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월 31일 화요일

...


빵을 좋아한다.
일주일에 적어도 2~3번 정도 빵을 산다.
근데, 이젠 이것이 힘들 것 같다.
그사이 빵 가격이 몇번 오르긴 했어도 아직은 임계치는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내일부터 오를 동네 빵집 가격을 듣고는 이젠 임계치를 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빵을 좋아해서 빵집에 전혀 안가진 않겠지만, 아마도 많아야 일주일에 한번 정도일 것 같다.
아마도 대부분 동네 마트에서 사지 않을까 싶다.

커피는 아직 가격이 오르지 않고 있다.
커피집 사장님이 최대한 버티고 있는 것 같았다.
우유값도 오르고 이런 저런 공과금이 다 오르고 있는데, 용케 버티고 계신 것 같다.
아마도 언젠가는 오르겠지만, 커피집들은 그렇게 크게 오르지 않는 느낌이다.

뭐 정부에서 거의 모든 공공 요금을 올리고 있으니 작은 자영업자들이 버틸 재간이 없을 것이다.
전 정부가 제때 올리지 않아서 이렇게 되었다고 하는데, 그럼 인상 요인이 있을 때마다 바로 바로 올려야 하나 ?
국민들 상황은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
그런걸 조절하고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정책을 펴라고 정부가 있는 것 아닐까 ?
그렇지 않다면 정부는 왜 존재하는 것인가 ? 그냥 모든 걸 시장에 맡겨버리지... 아마도 지옥이 되겠지만...


2023년 1월 30일 월요일

Globular Star Cluster NGC 6355 from Hubble

 


Globular Star Cluster NGC 6355 from Hubble


- Image Credit : ESA/Hubble & NASA, E. Noyola, R. Cohen


뱀주인 자리 (Ophiuchus) 방향으로 약 31000 광년 거리에 있는 구상 성단 NGC 6355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아주 오래전, 그러니까 우리 은하가 만들어진 지 얼마 안되었을 때는 구상 성단들이 아주 많았었다고 한다.
아마도 수천개쯤...하지만, 지금은 채 200 개도 남지 않았다.
오랜 세월 동안 구상 성단들이 서로 충돌하거나 다른 은하와 충돌하면서 점점 파괴되어 사라져 갔고 지금 남아 있는 구상 성단들은 지구의 어떤 화석들보다 오래되었고 우리 은하의 어떤 구조물들보다 오래되었으며, 우주 자체를 원시 상태로 제한하고 있다.
더군다나 우리 은하에는 더 많은 구상 성단들이 만들어질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아서 남아있는 젊은 구상 성단이 거의 없는 상태다.
허블 우주 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구상 성단 NGC 6355 는 나이가 130억 년이나 되며 현재 우리 은하 중심 근처를 지나고 있는데, 사진에서 보면 그 중심에 별들이 집중되어 있고 밝은 파란색 별들로 강조되어 있다.
사진에 있는 다른 대부분의 별들은 더 어둡고 더 붉은데, 우연히 NGC 6355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것 뿐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30.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27일 금요일

Comet ZTF : Orbital Plane Crossing

 


Comet ZTF : Orbital Plane Crossing


- Image Credit & Copyright : Dan Bartlett


지난 1월 23일 캘리포니아 June Lake 에서 촬영된 혜성 C/2022 E3 ZTF 의 모습이다.
이날은 지구가 장주기 혜성인 C/2022 E3 ZTF 의 궤도면을 통과한 때와 아주 가까운 시기였는데, 혜성이 지구와 가장 가까워지는 날은 2월 1일이며, 지금은 점점 더 밝아지고 있다.
혜성의 넓고 희끄무레한 먼지 꼬리는 여전히 휘어져 있는데, 혜성이 그 궤도를 따라 지나감에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져 있다.
그리고, 궤도면에 가까운 시점으로 인해 부채꼴 모양의 먼지 꼬리 부분이 녹색의 혜성 중심핵 양쪽으로 보여지고 있으며, 혜성 꼬리의 반대 방향으로도 꼬리 (사진에서 왼쪽에 있는 꼬리 부분) 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태양 활동으로 인해 만들어진 혜성의 좁은 이온 꼬리가 사진에서 오른쪽 대각선 방향으로 뻗어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27.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26일 목요일

