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1월 30일 목요일

LG 모니터...

 


모니터 새로 샀다.
일반 보급형이고 24인치 모니터다.
무게가 생각보다 가벼워서 조금 놀랐다.
오랫동안 모니터를 사본 적이 없어서 몰랐는데, 이렇게 가벼울거라 생각 못했다.
전체적인 만듦새에 별 문제는 없어 보였지만, 조금은 장난감 같은 느낌도 있었다. 조금 조잡한 느낌이랄까...

설치하고 켜보니 기본적인 셋팅은 되어 있는 상태였고, 일단 주파수부터 바꿔봤다.
기본 60hz 로 되어 있는걸 74.973hz 로 바꿨다.
예전 기억으로는 주파수를 바꾸면 해상도도 바뀌었던 것 같은데, 이번에는 그렇지 않고 권장 해상도인 1920*1080 이 유지되었다.
그냥 이렇게 놓고 사용하면 될 것 같다.
화면은 흰색으로 놨을 때 조금 밝은 느낌이 들었는데, 이 부분은 좀더 사용해보고 밝기를 조절할 예정이다.
밝기는 100 으로 셋팅되어 있는데, 사용해보고 눈이 많이 피로하다 싶으면 줄일 생각이다.
색감은 그만그만하다.
그래픽 작업을 할 것이 아니라면 이 정도도 충분한 것 같다.

모니터 전원과 이런 저런 셋팅을 모니터 중앙 아래에 있는 작은 조이스틱으로 조절하는데, 이 부분이 조금 조잡하다.
다른 모니터들도 다 이런 방식인지 모르겠지만, 난 장난감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런데, 가격이 저렴한 것 생각하면 그럴만하다 설득이 되기도 한다.
암튼, 전에 사용했던 모니터처럼 15년 이상까진 아니더라도 고장 안나고 좀 오랫동안 썼으면 좋겠다.


2023년 11월 27일 월요일

LBN 86 : The Eagle Ray Nebula

 


LBN 86 : The Eagle Ray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Vikas Chander


칠레에서 촬영된 암흑 성운 Eagle Ray Nebula 의 모습이다.
공식적으로 SH2-63 과 LBN 86 으로 등록되어 있는 Eagle Ray Nebula 는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모습이 마치 매가오리 (매가오릿과 물고기의 총칭)를 닮았다 하여 "Eagle Ray"라는 이름이 붙은 모양이다.
우주의 바다를 미끄러져 나가고 있는 바다 물고기를 닮은 Eagle Ray Nebula 는 그 뒤에서 비춰지고 있는 가시광선을 차단하고 붉게 만들어서 연한 갈색으로 보여지고 있다.
암흑 성운들은 주로 적외선에서 빛을 내지만, 주변에 있는 별들에서 나오고 있는 가시 광선을 반사하기도 한다.
또한, 암흑 성운의 먼지는 보통 1mm 미만의 탄소, 규소, 산소 덩어리들이며 얼어붙은 일산화탄소와 질소로 코팅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암흑 성운을 분자 구름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수소 분자와 더 큰 분자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Eagle Ray Nebula 가 예전에는 이름이 없었고 일반적으로 아주 희미하지만 이 사진은 칠레에서 20여 시간 동안 선명하게 촬영된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27.html 이곳에서...


2023년 11월 26일 일요일

A Dust Jet from the Surface of Comet 67P

 


A Dust Jet from the Surface of Comet 67P


- Image Credit : ESA, Rosetta, MPS, OSIRIS; UPD/LAM/IAA/SSO/INTA/UPM/DASP/IDA


2016년 ESA (European Space Agency)의 혜성 탐사선인 로제타 탐사선 (Rosetta spacecraft)이 혜성 67P/Churyumov-Gerasimenko 에서 분출되고 있는 제트 (jet)를 촬영한 사진이다.
한쪽이 10m 높이의 벽으로 둘러싸인 작은 원형 구덩이에서 분출되는 한 줄기 제트를 촬영하였는데, 분석 결과 이 제트는 먼지와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한다.
이를 통해 울퉁불퉁하지만 평범한 지형의 다공성 표면 내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한편, 이 사진은 로제타 탐사선이 혜성 표면에 충돌하면서 그 임무를 끝내기 두 달 전쯤 촬영된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26.html 이곳에서...


2023년 11월 25일 토요일

모니터...


