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29일 화요일

Unusual Spiral Galaxy M66 from Webb

 


Unusual Spiral Galaxy M66 from Webb


- Image Credit : NASA, ESA, CSA, JWST; 
- Processing : Brian Tomlinson


사자 자리 (Leo, the Lion) 방향으로 약 35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M66 의 모습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적외선 촬영한 사진이다.
M66 은 사자 자리 Leo Triplet 을 구성하고 있는 세 은하들 중 가장 큰 은하로, 폭이 100000 광년 정도 된다.
참고로, Leo Triplet 은 M66 과 더불어 M65, NGC 3628 이렇게 세 개의 은하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나선 은하들은 가스, 먼지, 새로 만들어진 별들의 밀도파 (density waves)가 은하의 중심을 돌며 거의 대칭을 이루는데, M66 은 나선팔과 중심핵의 위치가 비대칭인 모양이다.
이것은 아마도 이웃 은하인 M65, NGC 3628 과의 조석 중력 (tidal gravitational pulls)과 이전의 밀접한 상호 작용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많은 나선 은하들과 마찬가지로, M66 의 길고 복잡한 먼지띠는 나선팔을 따라 펼쳐져 있는 밝은 별들과 은하간 먼지 등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29.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28일 월요일

Star Formation in the Pacman Nebula

 


Star Formation in the Pacman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Craig Stocks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 자리 방향으로 약 10000 광년 거리에 있는 성운 NGC 281 을 촬영한 사진이다.
NGC 281 은 생긴 모습 때문에 Pacman Nebula 라는 장난스런 별칭을 갖고 있기도 하는데, 폭이 80 광년 정도인 NGC 281 은 그 안에 산개 성단 IC 1590 을 품고 있다.
그리고, 성단 IC 1590 의 별들이 궁극적으로 성운의 빛을 강화시키고 있는 모양이다.
또한, 성운에서는 먼지 기둥과 Bok globules (독립되어 있으면서 크기가 작은 암흑 성운들) 도 볼 수 있는데, 이들은 성단의 뜨거운 별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항성풍과 자외선으로 인해 침식되고 있다.
만약 이들 먼지 기둥과 Bok globules 가 충분히 오래 유지될 수 있다면, 미래에 그 안에서 별들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고 한다.
한편, 성운의 수소 원자와 산소 원자들의 발광 (emission)을 결합하여 사진의 붉은색과 녹색, 파란색 등을 표현하였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28.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25일 금요일

...

그러니까 선거를 치를 때는, 어떤 후보가 민주주의를 지킬 의지가 확고한지,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있는지, 분열의 언어가 아닌 통합의 언어를 사용하는지, 전쟁의 위협이 아닌 평화의 의지를 갖고 있는지 등을 먼저 확인하고 투표하자.
각각의 세부적인 공약들이 나의 이익과 부합되는지는 그 다음 문제이다.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 역사에 대한 인식, 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후보가 경제를 살릴 가능성이 있을리가 없고, 분열과 전쟁을 막고 평화를 지킬 리도 없을 것이며, 국제 사회에서의 외교 또한 잘할 리가 없을 것이다.
부패가 무능보다 낫다는 헛소리에 취해 소중한 한표를 헛되이 버리지 말자.
부패가 최악의 무능이고, 도덕과 윤리가 최고의 유능이다.


A Season of Saturn

 


A Season of Saturn


- Image Credit & Copyright : Andy Casely


이 사진은 지난 2018년 부터 2023년 까지 토성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제일 위 사진이 2018년이고, 가장 아래 사진이 2023년인데, 2018년 사진에서 토성의 고리가 가장 넓게 보여지고 있고, 2023년 사진에서는 고리의 옆모습에 가깝게 보여지고 있다.
6년에 걸친 이 사진들은 토성 북반구의 여름에서 거의 가을 추분까지의 기간이며, 2018년 사진에서는 토성 북극의 6각형 모습과 거대한 폭풍 시스템을 볼 수 있고, 2023년 사진에서는 토성의 얼음 위성인 Tethys 가 지나가면서 토성 남반구 구름띠에 그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한편, 토성의 차갑고 푸른 남극은 거의 10여년에 걸친 겨울 어둠에서 벗어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25.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24일 목요일

