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월 30일 토요일

온두라스 엘 라우렐 (Honduras El Laurel) - 엘카페

 


온두라스 엘 라우렐
(Honduras El Laurel)

엘 카페 커피 로스터스
(El Cafe Coffee Roasters)


- 지역 : Danli, El Paraiso
- 농장 : El Laurel
- 농장주 : Oscar Ramirez
- 재배 고도 : 1400 m
- 품종 : Parainema
- 가공 방식 : washed

- tasting note : 사과, 자두, 아몬드

- Brewing guide : 하리오 V60 1~2인용 기준, 원두 20g, 물온도 92~95℃, 추출량 250~280ml


이번달 초에 주문해서 지난 주쯤 다 마신 엘카페의 원두인데, 지난번 호호커피집의 커피들과 겹치면서 꽤 오랫동안 마시게 된 커피다.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에 tasting note 가 마음에 들어 주문하게 되었는데, 무난하게 마시기 괜찮은 것 같다.
사실, 자두향을 즐기고 싶었는데, 생각보다 자두향은 느끼기 어려웠다. 
늘 그렇듯이 커피의 문제라기 보다는 나의 tasting 능력이 부족해서 그랬던 것 같다.

암튼, 원두를 분쇄하면서 느껴보니 역시나 고소함이 참 좋았다.
tasting note 에 아몬드가 있는데, 정말 견과의 고소함이 강하게 느껴진다. 이것만으로도 사람을 기분좋게 하는 부분이 있었다.
과일향으로는 사과와 자두 뉘앙스의 향들이 느껴지긴 하는데, 내게는 너무나 약하게 다가와서 사실 이걸 느꼈다고 말하기도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
그밖에 일반적으로 커피에서 자주 느껴지는 꽃이나 허브 같은 느낌들이 있었고, 밀크초콜렛 같은 단향이 가볍게 느껴졌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좀 향이 약하고 두루뭉실한 느낌이었다.
추출향 같은 경우도 분쇄향과 마찬가지로 매우 약하게 다가왔다.

한편, 마시면서 느껴지는 것들은 그럭저럭 괜찮았다.
마시자마자 과일의 상큼한 신맛이 느껴졌고, 견과류의 고소함이 강하게 다가왔는데, 과일의 신맛은 그 상큼함이 좀 빠르게 사라졌다.
그리고, 단맛은 의외로 복합적이어서 한마디로 표현하기 어려운데, 대충 표현하자면, 루이보스와 카라멜과 밀크초콜렛의 중간 어디쯤 되는 맛이랄까...
암튼, 내겐 그렇게 느껴졌다. 나는 만족스러운 단맛이었다.
또한, 다 마시고 난 후에도 견과류의 고소함이 오랫동안 남았고, 입안에서의 촉감은 부드럽고 꽉찬 느낌이었다.

전체적으로 향이 좀 약한게 아쉬웠는데, 마시면서 느껴지는 맛들이 어느 정도 보충해주는 것 같아 그냥저냥 먹을만한 커피 아니었나 싶다.
가벼운 마음으로 즐기면 좋을 것 같다.


2021년 1월 29일 금요일

North American Nightscape

 


North American Nightscape


- Composite Image Credit & Copyright : Liron Gertsman


지난 1월 21일 캐나다 밴쿠버 북쪽에 위치한 산봉우리 위에 펼쳐진 밤하늘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붉게 빛나고 있는 성운은 NGC 7000 과 IC 5070 이라는 두 발광 성운인데, 왼쪽이 NGC 7000 이고, 오른쪽이 IC 5070 이다.
성운의 모습이 각각 북미 대륙과 펠리컨을 닮았다 하여 NGC 7000 은 North America Nebula, IC 5070 은 Pelican Nebula 라 불리기도 한다.
지구에서의 거리가 약 1500 광년 정도인 이들 성운은 수소 원자 가스 때문에 이렇게 붉은 빛을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한편, 사진에서 성운들의 오른쪽에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이 백조 자리 (Cygnus)의 알파별인 Deneb 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129.html 이곳에서...

참고로, 사진은 링크된 사이트에 들어가 사진을 클릭해서 원본을 보시는걸 추천합니다.


