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31일 월요일

...


하루 하루가 버거우면서 동시에 너무나 가벼이 지나간다.


2023년 7월 30일 일요일

Spiral Aurora over Icelandic Divide

 


Spiral Aurora over Icelandic Divide


- Image Credit & Copyright : Juan Carlos Casado (Starry Earth, TWAN)


이 사진은 2016년 아이슬란드 Thingvallavatn 호수 위에 나타난 오로라를 촬영한 사진이다.
원문에서는 오로라와 오로라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각각 미녀와 야수에 비유했는데, 아름다운 오로라를 미녀라 했고 오로라를 발생시킨 하전 입자 파동이 언젠가는 인류 문명을 파괴할 수도 있다는 의미에서 야수에 비유하고 있다.
실제로, 1859년에 Carrington Event 라는 강력한 지자기 폭풍이 있었는데, 태양 플레어 (flare)와 관련된 코로나 질량 방출 (coronal mass ejection (CME))로 인해 하전 입자들의 파동이 지구 자기권에 강하게 충돌하여 전 지구적으로 오로라가 발생한 사건이었다.
이로인해 지구 자기장이 급격하게 압축되어 전신선 (telegraph wires)에 높은 전류와 스파크를 일으켜 많은 전신 운영자들을 충격에 빠트렸다.
만약 오늘날 Carrington Event 와 같은 규모의 사건이 일어난다면, 전 지구적으로 전력망과 전자기기 등에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규모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Thingvallavatn 호수는 유라시아와 북미 지각판을 나누고 있는 단층을 부분적으로 채우고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30.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28일 금요일

Young Stars, Stellar Jets

 


Young Stars, Stellar Jets


- Image Credit : NASA, ESA, CSA, 
- Processing : Joseph DePasquale (STScI)


돛 자리 (Vela) 방향으로 약 1140 광년 거리에 있는 한쌍의 젊은 별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적외선 촬영한 사진이다.
HH (Herbig-Haro) 46 과 47 로 등록된 두 젊은 별은 가시광선으로 봤을 때는 대체로 불투명한 암흑 성운 내에 위치하고 있는데,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NIRcam 으로 촬영된 적외선 사진에서는 분자 가스를 고속으로 분출하며 빛나고 있다.
사진에서 붉은 빛의 회절 스파이크 중심부에 이 두 별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들이 분출한 강력한 항성 제트 (jet)가 거의 1광년 까지 뻗어 나가며 어두운 성간 물질 속으로 파고들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28.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27일 목요일

Galaxies in the River

 


Galaxies in the River


- Image Credit & License : CTIO/NOIRLab/DOE/NSF/AURA; R. Colombari, M. Zamani & D. de Martin (NSF’s NOIRLab)


에리다누스 (Eridanus ; 그리스 신화에서 파에톤이 제우스의 분노의 번개를 맞고 떨어져 죽은 강) 자리 방향으로 약 5000 만 광년 거리에 있는 두 은하 NGC 1532 와 NGC 1531 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옆 모습을 보여주며 왜곡된 형태를 지니고 있는 큰 은하가 NGC 1532 이고, NGC 1532 위에 작게 보이는 은하가 왜소 은하인 NGC 1531 이다.
NGC 1532 의 폭은 대략 100000 광년 정도이고, NGC 1531 과 중력 상호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며, 먼 훗날 결국 NGC 1532 가 NGC 1531 을 흡수하며 하나의 은하가 될 것이다.
큰 은하들이 작은 은하를 흡수하여 하나의 은하가 되는 것은 우주의 일반적인 관행이며, 우리 은하도 예외는 아니다.
그리고, NGC 1532/1531 두 은하는 M51 로 알려진 나선 은하와 작은 동반 은하 시스템과 비슷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한편, 합쳐지고 있는 이들 두 은하를 관측한 것은 칠레의 Cerro Tololo Inter-American Observatory 에 있는 National Science Foundation’s Blanco 4-meter Telescope 에 장착된 Dark Energy Camera 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27.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26일 수요일