Meteors along the Milky Way

 



Meteors along the Milky Way


- Image Credit & Copyright : Ali Hosseini Nezhad


지난 8월 13일, 일요일, 여명이 오기 전에 이란의 Shiraz 에서 촬영된 페르세우스 유성우의 모습이다.
이 사진은 유성우가 절정일 즈음인 새벽 2시부터 4시 30분 사이에 촬영된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만들었는데, 은하수를 배경으로 쏟아지는 유성우를 볼 수 있다.
또한, 유성우와 은하수 뿐만 아니라 여름철 대삼각형 (Summer Triangle)을 이루는 별 Deneb 와 Vega, 그리고 Altair 도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24.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23일 수요일

The Meteor and the Galaxy

 


The Meteor and the Galaxy


- Credit & Copyright : Jose Pedrero


우연히 찍힌 유성과 멀리 안드로메다 은하를 담고 있는 사진이다.
지난 주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절정일 때 스페인 Castilla La Mancha 에서 촬영된 사진으로, 아마도 페르세우스 유성우를 촬영하려다가 뜻밖에 이런 장면을 찍은 것 같은데, 촬영된 50개의 프레임 중 단 하나에서만 이렇게 가로질러 날아가는 유성이 찍혔다.
이 유성은 사실 수년 전에 태양 궤도를 돌았던 혜성 Swift-Tuttle 에서 떨어져 나온 혜성 핵의 모래 크기만한 잔해로 추정된다.
혜성의 잔해가 홀로 태양 주위를 돌다가 지구가 그 궤도를 지나갈 때 지구 대기에 충돌하여 이런 유성이 된 것이다.
그리고, 유성의 상태가 나빠지면서 가스가 방출되었는데 가스의 빛은 구성 원소에 따라 결정되는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23.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22일 화요일

The Pistachio Nebula

 


The Pistachio Nebula


- Credit & Copyright : Bray Falls & Chester Hall-Fernandez


이 사진은 지난 6월 초 나미비아 (Namibia)에서 촬영된 Pistachio Nebula 의 모습을 담은 사진으로, 70여 시간의 노출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합성하여 만든 것이다.
보통 새롭게 발견되는 성운들은 대형 망원경을 이용하는 전문가들에 의해 발견되며 각 크기가 작은 편인데, 이와 대조적으로 Pistachio Nebula 는 아마추어들에 의해 발견되었고 비록 희미하지만 크기가 거의 보름달 만하다.
현대에는 소형 망원경을 이용하는 아마추어들이라 하더라도 대부분의 전문 망원경이 볼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넓은 영역에 대해 장노출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알려져 있는 천체 주변에서 전에는 몰랐던 확장된 발광 (emission) 영역을 발견하거나 성운과 같은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천체 등을 발견할 수도 있다.
이 사진에서는 산소 발광 (emission)은 파란색으로 수소 발광 (emission)은 붉은 색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성운의 중심 별에 대해서는 밝혀진 것이 없지만, 만약 백색 왜성으로 판명된다면 이 성운은 행성상 성운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22.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21일 월요일

Introducing Comet Nishimura

 


Introducing Comet Nishimura


- Credit & Copyright : Dan Bartlett


이 사진은 3일전 미국 캘리포니아 June Lake 에서 촬영된 혜성 Nishimura 를 담은 사진이다.
녹색의 중심핵과 얇은 꼬리를 보여주고 있는 혜성 Nishimura 는 겨우 10일전에 발견된 혜성이다.
10일 전 Hideo Nishimura 가 일반 디지털 카메라로 30초 노출하는 동안 발견되었다.
C/2023 P1 Nishimura 로 명명된 이 혜성은 그후 밝기가 증가하고 내부 태양계로 진로가 결정되었다.
또한, 태양에 가까워짐에 따라 9월 초 쯤에는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한데, 다만, 혜성이 태양에 가까워서 일몰이나 일출 근처에서만 볼 수 있다.
그런데, 혜성이 수성 궤도 안쪽으로 들어와 태양에 너무 가까워지면 혜성의 핵이 부서질 수도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21.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18일 금요일