Active Galaxy NGC 1275

 


Active Galaxy NGC 1275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Heritage, A. Fabian (University of Cambridge, UK)


페르세우스 (Perseus) 자리 방향으로 약 2억 3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활동성 은하 NGC 1275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Perseus A 라고도 알려져 있는 NGC 1275 는 페르세우스 은하단의 중심 은하이며,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거칠게 보이지만, 많은 양의 X-rays 나 전파를 방출하고 있다.
또한, 축적된 물질들은 은하의 중심에 있는 거대 블랙홀로 빨려들어가고 있다.
이 사진은 2006년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들을 합성한 것이며, 은하의 잔해와 약 20000 광년 길이나 되는 빛나는 가스로 이루어진 필라멘트들을 강조하고 있다.
보통 은하가 충돌할 경우 이런 필라멘트들은 파괴되는데, NGC 1275 에서는 그 중심에 있는 블랙홀의 활동에 의해 필라멘트들이 은하 중심에서 밀려나면서 자기장에 의해 이런 구조가 유지되고 있는 것이라 한다.
한편, NGC 1275 의 폭은 대략 10000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26.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25일 수요일

LDN 1622 : The Boogeyman Nebula

 


LDN 1622 : The Boogeyman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Joshua Carter


암흑 성운 LDN 1622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그 모습 때문에 Boogeyman Nebula 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 LDN 1622 는 우리 은하면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늘에서 봤을 때 오리온 자리의 발광 성운 복합체인 Barnard's Loop 에 가깝게 보이는데, 실제로 거리도 Barnard's Loop 과 비슷한 1500 광년 정도라 한다.
암흑 성운이다 보니 배경 빛을 이용해 관측이 가능한데, 여기서 보이는 붉은 빛의 배경은 장시간 노출을 통해 볼 수 있는 수소 가스의 빛이다.
반면, 사진의 중심에서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밝은 반사 성운은 vdB 62 이고, LDN 1622 보다는 관측이 쉽다.
그리고, 암흑 성운 내에 젊은 별들이 숨겨져 있는데, Spitzer Space Telescope 같은 적외선 망원경을 이용해야만 관측이 가능한 모양이다.
한편, 이 사진의 폭은 약 6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25.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24일 화요일

프릳츠커피 콜드브루 <실버>, <골드 (올드독)>

 


얼마전에 선물 받은 프릳츠의 콜드브루 커피다.
콜드브루는 잘 먹지 않는 편이어서 맛은 잘 모르지만, 먹어보니 먹을만하다.
올드독이라 써 있는 <골드>는 좀더 묵직하고 쌉싸름하며, <실버>는 좀더 단 것 같았다.
나는 차갑게 먹진 않고 뜨거운 물에 희석해서 먹고 있는데, 빵하고 같이 먹으니 제법 좋았다.
덕분에 프릳츠의 콜드브루도 먹어보고 그저 감사할 따름이다.


2023년 1월 23일 월요일

The Colliding Spiral Galaxies of Arp 274

 


The Colliding Spiral Galaxies of Arp 274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 Processing & Copyright : Mehmet Hakan Özsaraç


처녀 자리 (Virgo) 방향으로 약 4억 광년 거리에 있는 Arp 274 를 촬영한 사진이다.
NGC 5679 라고도 알려져 있는 Arp 274 는 단일 은하는 아니고, 사진에서 보듯이 3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것을 일컫는다.
이 3개의 은하 중 크기가 더 큰 두 개의 나선 은하가 충돌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렇게 은하가 충돌을 하더라도 그 안에 있는 별들이 충돌하는 일은 거의 없다.
은하들이 대부분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고, 아무리 밝은 별들이라도 그 안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아주 작기 때문에 별들이 직접 충돌하는 일은 없다고 한다.
하지만, 은하가 충돌할 때 한 은하가 다른 은하를 중력적으로 찢을 수 있고, 두 은하 안에 있는 가스와 먼지들은 충돌하게 된다.
또한, 두 은하가 합쳐져서 하나의 은하가 될 때 두 은하의 중심에 있는 블랙홀은 결국 하나가 된다.
Arp 274 의 두 나선 은하는 거리가 꽤 멀기 때문에 이런 일련의 충돌 과정이 아주 느리게 진행되어서 수억년 이상 걸릴 것이다.
한편, Arp 274 는 그 폭이 대략 20000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23.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21일 토요일