모니터가 고장났다.
전부터 조금씩 이상한 증상이 나타나긴 했었지만 그래도 어찌어찌 사용해왔는데, 며칠전에 화면이 전혀 나오지 않는 증상이 있었다.
혹시 케이블을 바꿔주면 괜찮을까 싶어 바꿔봤더니 정말 다시 살아났었다.
케이블 문제였나보다 생각하고 사용한지 오늘이 이틀째인데, 다시 고장났다.
화면이 나오다 안나오다 그런다.
결국 케이블 문제는 아니었던 모양이다.
하긴, 2007년에 구매한 모니터이니 오래 쓰긴 했다.
지금은 지인이 주고 간 임시 모니터로 작업하고 있는데, 이것도 워낙 오래된 것이라 색 표현이 많이 안좋다.
결국 하나 새로 사야할 것 같다.
전에는 어떤 모니터를 살까 고민을 많이 했었는데, 지금은 그냥 LG 제품 중 저렴한 걸로 살까 생각중이다.
모니터 사양으로 고민해봐야 좋은 것 따지기 시작하면 한도 끝도 없는 것 같고, 거기에 비용까지 생각하면서 모니터를 선택하려면 머리만 아프다.
전에 쓰던 모니터는 중소기업 제품이었는데, 서비스 받는 것이 많이 불편했다.
요즘은 대기업 제품도 24인치 정도는 그리 비싸지 않아서 괜찮은 것 같다.
물론, 사양은 좀 떨어지지만 어차피 내가 게임을 하거나 그래픽 작업을 하는 것도 아니어서 별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다.
다음 주 중에 살 예정인데, 일단은 매장부터 가보고 인터넷 가격과 비교해서 살 생각이다.


2023년 11월 24일 금요일

케냐 기차타이니 AA 워시드 (Kenya Gichathaini AA washed) - 더 반 커피

 


케냐 기차타이니 AA 워시드
(Kenya Gichathaini AA washed)

더 반 커피
(The Barn Coffee)


- Origin : Kenya Nyeri
- 생산자 (Producer) : Multiple farmers
- 재배 고도 (Altitude) : 1600 ~ 1700 m
- 품종 (Varietal) : SL28, SL34, Ruiru11 and Batian
- 가공 방식 (Process) : washed

- Cup note : Earl Grey, Blackcurrent, Complex


이번 커피는 더 반 커피의 케냐이다.
케냐는 어지간해서는 만족스러웠기 때문에 큰 고민 하지 않고 구매했다.
다만 대표적인 향미가 얼그레이여서 혹시나 차의 느낌의 강하면 어쩌나 걱정했었는데 쓸데없는 고민이었다.
얼그레이 향미가 느껴지지 않았다는 것이 아니라 그 향미가 매력적으로 느껴졌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분쇄에서부터 추출까지 향은 좀 약한 편이었다.
내가 커핑 능력이 좋지 않아서 그렇겠지만, 어떤 향도 강하게 느껴지지 않았다.
얼그레이 향도 약하게 느껴졌고, 고소함이나 단향도 개성없이 약한 편이었다.
추출 향에서는 약간의 과일 향도 있었지만, 역시나 약했고 어떤 과일인지 알 수 없었다.

하지만, 마시면서 느껴지는 얼그레이는 참 매력적이었다.
역시나 아주 강했던 건 아니지만, 그래고 은은하고 향긋한 느낌이 참 좋았다.
고소함도 일반적이지만 괜찮았고, 단맛도 적당히 좋았다. 
강하진 않았지만 과일의 상큼함도 느낄 수 있었다.
얼그레이 향미는 다 마시고 난 후까지도 여운이 남아서 좋았고, 더불어 단맛의 여운도 좋았다.
입안에서의 촉감은 부드러운 편이었다.
추출을 투과 위주로 좀 진하게 하면 입안에서 좀더 꽉차게 느낄 수는 있지만 대신 맛이 좀 거칠게 나와서 그다지 추천하고 싶진 않다.
그냥 물줄기를 적당히 굵게 해서 추출해야 모든 향미를 함께 느끼면서도 거부감이 없었고 조화도 좋았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얼그레이 향미가 기억 속의 전형적인 얼그레이로 느껴질 때도 있었고, 조금 다르게 과일인지 허브인지 모를 향긋한 향으로 느껴질 때도 있었다는 점이다.
뭐 어떻게 느껴지든 은은하게 다가오는 얼그레이의 매력은 마찬가지지만 재밌는 경험이었다.
또한, 초반에 느껴지는 얼그레이와 뒤에 느껴지는 단맛이 서로 잘 어우러져서 마시는 내내, 그리고 다 마시고 난 후까지도 느낌이 참 좋았다.