Northern Pluto

 


Northern Pluto


- Image Credit : NASA, Johns Hopkins Univ./APL,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이 사진은 지난 2015년 7월 뉴호라이즌 탐사선 (New Horizons spacecraft) 이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만든 것으로, 명왕성의 북쪽 지역을 보여주고 있다.
뉴호라이즌 탐사선의 이 당시 탐사는 태양에서 60억 km 떨어진 원격 명왕성 시스템을 통해 수행한 최초의 탐사 비행이었다.
또한, 명왕성 북쪽 지역에는 Lowell Regio 라 알려진 협곡으로 이루어진 지역이 있는데, Lowell Regio 라는 이름은 Lowell Observatory 의 설립자인 Percival Lowell 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Percival Lowell 은 화성에 운하가 있다고 주장한 것으로 유명한데, 1930년 Clyde Tombaugh 가 명왕성을 발견하는데 기여한 연구도 시작했었다 한다.
이 사진 중심부에서 왼쪽 상단 부분이 명왕성의 북극 지역인데, 왼쪽편에 희미한 푸른 빛을 띄며 위에서 아래 방향 (남쪽 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협곡을 볼 수 있고, 이 협곡의 폭은 약 70 km 정도나 된다.
그리고, 높은 고도에 해당하는 부분은 노란색으로 표현되어 있다.
뉴호라이즌의 이 탐사는 질소 얼음 뿐만 아니라 메탄 얼음도 Lowell Regio 전역에 풍부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18.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17일 목요일

A Cosmic Zoo in Cepheus

 


A Cosmic Zoo in Cepheus


- Image Credit & Copyright : Yann Sainty


케페우스 (Cepheus) 자리 방향으로 약 3000 광년 거리에 있는 발광 성운 IC 1396 과 그 옆의 Sh2-129 를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왼쪽에 있는 것이 성운 IC 1396 이고 오른쪽에 있는 것이 Sh2-129 이며, 두 성운은 빛나는 성간 가스와 어두운 먼지 구름 등이 섞여 있다.
IC 1396 내부에는 구불구불한 형태의 어두운 구름들이 있는데, 그중 성운의 중심에서 오른쪽 아래 방향 (4시 방향)에 있는 것이 Elephant's Trunk 로 알려져 있는 먼지 구름이다.
Elephant's Trunk 는 길이가 수십 광년에 달하며 별 생성을 위한 원료를 지니고 있고, 보이지 않지만 원시 별들을 품고 있다.
그리고, Sh2-129 에서는 밝은 빛의 덩어리와 밝게 빛을 내며 뒤로 기울어진 능선을 볼 수 있는데, 이로인해 Flying Bat Nebula 라는 별칭을 갖고 있기도 하다.
또한, Sh2-129 내부에 희미한 푸른 빛을 띄는 또다른 성운을 볼 수 있는데, 이 성운이 Ou4 (Giant Squid Nebula) 이다.
한편, 사진의 오른쪽 약간 아래쪽에 검은 형태의 성운도 불 수 있는데, 이것은 Barnard 150 으로 등록된 암흑 성운으로 dark Seahorse Nebula 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17.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16일 수요일

Arp 93 : A Cosmic Embrace

 


Arp 93 : A Cosmic Embrace


- Image Credit & Copyright : Mike Selby, Observatorio El Sauce


물병 자리 (Aquarius) 방향으로 약 2억 광년 거리에 있는 Arp 93 을 촬영한 사진이다.
Arp 93 은 서로 중력 상호 작용을 하며 합쳐지고 있는 두 은하인데, 사진에서 오른쪽에 있는 은하가 NGC 7285 이고 왼쪽이 NGC 7284 이다.
두 은하가 합쳐지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두 은하의 핵이 20000 광년 정도 떨어져 있으며, 중력 상호 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거대한 조수 흐름 (tidal stream) 이 사진의 아랫쪽 방향으로 200000 광년 이상 펼쳐져 있다.
이와 같은 은하의 중력 상호 작용이 특이하게 보일 수도 있는데, 실상 우주에서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우리 은하의 이웃 은하인 안드로메다 은하도 우리 은하와 점점 가까워지고 있는데, Arp 93 과 같은 은하쌍이 먼 미래의 은하 병합에 대한 유사성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16.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14일 월요일