홀리데이 블렌드 <비긴 어게인> (Holiday Blend ) - 커피 몽타주

 


홀리데이 블렌드 <비긴 어게인>
(Holiday Blend <Begin Again>)

커피 몽타주
(Coffee Montage)


- 구성 : Kenya Gititu AA washed 33%
Ethiopia Guji Samuel Degelo washed 33%
Ethiopia Sidamo Mullugeta Muntasha washed 33%

- Tasting note : floral, peach, orange, blueberry jam, honey, juicy


이번엔 좀 뜬금없이 블렌드 커피를 선택해봤다.
자주 주문하는 커피 몽타주에서 "홀리데이 블렌드"라는 것이 있길래 프로필을 살펴봤더니 구성도 좋고 테이스팅 노트도 마음에 들어 주문해봤다.
분쇄 커피나 추출 커피에서 향을 맡을 때는 향이 좋다는 것은 알겠는데, 구체적으로 무슨 향인지까지는 알기가 어려웠다.
과일향이 참 좋고 견과의 고소함도 좋고 단향도 좋았지만, 과일향들이 어떤 과일인지 알 수 없었다.
대략적으로 오렌지 같은 citrus 계 과일과 베리류의 향은 알겠는데, 뭔가 복잡하게 섞인 듯한 느낌이어서 어려웠다.
하지만, 그래도 전체적인 향이 좋아서 마음에 들었다.

그리고 마셔보니 더 좋았다.
과일의 상큼하고 달콤한 향미와 고소함, 단맛의 조화가 좋았다.
역시나 오렌지나 베리 같은 과일맛이 좋았고, 더불어 고소함과 단맛도 좋았는데, 마시고 있으면 저절로 기분이 좋아지는 커피였다.
조금 부드럽게 내려보면 단맛이 더욱 강해지는 경향이 있었고, 다 마시고 난 후에도 기분좋은 과일의 신맛과 고소함, 단맛의 여운이 오래 남았다.
블렌드 커피를 썩 좋아하는 편이 아닌데, 이 커피는 아주 마음에 들었다.
블렌드 이름처럼 올 한해 뭔가 다시 시작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은 평안과 공감이 함께하는 일들이 내게 생겼으면 좋겠다.
내가 아는 모든 이들에게도...


2023년 1월 20일 금요일

Galaxy Wars : M81 and M82

 


Galaxy Wars : M81 and M82


- Image Credit & Copyright : Andreas Aufschnaiter


큰곰 자리 (Great Bear, Ursa Major) 방향으로 약 12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두 은하 M81 과 M82 를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 중심에 있는 두 은하 중 오른쪽에 있는 것이 나선 은하 M81 이고, 왼쪽에 있는 은하가 불규칙 은하인 M82 이다.
Bode's galaxy 라고도 알려져 있는 M81 은 폭이 100000 광년이나 되는 나선 은하로, 중심에는 밝은 노란 빛의 핵이 있고, 거대한 나선팔을 갖고 있다.
이 두 은하는 지난 수십억년 동안 서로 중력 상호 작용을 하고 있는데, 가까이 있는 동안 두 은하의 중력이 서로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모양이다.
약 1억년 동안 계속되어 온 최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M81 주변에서는 잔물결 같은 밀도파 (density waves)를 일으켜 M81 의 나선팔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고, M82 에는 격렬한 별 생성 영역과 충돌하는 가스 구름이 너무 강력해서 은하가 X-ray로 봤을 때 밝게 빛나게 된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 수십억년 내에 두 은하는 중력 상호 작용을 계속하여 결국 하나의 은하가 될 것이라 한다.
그밖에 이런 외부 은하 시나리오에는 M81 은하 그룹에 속한 다른 은하들도 포함될 수 있는데, 사진에서 M81 오른쪽 아래에 있는 NGC 3077과 M81 오른쪽 상단에 있는 NGC 2976 이 바로 그런 은하들이다.
한편, 오스트리아 알프스에서 촬영한 이 사진의 전경에는 집적된 유동체 성운들로 가득차 있으며, 이런 희미하고 먼지투성이의 성간 구름들은 우리 은하면 위에서 별빛을 반사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20.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19일 목요일

The Seagull Nebula

 