IC 4628 : The Prawn Nebula

 


IC 4628 : The Prawn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Daniel Stern


안타레스 (Antares) 남쪽, 전갈 자리 (Scorpius) 꼬리 부근에 위치하며 거리는 약 6000 광년 떨어져 있는 발광 성운 IC 4628 을 촬영한 사진이다.
근처에 있는 태어난지 수백만년 밖에 안된 젊고 뜨겁고 무거운 별들이 보이지 않는 자외선을 방출해 성운을 비추는데 이때 전자가 원자로부터 떨어져 나간다.
이렇게 분리되었던 전자는 결국 다시 원자와 재결합하여 볼 수 있는 성운의 빛을 만드는데, 이때는 수소의 붉은색 발광 (emission)이 주도적이 된다.
폭이 약 250 광년 정도인 성운 IC 4628 은 Gum 56 이라는 이름으로도 등록되어 있는데, 이는 호주의 천문학자인 Colin Stanley Gum 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며, 이 천문학자가 해산물을 좋아해서 이 성운이 Prawn Nebula 라는 별칭을 갖게 된 모양이다.
한편, 이 사진은 지난 4월 칠레의 Rio Hurtado 에서 며칠 밤에 걸쳐 촬영된 것을 합성하여 만든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26.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6년 12월 9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거의 같고 사진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0882276355


2023년 7월 25일 화요일

The Eagle Nebula with X-ray Hot Stars

 



The Eagle Nebula with X-ray Hot Stars


- Image Credit : X-ray : Chandra: NASA/CXC/SAO, XMM: ESA/XMM-Newton; 
IR : JWST: NASA/ESA/CSA/STScI, Spitzer: NASA/JPL/CalTech; 
Visible : Hubble: NASA/ESA/STScI, ESO; 
- Image Processing : L. Frattare, J. Major, N. Wolk, and K. Arcand


이 사진은 독수리 성운 (M16)의 먼지 기둥 (창조의 기둥, pillars of creation)을 X-ray 와 적외선, 가시광선 영역에서 관측한 데이터를 합성하여 만든 사진인데, 이를 통해 이곳에서 X-ray 를 방출하는 소스에 대해 탐사하였다.
관측 결과, 먼지 기둥 자체에서는 X-ray 가 그다지 많이 방출되지 않고, 작지만 밝은 X-ray 소스가 많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사진에서 밝은 점으로 보여지고 있다.
X-ray 를 만드는 별에 대한 연구가 여전히 주요 연구 주제로 남아 있는데, 일부에서는 뜨겁고 최근에 만들어졌으며 질량이 작은 별들이 X-ray 소스일 것이란 추정을 하고 있고, 다른 경우는 반대로 뜨겁고 나이가 많으며 질량이 큰 별들이 X-ray 소스일 것이란 추정을 하고 있는 모양이다.
사진에서 X-ray 를 방출하는 별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데, 가시광선에서 볼 수 있는 이전에 밝혀졌던 Evaporating Gaseous Globules (EGGS) 들은 현재 X-ray 를 방출할 만큼 뜨겁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X-ray 관측에는 NASA 의 Chandra X-ray Observatory 와 XMM (X-ray Multi-Mirror Mission)이 사용되었고, 적외선 관측에는 JWST (James Webb Space Telescope)와 Spitzer Space Telescope 이 사용되었으며, 가시광선 관측에는 Hubble Space Telescope 과 VLT (Very Large Telescope) 가 사용되었다.