2023년 11월 23일 목요일

Along the Taurus Molecular Cloud

 


Along the Taurus Molecular Cloud


- Image Credit & Copyright : Yuexiao Shen, Joe Hua


우리 태양계가 속한 local bubble (아래 사진 참고) 의 안쪽 벽 근처에 위치한 황소 자리 분자 구름 (Taurus Molecular Cloud)을 따라 펼쳐져 있는 암흑 성운과 먼지, 발광 성운 등을 보여주고 있는 사진이다.
이곳은 밤하늘에서 밝은 별 Aldebaran 북쪽에 있는 영역인데, 사진의 왼쪽 아래에 어린 별이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발광 성운 Sh2-239 가 위치하고 있으며, 새로 태어나는 별과 관련이 있는 Herbig-Haro objects 는 수소 가스의 붉은 제트로 보여지고 있다.
또한, 사진의 오른쪽 상단에는 T Tauri 변광성 부류의 원형격인 T Tauri 와 그 옆의 노란색을 띄고 있는 변광 성운인 Hind's Variable Nebula (NGC 1555) 가 위치하고 있다.
T Tauri 변광성들은 일반적으로 수백만 년도 안된 젊은 별들이며 아직 형성 초기 단계에 있는 태양과 같은 별로 인식되고 있다.

참고로, Herbig Haro objects 는 새로 태어나는 별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제트가 주변 가스와 먼지 구름 등을 충돌, 가열하여 성운 모양으로 빛나는 천체를 말한다.


local bubble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23.html 이곳에서...

* local bubble 사진 출처 ; https://skyandtelescope.org/astronomy-news/1000-light-year-bubble-is-the-source-of-all-nearby-baby-stars/?utm_source=cc&utm_medium=newsletter


2023년 11월 22일 수요일

IC 342 : Hidden Galaxy in Camelopardalis

 


IC 342 : Hidden Galaxy in Camelopardalis


- Image Credit & Copyright : Steve Cannistra


기린 자리 (Camelopardalis) 방향으로 약 1000 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IC 342 를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는 선명하게 보이지만, 실은 우리 은하면을 따라 있는 별과 가스와 먼지 구름 등에 의해 가려져 관측이 어려운 은하이다.
IC 342 가 비록 우주 구름 때문에 희미하고 붉게 보이지만, 이 사진에서는 나선팔을 따라 펼쳐져 있는 어두운 먼지층과 젊은 성단, 빛나는 별 생성 영역 등을 볼 수 있다.
또한, IC 342 는 최근에 폭발적으로 많은 별 생성이 있었으며, 우리 은하와 우리 은하가 속한 국부 은하군의 진화에 중력적으로 영향을 줄 만큼 충분히 가까운 거리에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22.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2년 2월 11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645218435


2023년 11월 21일 화요일

Fleming's Triangular Wisp

 


Fleming's Triangular Wisp


- Image Credit & Copyright : Cristiano Gualco


혼란스럽고 복잡하게 얽혀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 필라멘트는 백조 자리 (Cygnus) 방향으로 약 2400 광년 거리에 있는 Veil Nebula 의 일부로, Fleming's Triangular Wisp 라 한다.
Veil Nebula 자체는 커다란 초신성 폭발의 잔해이며 거대 항성이 폭발로 인해 종말을 맞으면서 만들어진 팽창하는 구름이다.
또한, Veil Nebula 를 만든 초신성 폭발의 빛은 5000여년 전에 지구에 도달했을 것으로 보인다.
Cygnus Loop 으로도 알려져 있고 NGC 6979 로 등록되어 있는 Veil Nebula 는 밤하늘에서의 폭이 보름달의 6배나 되고, 필라멘트 다발의 길이는 약 30 광년이나 된다.
사진 속 필라멘트들이 옆으로 보여지는 기다란 잔물결처럼 생겼는데, 붉은 색으로 보이는 이온화된 수소 원자의 빛과 푸른색으로 보이는 산소의 빛이 잘 분리되어 있다.
한편, 이 필라멘트들이 예전에는 하버드 대학 천문대 (Harvard College Observatory) 소장의 이름을 따서 Pickering's Triangle 라 했었는데, 지금은 필라멘트를 발견한 천문학자 Williamina Fleming 의 이름을 따서 Fleming's Triangular Wisp 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21.html 이곳에서...