The Seagull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Carlos Taylor


외뿔소 자리 (Monoceros)와 큰개 자리 (Canis Major) 사이 경계에 있으며 거리는 약 3800 광년 떨어져 있는 Seagull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가스와 먼지가 넓게 펼쳐져 빛나고 있는 모습이 바다 갈매기를 닮았다 하여 Seagull Nebula 라는 별칭을 갖게 되었는데, 공식적으로 Sh2-296 과 IC 2177 로 등록되어 있으며, 연속적인 초신성 폭발로 인해 휩쓸려간 더 큰 껍질 구조의 일부로 추정되고 있다.
그리고, 사진 중심에서 오른쪽 아래에 있는 파란색의 호 (arc) 는 빠른 속도로 우주 공간에서 움직이고 있는 별 FN Canis Majoris 에서 나오는 충격파이다.
한편, 이 사진의 폭은 약 200 광년 정도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19.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18일 수요일

MACS0647 : Gravitational Lensing of the Early Universe by Webb

 


MACS0647 : Gravitational Lensing of the Early Universe by Webb


- Image Credit : NASA, ESA, CSA, Dan Coe (STScI), Rebecca Larson (UT), Yu-Yang Hsiao (JHU); 
- Processing : Alyssa Pagan (STScI); 
- Text : Michael Rutkowski (Minn. St. U. Mankato)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이 중력 렌즈 효과를 이용해 아주 멀리 있는, 그러니까 초기 우주의 은하를 관측하였다.
중력 렌즈 역할을 한 것은 MACS0647 이라는 은하단이고, 관측 대상이 된 초기 은하는 MACS0647-JD 이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다중 색상 적외선 이미지로 관측된 초기 은하 MACS0647-JD 는 예전에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서 처음 관측되었는데 그때는 그저 무정형의 덩어리처럼 보였었다.
하지만, 이번 사진은 MACS0647-JD 가 최소한 한쌍의 은하이거나 작은 그룹의 은하들일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MACS0647-JD 에 속한 은하들의 색상이 다를 뿐아니라 잠재적으로 은하들의 나이와 먼지 함량 등도 다를 것이라 한다.
한편, 이 사진에서 중력 렌즈 효과가 멀리 있는 은하를 3개로 보여주고 있는데, 사진에서 각각 번호 1, 2, 3 이 붙은 작은 사각형 안의 천체가 그것이며, 이들을 크게 확대한 이미지를 오른쪽에 배치해놨다.
암튼, 이번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사진은 빅뱅이 있은지 불과 1억년 밖에 안된 시기의 초기 은하를 보여주고 있는 희귀한 사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18.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17일 화요일

Unexpected Clouds Toward the Andromeda Galaxy

 


Unexpected Clouds Toward the Andromeda Galaxy


- Image Credit & Copyright : Yann Sainty & Marcel Drechsler


사진 속 은하는 안드로메다 은하이고, 그 왼쪽 옆에 있는 파란색의 호 (arc) 형태는 산소를 방출하고 있는 가스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그동안 발견되지 않았던 파란 호 (arc)가 작년에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에 의해 처음 관측되었다.
아직까지 이 호 (arc)에 대해서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두 가지의 가설이 있는데, 하나는 이 호 (arc) 가 정말 안드로메다 은하에 가까이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우연히 우리 은하에 위치하게 된 가스 필라멘트라는 것이다.
여기에 더 이해가 안가는 것은, 예전에 수소에서 방출되는 빛으로 주로 촬영된 안드로메다 은하 이미지들에서는 이 호 (arc)가 관측되지 않았다는 것과 더 멀리 있는 은하들은 일반적으로 이와 비슷한 산소 방출 구조를 보여주지 않았다는 점이다.
아마추어들이 이런 발견을 한 것에 대해, 천문학자들의 전문 망원경은 밤하늘의 좁은 시야각을 관측하는 반면, 상업용 망원경을 이용하는 아마추어들은 보름달 보다 몇배나 더 넓은 시야각을 관측하기 때문에 이런 발견을 한 것이 아닐까 생각하는 모양이다.
어찌되었든, 산소나 다른 원소에서 방출되는 빛을 관측하는 일이 앞으로 계속 이어질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17.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16일 월요일

Moon Enhanced

 