2021년 1월 28일 목요일

Messier 66 Close Up

 


Messier 66 Close Up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 Processing & Copyright : Leo Shatz


약 35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나선 은하 M66 (NGC 3627)의 중심부 모습이다.
은하의 지름이 약 10만 광년 정도되는 M66 은 크기가 우리 은하와 비슷한데, 사진에 담긴 부분의 크기는 대략 30000 광년 정도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M66 의 모습을 보면 밝은 중심 핵이 보이고, 주변으로 어두운 먼지층이 휘감고 있으며, 파란빛의 젊은 성단들이 나선팔을 따라 점점이 흩어져 있고, 별 생성 영역은 분홍빛을 띄며 빛나고 있다.
또한, 은하의 중심에는 거대한 블랙홀이 자리잡고 있을 것이라 추정되고 있다.
전형적인 나선 은하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M66 은 3개의 은하가 서로 중력 상호작용하고 있는 Leo Triplet 에 속한 은하이며 그중 가장 밝은 은하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128.html 이곳에서...


2021년 1월 27일 수요일

호호커피집에서 또다시 멋진 커피를...

 


이번에도 호호커피집에서 또다시 커피를 보내왔다.
번번히 이렇게 선물을 받으니 고마우면서도 미안한 마음이다.
특히나 이번엔 니카라과 COE #2 커피까지 보내줘서 어떻게 고마움을 전해야할지 모르겠다.

좋은 사람들이 좋은 커피를 하는 곳이니 만큼 커피들은 다들 맛이 좋았다.
니카라과나 코스타리카나 모두 floral/fragrant 계열의 향들이 좋았는데, 다들 세련되고 깔끔한 느낌이었다.
니카라과 같은 경우는 그 향미가 마치 허브와 향신료 같은 뉘앙스였다면, 코스타리카는 꽃과 허브의 느낌이었다.
그렇다보니 니카라과는 때론 시나몬 같은 느낌도 있었고, 코스타리카는 카모마일 같은 뉘앙스도 있었다.
두 커피 모두 이러한 floral/fragrant 계열의 향이 지속력이 좋아서 마시고 난 뒤에도 계속 여운이 남았고, 코스타리카 같은 경우는 커피를 조금 진하게 추출하는게 이런 향미를 즐기기 더 좋았던 것 같다.

또한, 니카라과는 과일의 신맛이 조금 약한편이었고, 코스타리카는 강하진 않지만 적당히 느껴지는 정도였다.
특히 코스타리카의 과일맛은 어찌보면 prune 같은 느낌이기도 했으며, 입안에서의 느낌이 부드럽고 꽉찬 느낌이어서 좋았다.
오래전에 마셔봤던 니카라과 커피들은 보통 투박하고 평범한 느낌들이었는데, 이번에 접해본 니카라과는 정말 세련되고 깔끔한게 매력적이었다. 그리고, 품종이 maracaturra 여서 그런지 원두 크기가 굉장히 커서 인상적이었다.

한편, 호호커피집 블렌드 다크호스로 만든 드립백은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만든 제품이니만큼 마음도 아주 편안하게 아무런 긴장감없이 추출을 했는데, 추출하다가 느껴진 향 때문에 조금 놀랐었다.
물을 붓는 순간 어느 멋진 에스프레소에서나 느낄 수 있는 그런 향이 다가왔다.
마시면서, 계속, '아, 이거 참 잘 만들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3종류의 커피를 며칠동안 즐길 수 있어 참 좋았는데, 내가 요즘은 향미를 잘 느끼지 못하는게 좀 아쉬웠다. 아무래도 나이를 먹다보니 후각도 노화가 되고 있는게 아닌가 싶었다.
향미를 잘 느낄 수 있다면 좀더 다양하고 세밀한 표현들을 할 수 있을텐데 많이 아쉬웠다.

암튼, 다시한번 이렇게 좋은 커피들을 보내준 호호커피집에 감사를 표하고, 호호커피집이 늘 좋은 커피와 좋은 사람들로 아름다운 공간이길 바래본다.