2023년 11월 19일 일요일

Space Station, Solar Prominences, Sun

 


Space Station, Solar Prominences, Sun


- Image Credit & Copyright : Mehmet Ergün


이 사진은 지난 2021년 국제 우주 정거장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이 태양을 가로질러 가는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한 장의 사진은 아니고 같은 장소에서 거의 동시에 촬영한 세 장의 사진을 합성하여 만든 것인데, 하나는 과다노출을 통해 태양의 꼭대기에서 볼 수 있는 희미한 홍염을 촬영하였고, 두 번째 사진은 적은 노출을 통해 태양 주위의 가스층인 채층을 촬영한 것이며, 세 번째 사진은 국제 우주 정거장이 불과 1초도 안되는 시간에 태양을 가로질러 가는 것을 포착한 것인데 이것이 세 장의 사진 중에 촬영이 가장 어려운 것이었다.
국제 우주 정거장이 태양을 지나는 것이 특별한 일은 아니지만, 이런 사진을 얻기 위해 위치와 시기, 그리고 장비까지 정확히 하는 것은 흔치않은 일이라 한다.
한편, 국제 우주 정거장은 약 90분 마다 지구 주위를 공전하고 있고 인류가 지금까지 만든 것 중 가장 복잡하고 가장 큰 우주선 중 하나이며, 사진에서 국제 우주 정거장을 자세히 보면 도킹된 Dragon Crew capsule 도 볼 수 있는데, 사진 오른쪽 상단에 삽입된 작은 이미지를 보면 보다 뚜렷히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19.html 이곳에서...


2023년 11월 18일 토요일

Passenger | All The Little Lights (Official Tour Video)


All The Little Lights

Passenger


예전에 이웃이신 푸른나비 님 블로그 에서 봤던 영상이다.
음악이 좋아 올려본다.​

푸른나비 님 블로그 (https://blog.naver.com/armdri0505/223241334013)


...


꿈에라도 나와줘서 고맙구나.
그곳에서는 아프지 말고 편안했으면 좋겠다.


2023년 11월 17일 금요일

Nightlights in Qeqertaq

 


Nightlights in Qeqertaq


- Image Credit & Copyright : Dennis Lehtonen


11월 6일, 그린란드 (Greenland) 서부의 외딴 해안 마을인 Qeqertaq 에서 촬영된 오로라의 모습이다.
Qeqertaq 는 2020년 기준 인구가 114명 밖에 안되는 작은 마을이며 빛 공해가 별로 없는 곳인데, 최근 강력한 지자기 폭풍으로 인해 이처럼 아름다운 북극광 (aurora borealis, northern lights)이 북극권에 펼쳐졌다.
북위 70도에서 극야 (polar night)가 오기 몇주 전에 이와같이 멋진 북극광이 펼쳐지면서 Disko Bay 의 바닷물에도 반사된 모습인데, 바다 위에는 홀로 떠있는 빙산이 해안 조명을 받아 빛나고 있다.
참고로, 극야 (polar night)는 북극권 또는 남극권 내에서 지평선 위로 태양이 전혀 보이지 않는 기간을 말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17.html 이곳에서...


2023년 11월 15일 수요일

...


파쇼 또는 파시즘에 대해서는 한마디도 못하면서 저항하는 자들의 실수에 대해서는 왜 그렇게 발작적 반응을 보이는 건가 ? 
그것이 정의이고 공정인가 ?


2023년 11월 14일 화요일

...


지금도 뉴스를 거의 안보고 있지만, 앞으로는 더 볼 일이 없겠구나.


Three Planets Rock

 



Three Planets Rock


- Image Credit & Copyright : Giovanni Passalacqua; 
- Text : Liz Coelho (Pikes Peak)


이 사진은 2022년 4월 27일, 시칠리아 (Sicily) 남쪽 끝에 있는 바위섬과 그 위에 떠있는 목성, 금성, 그리고 달을 촬영한 사진이다.
가장 왼쪽이 목성이고 가운데가 금성이며, 달은 초승달 모양이지만 달 전체가 대부분 보이는 상태인데 이는 earthshine (지구의 반사광) 때문이다.
또한, 목성과 금성은 곧 서로 만나게 될 예정이었는데, 이처럼 목성과 금성의 만남은 1년에 한번 정도 발생하며, 해 뜨기 전 동쪽이나 해가 진 후 서쪽에서 볼 수 있다.
한편, 이 사진은 해 뜨기 한 시간 전에 촬영되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14.html 이곳에서...


