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agull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Timothy Martin
외뿔소 자리 (Monoceros)와 큰개 자리 (Canis Major) 사이 경계에 있으며 거리는 약 3800 광년 떨어져 있고, 큰개 자리 (Canis Major)의 알파 별인 시리우스 (Sirius) 방향으로 우리 은하면을 따라 펼쳐져 있는 Seagull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Seagull Nebula 의 밝은 머리 부분 (사진 상단)은 NGC 2327 로 분류된 성운 영역이며 조밀하고 먼지가 많은 발광 성운 (emission nebula)과 반사 성운 (reflection nebula)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안에는 거대한 별 HD 53367 이 있다.
원문에는 밝은 머리 부분이 IC 2177 이라고 되어 있는데 뭔가 착오가 있는 것 아닌가 싶다.
보통 IC 2177 은 Seagull Nebula 전체를 일컫는다.
다른 천체들을 포함하는 더 넓은 범위의 발광 영역 (emission region)은 연속적인 초신성 폭발로 인해 만들어진 광범위한 껍질 구조의 일부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밖에 사진 중앙 아래쪽에 푸른 빛을 띄며 활 모양의 충격파를 지닌 별은 FN Canis Majoris 라는 도망성 (runaway star)이다.
한편, 이 사진은 전체적으로 수소 원자에 의한 붉은 빛이 주도적이며, 성간 가스와 먼지 구름들의 복합체가 Canis Majoris OB1 association 라는 별 무리와 함께 하고 있는데, 폭이 200 광년이 넘는다.
참고로, stellar association 은 산개 성단이나 구상 성단 보다 좀더 느슨한 형태의 성단으로 그 안에 대략 10 ~ 100 개 정도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중 특히 스펙트럼 특징에 의한 분류 중 O형과 B형에 해당하는 별들이 모인 것을 OB associations 이라 하고, 이 별들의 수명은 대체로 짧은 편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3484984053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3년 1월 19일과 2024년 3월 13일에도 올렸었는데, 글의 내용도 조금씩 다르고 사진도 다르다.
2023년 1월 19일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989185629
2024년 3월 13일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3382545295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