The Ring Nebula from Webb

 


The Ring Nebula from Webb


- Credit : NASA, ESA, CSA, JWST; 
- Processing : Zi Yang Kong


거문고 자리 (Lyra) 방향으로 약 2500 광년 거리에 있는 Ring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M57 로 등록되어 있는 Ring Nebula 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적외선 촬영한 것인데, 성운을 아주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성운의 중심 고리 부분은 지름이 약 1 광년 정도이며, 우주의 눈처럼 보이는 부분 주변으로 일련의 가스들이 늘어서 있는데, 이들 기다란 필라멘트들은 성운 내부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빛을 성운 고리 부분의 고밀도 가스들이 막으면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Ring Nebula 는 우리 태양과 같은 별이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 가서 외곽 대기층을 잃게 되고 백색 왜성이 될 때 만들어지는 가스 구름의 형태이며 행성상 성운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14.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13일 일요일

The Sombrero Galaxy in Infrared

 


The Sombrero Galaxy in Infrared


- Credit : R. Kennicutt (Steward Obs.) et al., SSC, JPL, Caltech, NASA


처녀 자리 (Virgo) 방향으로 약 2800 만 광년 거리에 있는 Sombrero Galaxy 를 촬영한 사진이다.
M104 로 등록되어 있는 Sombrero Galaxy 는 지름이 50000 광년 정도이며 처녀 자리 은하단 (Virgo Cluster of Galaxies)에서 가장 큰 은하 중 하나이다.
가시광선 이미지에서는 은하의 어두운 먼지띠가 은하의 중간 부분을 보이지 않게 하지만 적외선 관측에서는 밝게 빛나게 보인다.
이에 따라 이 사진은 Spitzer Space Telescope 이 촬영한 적외선 빛을 기존의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가시광선 이미지에 중첩하여 만든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13.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5년 10월 4일에도 올렸었고 그때와 글과 사진이 모두 동일한데, 너무 오래되기도 했고, 블로그에 옮긴 내용도 너무 부실하고 번역에 오류도 있어 다시 올려본다.


2023년 8월 11일 금요일

...


요즘 뉴스나 인터넷 기사들을 보다보면 내가 지금 어느 시대를 살고 있는지 헷갈릴 때가 참 많다. 
놀라운 대중, 놀라운 언론에 이미 질려버렸지만, 늘 상상 그 이상이다.
깨진 유리병은 상처를 남기는 법...


Messier 51 in 255 Hours

 


Messier 51 in 255 Hours


- Image Credit & Copyright : The Deep Sky Collective - Carl Björk, Thomas Bähnck, Sebastian Donoso, Jake Gentillon, Antoine and Dalia Grelin, Stephen Guberski, Richard Hall, Tino Heuberger, Jason Jacks, Paul Kent, Brian Meyers, William Ostling, Nicolas Puig, Tim Schaeffer, Felix Schöfbänker, Mikhail Vasilev


사냥개 자리 (Canes Venatici) 경계 내에 위치하며 거리는 약 31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은하 쌍 M51 을 촬영한 사진이다.
M51 은 서로 상호 작용하고 있는 은하 쌍인데, 사진에서 정면으로 보이며 나선팔과 먼지띠를 뚜렷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 NGC 5194 이고, 그 오른쪽 옆에 NGC 5194 의 나선팔 끄트머리에 걸친 것처럼 있는 것이 NGC 5195 이다.
M51 을 직접 망원경으로 관측하면 희미하고 흐릿하게 보이는데, 이 사진은 여러 천체 사진가들이 협력하여 10일 이상의 노출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을 합성하여 만든 것으로, 놀랄만한 색상과 광범위한 조석 잔해 (tidal debris) 등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사진에는 M51 에서 볼 수 있는 이온화된 수소 가스의 거대한 붉은 빛 구름을 보여주는 118 시간의 협대역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11.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9일 수요일

Meteor Shower : Perseids from Perseus

 