2023년 11월 12일 일요일

엘살바도르 산타 로사 파카마라 (El Salvador Santa Rosa Pacamara) - 커피 리브레

 


엘살바도르 산타 로사 파카마라
(El Salvador Santa Rosa Pacamara)

커피 리브레
(Coffee Libre)


- 농장명 : 산타 로사 (Santa Rosa)
- 농장주 : 호르헤 라울 리베라 (Jorge Raul Rivera)
- 지역 : 찰라테낭고, 산 이그나시오 (San Ignacio, Chalatenango)
- 재배 고도 : 1700 m
- 품종 : 파카마라 (Pacamara)
- 가공 방식 : washed

- tasting note : floral, 복숭아, 라즈베리, 꿀


어쩌다보니 이번에도 커피 리브레에서 원두를 주문했다.
예전에 먹어봤던 엘살바도르 산타 로사 파카마라인데, 예전 기억이 좋아 다시 주문해봤다.
먹어보니 역시나 멋진 커피였다.
분쇄할 때부터 다 마시고 난 후까지 이어지는 라즈베리 향미가 정말 멋졌다.
향은 다소 약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마시면서 느껴지는 향미가 일품이다.
라즈베리 맛이 단편적으로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뭔가 복합적이고 세련되게 느껴지는데, 견과 같은 고소함과 어우러져 아주 우아하게 다가왔다.
라즈베리 뿐만 아니라 고소함과 단맛도 좋았는데, 특히 견과의 고소함이 기분좋게 느껴졌다.
조금 진하게 내리면 라즈베리를 비롯한 과일맛이 좀더 상큼하게 다가와 좋았다.
특히 라즈베리 향미는 다 마시고 난 후에도 여운이 길고 멋졌으며, 고소함과 단맛 등과 함께 깔끔하게 마무리되는 느낌이었다.
또한, 입안에서의 촉감도 좋아서 부드러우면서도 묵직하게 꽉찬듯한 느낌이었다.
물론, 테이스팅 노트에 적혀있는 다른 향미들을 느끼지 못해서 아쉽긴 했지만, 느껴진 것만으로도 추천할만한 커피였다.
종합해보자면, 전체적으로 라즈베리의 과일맛과 견과의 고소함, 단맛 등이 서로 잘 어울려 아주 우아한 느낌을 만들어내는 커피였다.


2023년 11월 11일 토요일

...


오후 햇볕이 참 좋다.
날은 추워도 햇빛이 주는 포근함이 있다.
이 햇빛이 마음 속까지 비춰줬으면 좋겠는데, 그게 잘 되지는 않는다.


The SAR and the Milky Way

 


The SAR and the Milky Way


- Image Credit & Copyright : Julien Looten


11월 5일 프랑스 북부에서 촬영된 붉은 빛의 오로라 모습이다.
이런 붉은 빛의 오로라를 Stable Auroral Red (SAR) arc 라 하는데, 이와같은 희귀한 현상은 강력한 지자기 폭풍이 일어나는 동안 보다 역동적인 오로라와 함께 전세계에서 비정상적으로 낮은 위도에서도 발견되었다.
일반적인 오로라 보다 훨씬 더 높은 고도에서 발생하는 SAR 의 진한 붉은색 발광 (emission) 현상은 지구 내부 자기권에서 흐르는 전류에 의한 강한 가열로 인해 발생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11.html 이곳에서...


2023년 11월 10일 금요일

UHZ1 : Distant Galaxy and Black Hole

 


UHZ1 : Distant Galaxy and Black Hole


- Image Credit : X-ray : NASA/CXC/SAO/Ákos Bogdán; Infrared : NASA/ESA/CSA/STScI;
- Image Processing : NASA/CXC/SAO/L. Frattare & K. Arcand