위의 두 사진 중 붉은 점이 없는 사진은 Chandra X-ray Observatory 의 데이터가 없는 사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25.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21일 금요일

Galactic Cirrus : Mandel Wilson 9

 


Galactic Cirrus : Mandel Wilson 9


- Image Credit & Copyright : Gabriel Rodrigues Santos


극락조 자리 (Apus) 방향에 있는 은하 먼지 구름 복합체인 Mandel Wilson 9 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 먼지 구름은 우리 은하면 위로 약 300 광년 정도 솟아 있으며 은하 별들의 빛을 반사하고 있다.
Integrated flux nebulae 라고도 알려져 있는 이 먼지 구름은 보통 높은 은하 위도에서 발견되며 희미한 상태지만, 은하 북극과 남극 방향의 넓은 영역에 걸쳐 추적될 수 있다고 한다.
연구에 따르면, 별빛의 반사와 함께 먼지 구름들이 희미하게 붉은 발광 (luminescence) 현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성간 먼지 입자들이 보이지 않는 자외선을 볼 수 있는 붉은 빛으로 변환시키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밖에 이 사진에서는 우리 은하의 별들과 멀리 있는 배경 은하들도 담겨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21.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20일 목요일

M64 : The Black Eye Galaxy Close Up


M64 : The Black Eye Galaxy Close Up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HLA; 
- Processing : Jonathan Lodge


북쪽 머리털 자리 (Coma Berenices) 방향으로 약 17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M64 를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이다.
모습이 마치 검은 눈꺼풀이 덮여있는 것 처럼 보여서 Black Eye Galaxy 또는 Sleeping Beauty Galaxy 라는 별칭을 갖고 있기도 하다.
폭이 7400 광년 정도 되는 M64 의 중심부를 촬영한 사진을 다시 재처리한 것인데, M64 중심부를 부분적으로 어둡게 만드는 거대한 먼지 구름들이 젊고 푸른 성단들, 그리고 별 생성 영역과 관련된 수소의 붉은 빛과 함께 어우러져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어두운 먼지 구름만이 이 은하의 특징인 건 아니다.
M64 를 관측해 본 결과, 은하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동심원 시스템으로 되어 있었다.
M64 의 모든 별들은 은하 중심부 성간 가스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 약 40000 광년에 이르는 은하 외곽의 가스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렇게 어두운 먼지 구름과 이상하게 회전하는 은하의 특징은 10억년 전 서로 다른 두 개의 은하가 합쳐진 결과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20.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18일 화요일

Milky Way above La Palma Observatory

 



Milky Way above La Palma Observatory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cin Rosadziński


이 사진은 지난 4월 스페인의 카나리아 제도 (Canary Islands)에 있는 La Palma 섬 산꼭대기에서 촬영한 사진들을 합성하여 만든 것이다.
앞쪽에 Roque de los Muchachos Observatory 의 몇몇 망원경들이 자리하고 있는데, 왼쪽부터 차례로 Magic 1, Galileo, Magic 2, Gran Canarian, 그리고 LST 이다. 
또한 뒷 배경의 밤하늘엔 우리 은하의 중심 띠가 펼쳐져 있으며, 궁수 자리 (Sagittarius), 뱀주인 자리 (Ophiuchus), 전갈 자리 (Scorpius) 등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성운으로는 붉게 빛나는 독수리 성운 (Eagle Nebula)과 Lagoon Nebula 등이 있으며, Alrami 와 Antares 같은 별도 있다.

우리가 전 세계에 있는 망원경들을 이용해 밤하늘을 올려다 보는 이유는, 초기 우주를 이해하고,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들을 발견하고 추적하며, 외계 생명체가 살지도 모를 행성을 탐사하고, 우리 태양을 더 잘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별들을 모니터링 하기 위함이다.
사진에 있는 것과 같은 이런 천문대들로 인해 인류는 인류 역사상 그 어느때보다 지난 100년 동안 우리 밤하늘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하게 되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18.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17일 월요일

Shells and Arcs around Star CW Leonis

 


Shells and Arcs around Star CW Leonis


- Image Credit : ESA, NASA, Hubble, T. Ueta (U. Denver), H. Kim (KASI)