Meteor Shower : Perseids from Perseus


- Credit & Copyright : Petr Horálek / Institute of Physics in Opava


8월은 페르세우스 유성우의 계절이다.
이 사진은 지난 2018년 슬로바키아 (Slovakia)의 Poloniny Dark Sky Park 에서 촬영하여 합성한 것이다.
전경의 돔 구조물은 Kolonica Observatory 부지내에 있는 관측소 돔이며, 하늘에서는 페르세우스 자리의 한 지점으로부터 방사되어 나오는 것처럼 보이는 유성우들을 볼 수 있다.
원래 유성우인 혜성의 먼지 입자들은 평행을 이루며 움직이지만, 이렇게 한 지점에서 방사되어 나오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투시법 때문이다.
올해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토요일 자정 이후에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초승달이 매우 늦게 뜰 것이기 때문에 구름없는 하늘이 평소보다 더 어둡게 보일 것이며, 많은 수의 희미한 유성들을 볼 수 있을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09.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8일 화요일

Moon Meets Jupiter

 



Moon Meets Jupiter


- Credit & Copyright : Jordi L. Coy


지난 6월 중순, 스페인 Morón de la Frontera 에서 촬영된 달과 목성, 그리고 목성의 위성들 사진이다.
단일 노출로 촬영된 이 사진에서 햇빛이 비치는 달의 왼쪽편은 과다노출된 반면, 달의 밤에 해당하는 오른쪽은 지구 반사광 (Earthshine)에 의해 희미하게 빛을 받고 있는 상태다.
그 아래 밝게 빛나는 목성이 있고, 목성의 위성들이 대각선으로 늘어서 있는데, 왼쪽부터 갈릴레오 위성들인 Callisto, Ganymede, Io 가 위치하고 있고, 마지막으로 가장 오른쪽에 Europa 가 있다.
여기서 Io 는 목성과 너무 가까워서 관측이 쉽지 않다.
Callisto, Ganymede, 그리고 Io 는 우리의 달 보다 더 크며 Europa 는 아주 약간 작다.
현재 Juno 탐사선이 목성 궤도를 돌고 있는데, 일주일 전에는 Io 를 근접 통과하였다.
한편, 오늘밤에도 달과 목성이 서로 가까이 빛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08.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7일 월요일

The Pelican Nebula in Gas, Dust, and Stars

 


The Pelican Nebula in Gas, Dust, and Stars


- Credit & Copyright : Abe Jones


백조 자리 (Cygnus) 방향으로 약 1800 광년 거리에 있으며 North America Nebula 옆에 있는 Pelican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IC 5070 로 등록되어 있는 Pelican Nebula 는 어두운 먼지로 가득찬 분자 구름에 의해 North America Nebula 와 서로 분리되어 있는데, 현재 천천히 그 모습이 변화되고 있는 모양이다.
Pelican Nebula 는 별 형성과 진화하는 가스 구름들이 활발하게 섞여 있어 많이 연구되는 대상인데, 이 사진은 황과 수소, 산소에서 방출되는 빛에 해당하는 세 가지 색상으로 만들어졌고, 이를 통해 이들의 상호작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젊고 활발한 별들에서 나오는 빛이 차가운 가스를 뜨거운 가스로 천천히 변환시키고 있는데, 차가운 가스와 뜨거운 가스 사이에는 이온화 전선 (ionization front)이라는 경계가 있으며, 사진에서는 오른쪽 아래 밝게 빛나는 주황색으로 보이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 부분에는 고밀도의 촉수처럼 생긴 차가운 가스가 남아 있다.
암흑 성운 LDN 935 로 분리되어 있는 Pelican Nebula 는 앞으로 수백만년 후에는 별과 가스들의 균형과 배치가 완전히 달라져서 더이상 Pelican Nebula 로 남아있지 않게 될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07.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6일 일요일

SN 1006 : A Supernova Ribbon from Hubble

 


SN 1006 : A Supernova Ribbon from Hubble


- Credit : NASA, ESA, Hubble Heritage (STScI/AURA); 
- Acknowledgement : W. Blair et al. (JHU)