찬드라 망원경 (Chandra X-ray Observatory)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James Webb Space Telescope)을 이용하여 무려 132억 광년이나 떨어져 있는 은하 UHZ1 과 그 블랙홀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 왼쪽 상단에 삽입된 두 이미지를 통해 블랙홀을 볼 수 있는데, 이 관측을 위해 중력렌즈 효과를 이용했다.
중력렌즈 효과에 이용된 천체는 조각실 자리 (Sculptor) 방향으로 약 35억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단 Abell 2744 이다.
Abell 2744 는 판도라 은하단 (Pandora's Cluster)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암흑 물질이 주도하고 있는 거대한 은하단이다.
은하단의 엄청난 질량을 이용해 시공간을 휘어지게하여 뒤에 더 멀리 있는 천체들을 확대하는 것이 중력렌즈 효과인데, 이렇게 발견한 은하가 Z=10.1 의 적색편이를 보여주는 UHZ1 이다.
UHZ1 까지의 거리가 132억 광년인데, 이는 우주가 현재 나이의 3%에 불과했을 때의 모습이다.
왼쪽 상단 상자속 이미지에서 찬드라 망원경이 관측한 X-ray 데이터는 보라색으로 보여지고 있고,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적외선 촬영을 하였다.
그리고, UHZ1 에서의 X-ray 방출은 매우 높은 적색편이 은하의 중심에 초거대 블랙홀이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라 한다.
이 관측을 통해, UHZ1 의 블랙홀은 X-rays 으로 관측된 블랙홀 중에 가장 먼 블랙홀이 되었고, 우주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진 초거대 블랙홀이 어떻게, 언제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힌트를 제공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10.html 이곳에서...


2023년 11월 9일 목요일

M1 : The Crab Nebula

 


M1 : The Crab Nebula


- Image Credit : NASA, ESA, CSA, STScI; Tea Temim (Princeton University)


황소 자리 (Taurus) 방향으로 약 6500 광년 거리에 있는 게 성운 (Crab Nebula)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James Webb Space Telescope)이 촬영한 사진이다.
게 성운은 혜성을 제외한 18세기 천체 목록을 만든 Charles Messier 목록에서 첫번째로 등록되어 있는 성운이며 M1 으로 알려져 있다.
게 성운은 거대 항성의 초신성 폭발로 인해 남게된 초신성 잔해인데, 이 초신성 폭발이 1054년에 관측되었다.
이 사진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실린 NIRCam (Near-Infrared Camera) 과 MIRI (Mid-Infrared Instrument)에 의해 촬영되었으며, 이를 통해 적외선 영역에서 여전히 팽창하고 있는 성간 잔해 구름의 으스스한 빛과 파편화된 가닥들을 연구한다.
또한, 현대 천문학자들에게 가장 이국적인 천체 중 하나로 알려진 Crab Pulsar 는 초당 30회 회전하고 있는 중성자별인데, 성운의 중심부 근처에서 밝은 점으로 보인다.
이렇게 붕괴된 별의 핵 잔해가 마치 우주 발전기처럼 전자기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성운의 발광 (emission)을 강화시키고 있다.
한편, 게 성운의 폭은 약 12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09.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1년 12월 24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거의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603946733


2023년 11월 8일 수요일

Perseus Galaxy Cluster from Euclid

 


Perseus Galaxy Cluster from Euclid


- Image Credit & License : ESA, Euclid, Euclid Consortium, NASA; 
- Processing : Jean-Charles Cuillandre (CEA Paris-Saclay) & Giovanni Anselmi;
- Text : Jean-Charles Cuillandre


ESA (European Space Agency)의 새로운 우주 망원경인 Euclid 가 촬영한 페르세우스 은하단 (Perseus Galaxy Cluster)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Euclid 는 두 대의 거대한 파노라마 카메라를 장착하고 있으며, 가시광선부터 근적외선까지의 빛을 포착한다.
Euclid 는 지름 1.2m 의 거울을 이용하여 2억 5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페르세우스 은하단에 있는 1000개가 넘는 은하들을 관측하는데 5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사진의 배경에서 보여지는 은하들이 100000 개 이상이며, 그 중 일부는 100억 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Euclid 의 혁신적인 특성은 넓은 시야 (보름달의 두 배)와 높은 각 해상도 (620 Megapixel camera), 그리고 적외선 관측 등의 조합에 있는데, 이를 통해 이미지와 스펙트럼 모두를 담아낼 수 있다.
하늘의 1/3 을 관측하고 20억개 이상의 은하들을 기록하는 Euclid 의 초기 탐사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등이 우리 우주를 어떻게 만들었는지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08.html 이곳에서...