Moon Enhanced


- Image Credit & Copyright : Darya Kawa Mirza


조금 이상하게 보이지만, 우리의 달 맞다.
실제 달의 모습은 아니지만, 실제에 기반해 디지털 보정을 한 모습이다.
원래 달의 질감은 이렇게 풍부하지도 않고 색도 희미한데, 달의 표면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여러 장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만들었다.
예를 들면, 지난 46억년 동안 수많은 충돌로 인해 생긴 크레이터들을 보다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바다 (maria 는 mare 의 복수형인데, mare 는 라틴어의 "바다"를 의미한다.) 라고 부르는 어두운 부분에는 크레이터가 별로 없는데 이는 한때 이곳이 용암 바다였기 때문이다.
또한, 달의 실제 조성에 기반해서 색을 바꾸고 과장했는데, 파란색은 철이 많은 지역이고 오렌지 색은 알루미늄이 좀더 많은 곳이다.
어쨌거나, 지난 수십억년 동안 달은 지구에 같은 면만 보여주고 있지만, 현대 기술로 인해 인류에게 많은 것을 알려주었고, 달이 지구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도 알게해줬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16.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14일 토요일

Perihelion Sun 2023

 


Perihelion Sun 2023


- Image Credit & Copyright : Peter Ward (Barden Ridge Observatory)


올해 2023년, 지구가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근일점이 세계협정시 (UTC, coordinated universal time)로 지난 1월 4일 16시 17분이었다.
이는 호주 시드니에서 망원경과 H-alpha 필터로 관측한지 불과 24시간도 되지 않은 시점이었다.
H-alpha 필터는 수소 원자의 붉은 빛을 통과시키는 특성을 지녔는데, 이를 통해 태양 표면 바로 위에 있는 가스층을 더욱 강조할 수 있었고, 점점 활동성이 강해지고 있는 태양에서 행성만한 크기의 흑점들이 plage 라는 밝은 얼룩처럼 보여지게 만든다. 
또한, 태양 표면에서 뱀처럼 구불거리는 검은 플라즈마 필라멘트들이 태양 가장자리에서 봤을때 밝은 홍염으로 보여진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14.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13일 금요일

Young Star Cluster NGC 346

 


Young Star Cluster NGC 346


- Image Credit : Science - NASA, ESA, CSA, Olivia C. Jones (UK ATC), Guido De Marchi (ESTEC), Margaret Meixner (USRA)
Processing - Alyssa Pagan (STScI), Nolan Habel (USRA), Laura Lenkić (USRA), Laurie E. U. Chu (NASA Ames)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James Webb Space Telescope)의 NIRcam 을 이용하여 적외선 촬영된 성단 NGC 346 의 모습이다.
NGC 346 은 210000 광년 거리에 있으며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인 소마젤란운 (Small Magellanic Cloud, SMC) 안에 위치한 젊은 성단인데, NGC 346 이 있는 곳이 소마젤란운 내에서도 별들이 가장 많이 만들어지고 있는 곳이라 한다.
NGC 346 의 별들은 아주 활동적이지만 수명은 짧은 별들로, 이들 별에서 방출되는 항성풍과 복사에너지가 이 영역의 분자 구름들을 만들고 있으며 이들 분자 구름 속에서 또한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런 별 생성 영역에서는 아직 완전한 별이 되지 않은 원시성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중심 핵에서 아직 수소를 태우지 않고 있는 300 ~ 500 만년 정도 밖에 안된 어린 별들이 성단 내에 여기 저기 흩어져 있다.
한편, 이번 적외선 사진에서는 별에서 방출되고 있는 강력한 복사에너지에 의해 이온화된 수소 원자들의 발광 (emission)과 별 생성 분자 구름 내에 존재하는 수소 분자와 먼지들이 분홍색과 오렌지색으로 보여지고 있으며, 이 사진의 폭은 대략 24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13.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12일 목요일

Stardust in Perseus

 