마치 리본처럼 생긴 이것은 1006년에 있었던 고대 인류가 목격한 가장 격렬한 초신성 폭발의 잔해이다.
이리 자리 (Lupus, the Wolf) 방향으로 약 7000 광년 거리에 있는 초신성 SN 1006 가 그 주인공인데, 1006년 관측 당시 금성보다도 더 밝았으며 2년 이상 밝기가 지속되었었다고 한다.
이 초신성 폭발로 인해 거대한 잔해가 생겼고 지금도 계속 팽창하며 희미해지고 있다.
사진 속 리본이 팽창하는 초신성 잔해의 일부이며, 주변 가스를 가열하고 이온화하는 얇고 바깥쪽으로 움직이는 충격파면 (shock front)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한편, 이 초신성 잔해의 지름은 대략 6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06.html 이곳에서...


2023년 8월 5일 토요일

NGC 1360 : The Robin's Egg Nebula

 


NGC 1360 : The Robin's Egg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Dong Liang


남쪽 화학로 자리 (Fornax) 경계 내에 위치하며 거리는 약 1500 광년 떨어져 있는 성운 NGC 1360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생긴 형태나 색상이 개똥지빠귀 알을 닮았다하여 Robin's Egg Nebula 라는 별칭을 갖고 있기도 한 NGC 1360 은 그 폭이 약 3광년 정도이다.
또한, 별의 진화 과정에서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는 행성상 성운이다.
성운의 중심에 있는 중심 별은 두 개의 백색 왜성으로 구성된 쌍성계이며, 우리 태양보다 질량은 작지만 더 뜨거운 상태이다.
이들 백색 왜성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자외선이 두 별을 서로 둘러싸고 있는 가스층에서 전자를 분리시키고 있는데, 분리된 전자가 이중 이온화된 산소 원자들과 재결합하면서 만들어내는 강한 발광 (emission) 으로 인해 청록색을 띄는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05.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8년 5월 11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거의 비슷하고 사진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273606719


2023년 8월 4일 금요일

브론즈 블렌드 (Bronze blend) - 호호커피집

 


브론즈 블렌드
(Bronze blend)

호호커피집


- 구성 커피 : 콜롬비아 엘칸토 다즐링 썬 (Colombia El canto Dazzling Sun)
에티오피아 시다모 케라모 G1 내추럴 (Ethiopia Sidamo Keramo G1 Natural)


이 커피는 지난번 에티오피아 시다모 봄베를 주문했을 때 서비스로 함께 온 커피다.
시다모 봄베를 다 먹고 난 후에 먹기 시작해 좀 늦게야 먹게 되었는데, 먹어보고 좀 놀랐다.
원두 상태에서부터 다 마시고 난 후까지 복숭아 아이스티 같은 향미가 압도적이었다.
마셔보니 여름철에 차갑게 먹으면 정말 좋겠단 생각이 들었다.
아마도 그래서 호호커피집에서 바리스타 픽으로 선정한 것이 아닌가 싶다.

복숭아 아이스티 같은 느낌이 왜 이렇게 강할까 궁금했는데, 구성 원두를 찾아보니 이해가 되었다.
구성 원두 중 "콜롬비아 엘칸토 다즐링 썬"이 복숭아와 와인 효모를 첨가하여 72시간 무산소 발효를 진행한 커피였다.
예전에 콜롬비아 엘파라이소 커피들이 무산소 발효 공정을 거쳐 리치 (lychee) 같은 과일맛을 극대화시켰던 적이 있었는데, 이 커피도 아마 그래서 복숭아 아이스티 같은 맛이 강했던 것 같다.
암튼, 아주 달달한 복숭아 아이스티 같은 느낌이나 과일사탕 같은 느낌이 괜찮다면 이 커피는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2023년 8월 3일 목요일

에티오피아 시다모 봄베 워시드 G1 (Ethiopia Sidamo Bombe, washed, G1) - 호호커피집

 


에티오피아 시다모 봄베 워시드 G1
(Ethiopia Sidamo Bombe, washed, G1)