2021년 1월 26일 화요일

Central NGC 1316 : After Galaxies Collide

 


Central NGC 1316 : After Galaxies Collide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 Processing & Copyright : Daniel Nobre


화학로 자리 (the Furnace, Fornax) 방향으로 약 60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은하 NGC 1316 의 모습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NGC 1316 의 모습은 여러 별들과 가스, 먼지 등이 뒤엉켜, 은하치고는 좀 이상하게 생긴 형태인데, 천문학자들이 연구한 바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나선 은하에서 볼 수 있는 먼지층을 갖고 있는 거대한 타원 은하라 한다.
NGC 1316 의 중심부를 자세히 관측한 결과, 거대한 shell 을 지니고 있고 은하 내부에 구상 성단은 별로 없는 상태인데, 이는 지난 수십억년에 걸쳐 다른 은하들과 충돌했거나 흡수했을 때 나타나는 형태라 추정하고 있는 모양이다.
사진에서 보면 여러 먼지층과 먼지 덩어리들이 보이는데, 이는 NGC 1316 과 충돌했거나 흡수된 은하들이 주로 나선 은하였기 때문이라 한다.
한편, NGC 1316 의 폭은 대략 5000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126.html 이곳에서...


2021년 1월 25일 월요일

Southern Cross over Chilean Volcano

 



Southern Cross over Chilean Volcano


- Image Credit & Copyright : Tomáš Slovinský


지난 달에 칠레에서 촬영된 밤하늘의 모습이다.
칠레의 활화산인 Villarrica 위에 남반구의 가장 유명한 별자리인 남십자성 (Southern Cross)과 Coalsack Nebula, 그리고 Carina Nebula 등이 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화산 분화구 바로 위에 주변보다 어둡게 보이는 것이 암흑 성운인 Coalsack Nebula 이고, 그 바로 왼쪽 옆에 십자가 형태를 이루고 있는 4개의 별이 남십자성이다.
그리고, 사진의 왼쪽 상단에 붉은 빛을 띄고 있는 성운이 Carina Nebula 이다.

북반구에서 Polaris 가 천구의 북극에 가장 가까운 별로서 역할을 하듯이, 남반구에서는 남십자성이 그 역할을 대신한다고 한다.
사실, 천구의 남극 근처에는 그리 밝은 별이 없어서 이렇게 남십자성이 그 역할을 대신하는 모양이다.
또한, 사진 속 남십자성에서 아래에 있는 붉은 별이 Gacrux 이고, 그 위로 가장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이 Acrux 인데, Gacrux에서 Acrux로 쭉 이어진 방향에 천구의 남극이 있다.
한편, 남십자성은 그보다 더 큰 별자리인 Crux constellation에 속하는데, 이곳에는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한 케페이드 변광성 (Cepheid variable stars)이 4개나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125.html 이곳에서...


2021년 1월 24일 일요일

Massive Nearby Spiral Galaxy NGC 2841

 


Massive Nearby Spiral Galaxy NGC 2841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Subaru; 
- Composition & Copyright : Roberto Colombari


큰곰 자리 (Ursa Major)에 위치하고 거리는 약 4600 광년 정도 되는 나선 은하 NGC 2841 의 모습이다.
은하의 지름이 대략 150000 광년 정도로 우리 은하보다 훨씬 큰 NGC 2841 은 그 중심에 노란빛의 핵을 뚜렷히 볼 수 있고, 푸른빛의 젊은 성단들과 분홍빛의 별 생성 영역, 그리고 어두운 먼지층 등이 나선팔에 위치하고 있는데, 다른 나선 은하들과 달리 NGC 2841 은 나선팔들이 아주 빽빽하게 자리잡고 있는 모습이다. 
한편,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과 지상의 스바루 망원경 (Subaru Telescope) 의 사진을 합성하여 얻은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124.html 이곳에서...

참고로, 이 포스팅은 2015년 4월 28일에 포스팅한 것과 동일한데, 내용을 너무 부실하게 적은 것 같아 다시한번 올려본다.


2021년 1월 23일 토요일

테라로사 로열 얼그레이 케이크

 


테라로사에서 파운드케이크를 판매하고 있길래 하나 구매해봤다.
내가 관심이 없어서 몰랐던건지, 아니면 이번에 새롭게 판매를 시작한건지 잘 모르겠지만, 암튼 하나 사먹어봤다.
커피는 자주 온라인 주문을 통해 즐기고 있지만, 빵은 좀처럼 그러지 않는데 이번에 한번 시도해봤다.

