도록 광활한 우주를 처음으로 응시할 수 있는 창을 열어주었다.
참고로, 에드윈 허블도 처음에는 변광성이 신성이라고 생각했었다고 한다.
그래서, 유리판에 신성 (Nova)의 "N"자를 적었다가 나중에 변광성임을 알고 "VAR!"라고 수정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06.html 이곳에서...


2023년 10월 5일 목요일

에티오피아 모하메드 알리 내추럴 (Ethiopia Mohamed Ali, natural) - 더 반 커피

 


에티오피아 모하메드 알리 내추럴
(Ethiopia Mohamed Ali, natural)

더 반 커피
(The Barn Coffee)


- origin : Ethiopia Jimma
- producer : Mohamed Mustafa Ali
- 재배 고도 : 2050 m
- 품종 : mixed heirloom
- 가공 방식 : natural

- cup note : Red Grape, Red Apple, Vanilla


이번엔 이웃 블로거인 "홍시기"님 (https://blog.naver.com/132159891) 을 통해 알게된 "더 반 커피"라는 커피집의 원두를 구매해봤다.
"더 반 커피"는 원래 독일 베를린에 있는 커피집인데, 우리 나라에도 매장을 내고 운영하고 있다.
로스팅까지 독일에서 한 것을 공수하는 건 아니고, 로스팅은 서울에서 한다.
마침 대전에도 매장이 있어 직접 가서 원두를 구매했다.
근데, 원두 가격은 다른 커피집들과 비슷한데, 음료 가격은 많이 비쌌다.
아무래도 음료를 먹으러 가진 않을 것 같다.

암튼, 그렇게 이 원두를 구매했는데, 며칠에 걸쳐 먹어보니 전형적인 에티오피아 커피였다.
상큼한 과일 맛과 단맛이 잘 어우러진 커피였다.
상큼함은 분쇄할 때부터 느껴지고, 조금은 무거운듯한 단향이 있었고, 쿰쿰한 느낌의 치즈같은 향도 있었다.
추출 커피에서도 비슷해서 상큼하면서 달았는데, 특히 연하게 추출 했을 때 좀더 부드러운 단향이 느껴졌다.

이러한 상큼함과 단맛은 마시면서도 마찬가지였고, 진하게 내릴수록 더 상큼한 과일 신맛이 강조되었고, 연하게 내릴수록 부드러운 단맛이 좋았다.
약간 무거운듯한 과일 단맛은 어찌보면 베리류의 단맛처럼 느껴지기도 했는데 확실치는 않았고, 연하게 내릴 때의 부드러운 단맛은 누가 (nougat)나 바닐라 같은 뉘앙스로 다가오기도 했다.
입안에서의 느낌은 부드러운 편이었는데, 진하게 내릴 때는 그래도 입안에 꽉찬듯한 느낌이 있었다.
그리고, 다 마시고 난 후에도 과일의 상큼한 신맛과 단맛의 여운이 있었다.

전체적으로 아주 특별한 커피라고는 할 수 없지만, 그래도 과일의 신맛과 부드러운 단맛의 조화가 좋은 커피 아니었나 싶다.


2023년 10월 4일 수요일

IC 2118 : The Witch Head Nebula

 


IC 2118 : The Witch Head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Abdullah Alharbi


에리다누스 (Eridanus) 자리 방향으로 약 900 광년 거리에 있는 반사 성운 IC 2118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모습이 핼러윈 스타일의 마녀 머리 캐리커쳐를 닮았다 하여 Witch Head Nebula 라는 이름을 갖고 있기도 하는 IC 2118 은 그 길이가 약 50 광년 정도이고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져 있다.
성운의 빛이 푸르스름하게 보이는 것은 사진에는 담기지 않았지만 사진 아랫쪽에 위치한 별 리겔 (Rigel)의 강력한 파란 빛 때문이기도 하고, 또 성운의 먼지 입자들이 붉은 빛 보다는 파란 빛을 더 효율적으로 산란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지구의 낮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과 같은 물리적 현상이다.
참고로, 리겔 (Rigel)은 오리온 자리를 구성하고 있는 밝은 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04.html 이곳에서...