호호커피집


- 지역 : Bombe Kebele, Bensa Woreda, Sidama region
- 재배 고도 : 2050 ~ 2300 m
- 가공 방식 : washed
- 품종 : 74158
- 수확 시기 : 11 ~ 1월
- wet mill : Qungna washing station

- tasting note : 꽃향기, blacktea, 단신맛, 감귤


이번 커피는 호호커피집의 에티오피아 시다모 봄베 커피다.
예전에 테라로사에서 같은 커피를 주문해 먹어본 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내추럴 가공이어서 느낌이 좀 달랐다.
이번 에티오피아 커피에서 가장 명확히 느껴진 향미는 감귤의 느낌이었다.
감귤 향미가 처음 분쇄할 때부터 다 마실 때까지 주도적으로 느껴졌다.
분쇄 커피에서는 감귤 이외에도 허브 향이 하나 있었고, 단향도 좋았으며, 가끔 청국장처럼 쿰쿰한 느낌의 향도 있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이었다.
추출 커피도 마찬가지로 감귤향이 지배적이었고, 부드러우면서 단향이 있었다.

마셔보니 감귤 향미가 상큼하게 느껴졌고 부드러웠는데, 중간에 아주 세련된 향미가 하나 느껴졌다.
무슨 맛인지는 알 수 없었지만,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그리고, 단맛은 부드러우면서도 누가 (nougat)나 카라멜 같은 느낌이어서 아주 좋았고, 다 마시고 난 후에도 여운이 남았다.

며칠에 걸쳐 마셔보니 커피가 전체적으로 부드러우면서 상큼하고 깔끔했으며 단맛이 좋았다.
거부감없이 누구나 좋아할만한 커피 아니었나 싶다.


2023년 8월 2일 수요일

M82 : Galaxy with a Supergalactic Wind

 


M82 : Galaxy with a Supergalactic Wind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 Processing & Copyright : Harshwardhan Pathak


큰곰 자리 (Ursa Major, the Great Bear) 방향으로 약 12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 M82 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Cigar Galaxy 라고도 알려져 있는 M82 는 그 안에서 많은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은하인데, 최근에 이웃 나선 은하인 M81 과 가까이 지나가면서 교란이 있었다고 한다.
M82 에서 붉은 빛을 띄며 바깥쪽으로 팽창하는 가스와 먼지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이 M81 과의 근접 조우 때문이라고 하기엔 완전히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에 대해 다른 원인으로, 은하 내의 많은 별들에서 나오고 있는 입자풍들이 합쳐져서 만든 거대한 은하풍 (supergalactic wind)에 의해 가스와 먼지들이 밀려나게 되었다는 설명이 있는 모양이다.
또한, 실제로 M82 의 성간 물질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먼지 입자들이 cigar 연기 입자와 비슷한 크기라 한다.
사진에서는 이온화된 수소 가스에서 방출되고 있는 붉은 빛을 강조하고 있으며,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필라멘트들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는데, 이들 필라멘트들은 10000 광년 이상 뻩어나가고 있다.
한편, M82 는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소형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며, 적외선 영역에서는 하늘에서 가장 밝은 은하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02.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9년 7월 23일에도 올렸었고,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593637643


2023년 8월 1일 화요일

Monster Solar Prominence

 


Monster Solar Prominence


- Image Credit & Copyright : Mike Wenz


2주쯤 전에 미국 애리조나 주 Gilbert 에서 소형 망원경으로 촬영된 태양의 거대한 홍염을 수소 빛으로 이미지화 한 사진이다.
홍염은 지구보다 더 크기도 하고 뜨거운 가스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통 천천히 그 형태를 변화시키며 대략 한달여에 걸쳐 다시 사라진다.
하지만, 때론 갑작스런 폭발로 인해 태양계에 강력한 입자들을 방출하여 지구를 공격하기도 한다.
사진 속 홍염의 괴물같은 가스 기둥은 태양 표면 근처에서 늘 존재하지만 항상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해 떠올랐다.
2025년 태양 극대기 (solar maximum)가 가까워짐에 따라 활동적인 우리 태양은 홍염과 필라멘트, 흑점, 그리고 커다란 활동 영역 등을 비정상적으로 많이 보여주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801.html 이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