좋은 재료를 사용했다는 선입견 때문인지 아니면 정말 빵 맛이 좋아서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먹어보니 괜찮았다.
얼그레이 함량이 아주 적은데도 불구하고 향이 느껴졌고, 빵 전체에서 느껴지는 향 (아마도 버터향 아닌가 싶은데 잘 모르겠다.)이 은은하게 다가와서 좋았다.
빵 값이 좀 비싸고 빵을 잘랐을때 쉽게 부스러지는게 좀 아쉬웠지만, 한번쯤은 먹어볼 만한 것 같다.


2021년 1월 21일 목요일

M78 Wide Field

 


M78 Wide Field


- Image Credit & Copyright : Wes Higgins


오리온 자리의 오리온 벨트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성운 M78 과 그 주변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사진의 중심에 푸른 빛을 띄고 있는 것이 반사 성운 M78 이고, 그 바로 왼쪽 옆에 있는 것은 또다른 반사 성운인 NGC 2071 이다.
지구에서의 거리가 약 1500 광년이고, 그 폭이 5 광년 정도인 M78 은 주변 먼지들이 젊은 별에서 나오는 파란 빛을 우선적으로 반사해서 이렇게 푸른 빛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한다.
또한, 오른쪽 옆에 어두운 먼지층 내부에는 새로운 별들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제트를 방출하고 있는 Herbig-Haro objects 들이 자리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121.html 이곳에서...


2021년 1월 18일 월요일

눈이 참 많이 왔다. 온 세상 하얗게...

 


눈이 참 많이 왔다.
아침에 창 밖을 내다보니 이렇게 많은 눈이 쌓여 있었다.
온 세상이 하얀 것이 약간 비현실적으로 다가오기도 하고...
암튼, 보기엔 좋았다.
삶은 비록 고단하지만, 잠시나마 그걸 잊을 수 있어 좋았다.


The Medulla Nebula Supernova Remnant

 


The Medulla Nebula Supernova Remnant


- Image Credit & Copyright : Russell Croman


약 10000년쯤 전에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 자리에 있는 별 하나가 초신성 폭발을 일으켜 가스가 팽창하고 있는 형태의 잔해가 남았는데, 이것이 사진에서 보여지는 성운 CTB-1 이다.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별은 그 중심핵에서 원소들을 소진하고 핵융합과 함께 압력을 안정화시켰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뇌를 닮았다 하여 Medulla Nebula 라는 별칭을 갖게된 이 성운은 성간 가스와의 충돌로 인해 열이 발생해 가시광선 영역에서 여전히 밝게 빛나고 있으며, 또한 X-ray 영역에서도 빛을 내고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지만, pulsar 가 그 원인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Pulsar 는 초신성 폭발 당시 100km/s 의 속도로 방출되었던 전파에 의해 최근 발견되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118.html 이곳에서...


2021년 1월 17일 일요일

Jets from Unusual Galaxy Centaurus A

 


Jets from Unusual Galaxy Centaurus A


- Image Credit : ESO/WFI (visible); MPIfR/ESO/APEX/A. Weiss et al. (microwave); NASA/CXC/CfA/R. Kraft et al. (X-ray)


은하 Centaurus A 에서 길이가 백만 광년 이상 되는 거대한 제트 (jets)가 방출된 모양이다.
플라즈마 상태의 이 제트는 은하 중심에 있는 블랙홀에 의해 내뿜어졌는데 은하 전체를 밝혀주고 있다고 한다.
중심의 블랙홀이 물질들을 어떻게 내보내고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제트가 거대한 전파 버블 (radio bubble)을 만들고 수백만년 동안 빛나게 했던 모양이다.
또한, 만약 근처를 지나는 가스 구름에 의해 전파 버블이 활성화된다면 아마도 수십억년 후 까지도 빛을 낼 수 있다고 한다.
한편, 사진에서 X-ray 는 파란색으로, microwave 는 오렌지 색으로 보여지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117.html 이곳에서...