2023년 10월 3일 화요일

MyCn 18 : The Engraved Hourglass Planetary Nebula

 


MyCn 18 : The Engraved Hourglass Planetary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NASA, ESA, Hubble, HLA; 
- Processing & Copyright : Harshwardhan Pathak


파리 자리 (Musca, the Fly) 방향으로 약 8000 광년 거리에 있는 행성상 성운 MyCn 18 을 촬영한 사진이다.
Engraved Hourglass Nebula 라고 알려져 있는 MyCn 18 은 중심부가 사람의 눈처럼 생겼고, 주변으로 고리들이 모래시계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 성운 중심 별의 핵연료가 고갈되고 있는 모양이다. 중심 별의 핵연료가 고갈되면 별의 외곽층이 떨어져 나가고 그 중심핵은 차가워져서 희미한 백색 왜성이 될 것이다.
1995년에 천문학자들이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해 일련의 행성상 성운들의 이미지를 만들었는데, 이 사진도 그 중 하나이다.
사진에서는 모래시계 형태의 윤곽을 만들고 있는 다채롭게 빛나는 가스 고리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질소, 수소, 산소 등이 각각 붉은색, 녹색, 파란색으로 표현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선명한 허블 우주 망원경의 이미지들은 성운 방출 과정의 아주 세밀한 부분까지 밝혀냄으로서 MyCn 18 과 같은 행성상 성운들의 복잡한 형태와 대칭성에 대한 수수께끼를 풀 수 있게끔 하는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03.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9년 9월 29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약간 다른데, 아무래도 같은 사진에 대해 리터칭만 다른 것 아닌가 생각된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663152284


2023년 10월 2일 월요일

Sprite Lightning in High Definition

 


Sprite Lightning in High Definition


- Image Credit & Copyright : Nicolas Escurat


약 3주전 프랑스 도르도뉴 (Dordogne) 의 카스텔로 성 (Castelnaud Castle) 위에서 촬영된 Red sprite 번개의 모습이다.
지난 9월 18일 포스팅에서도 올렸었는데, Red sprite 번개는 성층권 (stratosphere) 바로 위, 열권 (thermosphere) 바로 아래인 중간권 (mesosphere)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전기 방전 현상이다. 
우주 공간에 가까운 곳에서 발생하는 셈인데, 아직은 이 현상에 대해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은 모양이다. 과학자들이 Red sprite 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여전히 연구중이라 한다.
그러한 연구에 따르면, 먼저 구름에서 지상으로 강력한 양전하 번개가 내리치면, 100m 크기의 구(球) 형태를 지닌 이온화된 공기가 약 80 km 높이에서 빛의 속도의 10%에 해당하는 속도로 떨어지면서 Red sprite 가 시작되며, 바로 이어서 줄무늬 형태로 위쪽으로 향하는 한 무리의 이온화된 구(球)가 뒤따른다고 한다.
이 사진의 경우, 아주 고해상도 이미지인데, 겨우 1/25 초 만에 촬영된 것이고, 영상의 다른 프레임에서는 더이상 보이지 않았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02.html 이곳에서...


2023년 10월 1일 일요일

A Desert Eclipse

 


A Desert Eclipse


- Image Credit & Copyright : Maxime Daviron


오는 10월 14일, 토요일에 북미와 남미에서 금환 일식 (annular eclipse)을 볼 수 있을 예정이어서 과거의 금환 일식에 대한 기록들을 APOD 에서 이렇게 올리는 모양이다.
이 사진은 2019년 12월 말, 아랍 에미리트 연합국 (United Arab Emirates)과 Rub al-Khali 모래 사막을 여행하는 중에 촬영한 것이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금환 일식은 달이 지구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태양을 다 가리지 못하고 달의 둘레에 태양이 보이면서 마치 불의 고리처럼 보이는 일식 현상이다. 
이 사진을 촬영한 사진가는 특히 사진 속 나무가 초현실적인 배경에 대조적인 평범함과 규모, 질감 등을 주기 때문에 이런 장면을 선택해 촬영한 모양이다.
암튼, 사진을 잘 모르는 사람이 봐도 이 사진은 참 멋진 것 같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001.html 이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