Stardust in Perseus


- Image Credit & Copyright : Jack Groves


페르세우스 (Perseus) 자리 방향에서 볼 수 있는 성단과 성운들, 그리고 우주 먼지들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사진의 왼쪽 상단에는 젊은 산개 성단인 IC 348 과 Barnard 3 과 4로 등록되어 있는 성간 먼지 구름과 함께 있는 Flying Ghost Nebula 가 위치하고 있고, 사진의 오른쪽 중앙 부분에는 활발한 별 생성 영역인 푸른빛의 반사 성운 NGC 1333 이 자리잡고 있는데, NGC 1333 은 약 850 광년 거리에 있는 거대한 페르세우스 분자 구름 (Perseus Molecular Cloud)의 외곽에 있는 어두운 먼지 구름과 연결되어 있다.
그밖에 사진의 많은 부분에서 먼지로 이루어진 성운들이 수소 가스의 희미한 붉은 빛을 띄며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이러한 먼지들은 새로 태어난 별들이나 곧 별이 될 천체들의 광학적 관측을 어렵게 하고 있는데, 분자 구름 속에 있는 고밀도의 중심핵에서 원시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한다.
한편, 이 사진의 폭은 약 90 광년 정도이다.

참고로, IC 348 과 Barnard 3, Barnard 4 주변의 사진을 하나 더 올려본다.



http://www.distant-lights.at/ic348-2017_10_16.htm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12.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11일 수요일

Spiral Aurora over Iceland

 


Spiral Aurora over Iceland


- Image Credit & Copyright : Stefano Pellegrini


지난 11월, 아이슬란드 북서쪽 해안, Gatklettur 라는 암석 아치 (arch)가 있는 곳을 배경으로 촬영된 오로라의 모습이다.
이 사진은 같은 날 밤, 같은 장소에서 같은 카메라로 촬영된 여러 장의 전경과 후경 사진들을 합성하여 만든 사진이다.
앞에 있는 바위들 중에 큰 것은 1m 가 넘는 것도 있고, 안개처럼 보이는 것은 움직이는 파도를 장노출로 촬영하여 그렇게 보여지는 것이다.
장소는 아름다운 전경 때문에 선택되었지만, 시간은 화려한 오로라를 위해 계획되었는데, 이런 나선형 오로라는 아마도 천체 사진가의 삶에서 가장 밝은 오로라 중 하나 아닐까 싶다.
코일처럼 휘감긴 이런 오로라의 모습은 아주 짧은 시간내에 사라지지만, 추운 겨울 밤 춤을 추는 듯한 오로라의 모습은 여러 시간동안 계속되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11.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10일 화요일

NGC 2264 : The Cone Nebula

 


NGC 2264 : The Cone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Matthew Dieterich


외뿔소 자리 (Monoceros, the Unicorn) 방향으로 약 2500 광년 거리에 있는 Cone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Cone Nebula 는 NGC 2264 라는 별 생성 영역 내에 속해 있는데, 이곳에는 Cone Nebula 외에도 Christmas Tree Cluster, Fox Fur Nebula, Snowflake nebula 등이 위치하고 있다.
가스와 먼지 구름 등으로 이루어진 Cone Nebula 는 길이가 7 광년 정도 되는데, 사진 상단에 있는 별 NGC 2264 IRS 에서 방출되는 항성풍에 의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이 사진은 칠레 El Sauce Observatory 에 있는 지름 0.5m 망원경을 이용하여 24시간 노출을 통해 촬영된 사진들을 합성하여 만들어졌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10.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9일 월요일

Tails of Comet ZTF

 


Tails of Comet ZTF


- Image Credit & Copyright : Jose Francisco Hernández


작년 초에 발견되었던 혜성 C/2022 E3 (ZTF) 를 촬영한 사진이다.
C/2022 E3 (ZTF) 는 태양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더 밝아지고 있는데, 이번 주 후반에 태양에 가장 가까워질 것이다.
이때쯤이면, 충분히 맑고 어두운 북반구 밤하늘에서 쌍안경 없이도 관측이 가능할 것이라 한다.
하지만, 혜성이 태양에 가까워지면 그 밝기를 예측하기 어려워진다.
이 사진은 지난 주에 촬영된 것으로, 혜성 오른쪽 상단으로 3개의 파란 이온 꼬리를 볼 수 있으며 왼쪽 상단으로는 그보다 훨씬 짧은 흰색의 먼지 꼬리를 볼 수 있다.
혜성의 이온 꼬리는 얼음으로 이루어진 혜성의 핵에서 방출되는 이온이 태양풍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혜성의 핵은 녹색으로 빛나고 있는데 이는 탄소 가스 때문이다.
한편, 혜성 C/2022 E3 (ZTF) 는 2월 초에 지구에 가장 가깝게 지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그 후에는 극적으로 희미해질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09.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5일 목요일