2023년 11월 6일 월요일

Red Aurora over Italy

 


Red Aurora over Italy


- Image Credit & Copyright : Giorgia Hofer


은하수와 붉은 빛의 오로라를 담고 있는 이 사진은 놀랍게도 이탈리아에서 촬영된 것이다.
요즘 태양이 비정상적으로 활동적이어서 며칠 전에 표면 폭발을 일으키며 전자와 양성자, 그리고 질량이 더 큰 하전 핵을 쏟아냈는데, 이와 같은 코로나 질량 방출 (coronal mass ejection (CME))로 인해 북반구에서 상대적으로 위도가 낮은 남쪽의 이탈리아에서도 이렇게 오로라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이탈리아에서의 오로라 촬영은 이번이 처음이며, 아래 보이는 마을은 이탈리아 알프스에 있는 Comelico Superiore 이고, 같은 장소에서 같은 카메라로 연속 촬영하여 전경과 배경을 합성하여 이 사진을 만들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06.html 이곳에서...


2023년 11월 5일 일요일

...


늦가을 비 치고는 제법 많이 왔다.
뭐 그렇다고 여름비 같진 않고...
어둠과 함께 온 빗줄기가 늦가을의 스산함을 더한다.


...


음악이나 책이나, 또는 영화나,
요즘은 뭐하나 집중하는 게 잘 안된다.
책을 펴도 눈에 들어오지 않고 심란함에 자꾸 먼 곳만 바라본다.

이 간병 생활의 끝이 어떻게 될지 마음만 자꾸 흔들린다.
아니, 어떻게 될지 어느정도 알고 있어서 더 그런 것 같다.

책이나 음악이 흔들리는 마음을 잡아줄 수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날이 갈수록 헛될 뿐이다.


2023년 11월 4일 토요일

Dinkinesh Moonrise

 


Dinkinesh Moonrise


- Image Credit : NASA/Goddard, SwRI, Johns Hopkins APL, NOIRLab


지난 수요일, 소행성 탐사선인 루시 탐사선 (Lucy spacecraft)이 첫 소행성을 마주쳤는데, 이 소행성은 내부 소행성대에 속한 152830 Dinkinesh 이다.
4.5 km/s (약 10000 mile/h)의 속도로 근접 비행하면서 루시 탐사선의 Long-Range Reconnaissance Imager 가 400 km 가 조금 넘는 거리에서 이 소행성을 포착했다.
경이로운 세계인 Dinkinesh 자체는 아주 작아서 가장 넓은 곳이 800 m (약 0.5 miles) 도 안되며, Dinkinesh 의 작은 위성은 탐사선이 봤을 때 Dinkinesh 의 뒤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보였는데, 이 작은 위성은 폭이 220 m 정도 밖에 안되는 크기였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04.html 이곳에서...


2023년 11월 2일 목요일

The Fornax Cluster of Galaxies

 


The Fornax Cluster of Galaxies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celo Rivera


약 62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화학로 자리 은하단 (Fornax Cluster of Galaxies)을 촬영한 사진이다.
화학로 자리 은하단은 가장 가까운 은하단 중 하나이지만, 그래도 우리 이웃 은하인 안드로메다 은하보다 20배 이상 더 멀리 있으며, 더 유명하고 속해있는 은하들 수도 더 많은 처녀자리 은하단 (Virgo Galaxy Cluster) 보다도 10% 정도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거의 대부분의 노란 반점들이 화학로 자리 은하단에 속한 타원 은하들이며, 사진 아래 쪽 중앙에 있는 두 개의 밝은 타원 은하는 NGC 1399 와 NGC 1404 인데 화학로 자리 은하단의 주요 구성 은하이다.
또한, 사진 오른쪽 상단에 보이는 거대한 막대 나선 은하 NGC 1365 도 화학로 자리 은하단에 속한 주요 은하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02.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2년 1월 29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634688636


2023년 11월 1일 수요일

Annular Solar Eclipse over Utah

 


Annular Solar Eclipse over Utah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yBeth Kiczenski


지난 10월 14일 금환 일식 때, 미국 유타 (Utah)주, Factory Butte 에서 촬영된 일식의 모습이다.
시각적으로 알아보기 쉽게 하기 위해 일련의 연속 촬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태양과 달이 완전히 포개졌을 때 태양에서 뻩어나오고 있는 빛은 실제하는 빛은 아니고 카메라 조리개 회절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며 sunstar 라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달은 윤곽을 강조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밝게 했다.
한편, 2024년 4월 8일에 북미에서는 개기 일식이 나타날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1101.html 이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