2021년 1월 16일 토요일

The Mountains of NGC 2174

 


The Mountains of NGC 2174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오리온 자리 방향으로 약 64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NGC 2174 의 모습이다.
사실, 이 사진은 2014년 4월 3일에 포스팅한 사진인데, 찾아보니 설명을 너무 간단히 적어놔서 다시한번 올리게 되었다.
이 사진은 2014년 허블우주망원경이 NGC 2174 의 경계 부분을 적외선 촬영한 사진인데,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구름들이 마치 거대한 산처럼 보여지고 있다.
NGC 2174 의 중심부에 위치한 산개 성단에서 새롭게 태어난 별들이 항성풍과 복사에너지 등을 방출하는데 이런 항성풍과 복사에너지가 우주 구름들을 이런 모습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참고로 이 사진의 폭이 약 6 광년 정도이다.
한편, 올해 발사가 계획된 James Webb Space Telescope 이 적외선 영역에서 우주를 관측하는데 최적화된 망원경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116.html 이곳에서...


2021년 1월 14일 목요일

Aurora Slathers Up the Sky

 


Aurora Slathers Up the Sky


- Image Credit : Jack Fischer, Expedition 52, NASA


2017년 6월 25일, 국제우주정거장 (ISS)에서 촬영된 오로라의 모습이다.
오로라의 색은 들뜬 상태의 분자와 원자에 의해 결정되는데, 산소 원자의 경우는 주로 녹색과 붉은색을 보여준다고 한다.
한편, 이 사진은 국제우주정거장이 호주 남동부를 지날때 촬영되었으며, 오른쪽 지평선 바로 위에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이 큰개 자리 (Canis Major)의 알파 별인 시리우스 (Sirius) 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114.html 이곳에서...


2021년 1월 8일 금요일

NGC 1365 : Majestic Island Universe

 


NGC 1365 : Majestic Island Universe


- Image Credit & Copyright : Mike Selby, Leonardo Orazi


화학로 자리 (Fornax) 방향으로 약 60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막대 나선 은하 NGC 1365 의 모습이다.
그 폭이 200,000 광년이나 되는 거대한 은하인 NGC 1365 는 Fornax 은하단 내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은하이며, 사진에서 보듯이 은하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막대가 있다.
나선팔과 막대 끝부분에 보여지는 분홍 빛을 띄는 부분은 별들이 만들어지는 곳이고, 중심을 가로지르는 막대를 따라 어두운 먼지층이 자리잡고 있으며, 은하의 중심에는 거대한 블랙홀이 위치하고 있다.
한편, 천문학자들은 NGC 1365 의 중심 막대가 가스와 먼지들을 별 생성 영역으로 흘러가게 하고, 은하의 물질들이 중심에 있는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게 하는 등, 은하의 진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108.html 이곳에서...


2021년 1월 5일 화요일

The Small Cloud of Magellan

 


The Small Cloud of Magellan


- Image Credit & Copyright : José Mtanous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인 소마젤란운 (The Small Cloud of Magellan)을 촬영한 사진이다.
큰부리새 자리 (Tucana, the Toucan) 방향으로 약 2100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소마젤란운은 그 폭이 15000 광년 정도이며 수억개의 별을 품고 있는 은하인데, 대마젤란운과 Sagittarius Dwarf galaxy 를 포함한 우리 은하의 다른 여러 위성 은하들보다 좀더 멀리 있다. 
서양에서는 오랫동안 '마젤란의 구름'으로 알려져 온 소마젤란운이 왜소 불규칙 은하라는게 밝혀진 것이 겨우 100년 안팎이라 한다.
한편, 사진에서 오른쪽에 위치한 구상 성단은 47 Tucanae 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105.html 이곳에서...


2021년 1월 1일 금요일

...


오늘 택배가 3개나 왔다.
오전 10시 좀 넘어서 우체국 택배가 오더니 그 뒤로 2개나 더 왔다.
근데, 택배를 받으면서 내 머리속에 제일 먼저 떠오른 생각은, 어떤 물건이 온 것일까가 아니라 도대체 오늘같이 새해 첫날 1월 1일에 왜 택배는 쉬지 않는걸까 였다.
택배가 어떤 긴급, 보안, 생명, 안전 등과 관련된 일도 아닌데, 왜 휴일에 쉬지 못하는 걸까 ?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일이고, 그들도 사람인데, 남들 쉴때 택배도 좀 쉬면 안되나 ? 
좀 같이 삽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