Messier 45 : The Daughters of Atlas and Pleione

 


Messier 45 : The Daughters of Atlas and Pleione


- Image Credit & Copyright : Stefan Thrun


우리 은하의 오리온 나선팔 (Orion Arm)에 위치하면서 황소 자리 (Taurus) 방향으로 약 400 광년 거리에 있는 플레이아데스 (Pleiades) 성단을 촬영한 사진이다.
Seven Sisters 라고도 알려져 있는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푸른 빛의 반사 성운으로도 잘 알려져 있고, 주변의 먼지 구름들이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성단과 먼지 구름은 별 관련이 없으며 우연히 같은 장소에 있는 것 뿐이라 한다.
갈릴레오가 망원경으로 처음 관측한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훗날 Charles Messier 가 그의 카탈로그에 45번째로 올리면서 M45로 등록되었다.
플레이아데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거인족인 Atlas 와 바다 요정인 Pleione 사이의 일곱 딸들이며, Atlas 와 Pleione 의 이름도 플레이아데스 성단내의 9개 별에 포함되어 있다.
한편, 이 사진은 9시간 노출을 통해 촬영되었으며 별과 성간 먼지의 필라멘트들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고,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폭은 대략 20 광년이 넘는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05.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9년 11월 8일에도 올렸었고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2023년 1월 4일 수요일

CG4 : The Globule and the Galaxy

 


CG4 : The Globule and the Galaxy


- Image Credit & Copyright : Mike Selby & Mark Hanson


고물 자리 (Puppis) 방향으로 약 1300 광년 거리에 있는 혜성형 소구체 (cometary globule) CG4 를 촬영한 사진이다.
괴물처럼 생긴 CG4 가 앞에 있는 은하를 잡아 먹을 것 처럼 보이지만, 실은 은하와 CG4 는 매우 멀리 떨어져 있고 우연히 이렇게 보여지는 것 뿐이다.
먼지로 이루어진 머리 부분과 기다란 꼬리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마치 혜성을 닮았다 하여 혜성형 소구체라 하는데, 당연히 혜성과는 전혀 상관없으며, 혜성형 소구체에서는 별들이 자주 만들어지고 있고 머리 부분에는 아주 젊은 별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한편, CG4 의 머리 부분이 찢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아직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04.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3일 화요일

Kemble’s Cascade of Stars

 


Kemble’s Cascade of Stars


- Image Credit & Copyright : Tommy Lease


기린 자리 (Camelopardalis, the Giraffe) 방향에서 사진처럼 왼쪽 상단부터 오른쪽 하단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별들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Kemble's Cascade 라 한다.
Kemble's Cascade 는 희미해서 육안 관측은 어렵고, 쌍안경으로만 봐도 경외심을 불러 일으킬 정도라 한다.
지난 세기 천문학자 Lucian Kemble 에 의해 대중화된 Kemble's Cascade 는 별자리 (constellation)는 아니고 일종의 asterism (별들의 패턴)인데, 비슷한 밝기를 가진 20여개의 별들로 이루어졌지만 실상 이들 별들은 서로 관련이 없다.
한편, 사진의 상단 약간 왼쪽에 별들이 옹기 종기 모여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소형 산개 성단인 Jolly Roger 산개 성단 (NGC 1502) 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03.html 이곳에서...


2023년 1월 1일 일요일

The Largest Rock in our Solar System

 


The Largest Rock in our Solar System


- Image Credit : NASA, Voyager 1 spacecraft


이 사진은 워낙 유명한 사진이라 많은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1990년 보이저 1호가 촬영한 지구의 모습이다.
오른쪽 빛줄기에 아주 작고 희미한 점으로 보여지는 것이 지구인데, 여기서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암석이라는 표현으로 뭔가를 강조하고 싶었던 모양이다.
칼 세이건 박사의 제안으로 항해하고 있던 보이저 1호를 뒤돌아 촬영하게 했다는데, 멋진 아이디어였다고 생각한다.
암튼, 이 작은 행성을 이때 Pale Blue Dot 이라 불렀었고 이 명칭이 그후 유명해졌다.
우리는 이렇게 창백하고 푸른 작은 점에 살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101.html 이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