사자 자리 (Leo) 에 있는 별 CW Leonis 를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이다.
CW Leonis 는 가장 가까운 탄소 별 (carbon star)로서, 내부 핵융합으로 인해 흩어진 대기 탄소 때문에 주황색으로 보이는데, 또한 탄소가 풍부한 가스 성운에 휩싸여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무엇이 성운의 복잡함을 야기하는지는 모르지만, 껍질과 호로 이루어진 구조는 확실히 흥미롭다.
CW Leonis 의 낮은 표면 중력 때문에 탄소와 탄소화합물들이 우주 공간으로 방출되기 쉬운 상태이며, 이들 탄소들의 일부는 젊은 별 생성 영역의 성운과 은하 원반에서 흔히 보여지는 어두운 먼지를 만들게 된다.
인간과 지구 생명체들은 모두 탄소 기반이며, 적어도 우리 탄소의 일부는 탄소 별과 같은 죽어가는 별들의 대기에서 한때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17.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14일 금요일

Comet C/2023 E1 ATLAS near Perihelion

 


Comet C/2023 E1 ATLAS near Perihelion


- Image Credit & Copyright : Dan Bartlett


지난 7월 1일, 태양과 가장 가까운 지점인 근일점을 통과한 혜성 C/2023 E1 (ATLAS) 을 촬영한 사진이다.
NASA 가 지원하는 소행성 지상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 (Asteroid Terrestrial-impact Last Alert System)에 의해 발견된 혜성 C/2023 E1 (ATLAS) 이 근일점을 통과하고 얼마 안되는 시점에 이 사진이 촬영되었는데, 혜성은 작은곰 자리 별들을 배경으로 녹색의 중심핵과 희미하고 좁은 이온 꼬리를 보여주고 있다.
혜성이 지구와 가장 가까워지는 시점은 아직 오지 않았는데, 8월 18일에 약 3광분 (light-minutes) 정도 거리에 있게 될 것이라 한다.
한편, 황도면에 대한 기울기와 85년 정도의 혜성 주기로 봤을 때, 혜성 C/2023 E1 (ATLAS) 은 핼리 형 혜성 (Halley-type comet)으로 분류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14.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13일 목요일

Webb's Rho Ophiuchi

 


Webb's Rho Ophiuchi


- Image Credit : NASA, ESA, CSA, STScI, Klaus Pontoppidan (STScI), 
- Processing : Alyssa Pagan (STScI)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생성 영역으로 불과 390 광년 거리 밖에 안되는 곳에 있는 Rho Ophiuchi 분자 구름 복합체에서 우리 태양과 비슷한 별과 그 행성계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을 포착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NIRCam 으로 촬영된 적외선 이미지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1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공개되었는데, 사진의 폭은 약 1 광년이 조금 안되는 정도이고 이 안에 50 여개의 젊은 별들이 있다.
사진 속 밝은 별들이 회절 스파이크 (diffraction spikes) 패턴을 갖고 있는 것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특성이며, 새로 태어난 별들에서 뿜어져 나오는 충격받은 수소 분자의 거대한 제트 (jet) 들이 붉은 색으로 보여지고 있다.
또한 사진 중심부 근처에 있는 강력한 젊은 별에 의해 깎여 만들어진 커다란 노란색 먼지 공동 (空洞)도 볼 수 있다.
한편, 사진 속 일부 별들의 근처에는 별의 원시 행성 원반에 의해 드리워진 그림자가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13.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12일 수요일

Rings and Bar of Spiral Galaxy NGC 1398

 


Rings and Bar of Spiral Galaxy NGC 1398


- Image Credit : Mark Hanson; 
- Data : Mike Selby


화학로 자리 (Fornax, the Furnace) 방향으로 약 65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NGC 1398 의 모습이다.
NGC 1398 까지의 거리가 6500만 광년이나 되니,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이 모습은 약 6500만 년 전인 지구에서 공룡이 사라질 때쯤의 모습인데, 소형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칠레에 있는 Observatorio El Sauce 에서 촬영한 이 사진을 보면, NGC 1398 의 중심부에 고리도 있고 막대도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고리는 진주빛의 별과 가스, 먼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막대 또한 별과 가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멀리 리본처럼 보이는 나선팔을 지니고 있다.
한편, NGC 1398 의 중심부 고리는 다른 은하와의 중력 조우 또는 은하 자체의 중력 비대칭으로 인해 발생하는 별 형성의 팽창하는 밀도파 (density wave)일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12.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11일 화요일

Sunspots on an Active Sun

 


Sunspots on an Active Sun


- Image Credit : NASA, SDO; 
- Processing & Copyright : Şenol Şanlı


2025년 태양 극대기 (solar maximum)가 다가옴에 따라 태양 표면 활동성이 증가할 것이라 예상은 했었는데, 요즘 태양이 아주 활동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에 대해 아직 확실히 알려진 것은 없는 모양이다.
지난 달 태양은 이전 11년 태양 주기 전체 동안의 어느 달 보다도 많은 흑점을 만들어냈는데, 이는 심지어 2002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도 그렇다고 한다.
이 사진은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NASA 의 Solar Dynamic Observatory 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한 것으로, 많은 흑점을 보여주면서 커다란 각각의 흑점들이 약 2주에 걸쳐 태양 표면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지르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태양 주기가 계속됨에 따라 흑점은 점점 더 적도에 가깝게 나타나고 있다.
흑점이 태양 표면 활동을 보여주는 유일한 지표는 아니고, 그외에도 태양 플레어 (Flare)나 태양계로 입자들을 방출하는 코로나 질량 방출 (coronal mass ejections (CMEs)) 등이 있으며, 이러한 입자들이 우주비행사나 전자 기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교란을 추적하는 것은 미학적 가치 이상의 의미가 있다.
반대로, 태양 입자들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여 오로라를 만들게 될 때는 태양 활동이 아주 높은 미학적 가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11.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10일 월요일

Stars, Dust and Nebula in NGC 6559

 


Stars, Dust and Nebula in NGC 6559


- Image Credit & Copyright : Adam Block, Telescope Live


궁수 자리 (Sagittarius) 방향으로 약 5000 광년 거리에 있는 별 생성 영역인 NGC 6559 를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는 수소로 이루어진 붉은 빛의 발광 성운과 먼지로 이루어진 푸른 빛의 반사 성운, 그리고 역시 먼지로 이루어진 암흑 성운 등이 있으며 이런 성운들에서 만들어지는 별들이 있다.
밀도 높은 가스로부터 만들어지는 거대한 별들은 강력한 빛과 항성풍을 뿜어내며 자신이 태어난 곳을 침식하고 파괴하며 만들어간다.
그리고나서 별들은 폭발을 하게 되는데, 이런 상황들이 복잡하면서도 아름다울 수 있다.
또한, 수천만년 후에 먼지가 사라지고 가스도 휩쓸려 나가면 산개 성단들만이 남게 될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10.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9일 일요일

호호의 여름 선물...

 


온두라스 아구아프리아
케냐 티무
에티오피아 코케 허니 G1


6월 말에 호호커피집으로부터 선물을 받았다.
6월 커피였던 케냐 티무와 7월 커피 후보인 에티오피아, 그리고 온두라스까지, 많은 커피를 받았다.
너무 많이 보내줘서 아주 오랫동안 먹고 있다.
늘 이렇게 신경써서 선물을 보내주니 고마울 따름이다.

덕분에 오랫동안 커피 걱정없이 즐기고 있는데, 먹어보니 세 커피 모두 맛이 좋았다.
먼저, 6월 커피였던 케냐 티무는 과일인지 향신료인지 모를 향미가 있었는데, 이것이 마치 과일을 발효시킨 것 같기도 하고 무산소 발효 커피 같기도 해서 흥미로웠다.
그러면서, Citrus 계 과일의 상큼함도 있어서 좋았고 단맛도 또한 좋았다.
그리고, 진하게 추출하게 되면 입안에서 묵직하고 꽉찬 느낌이 들었다.
암튼, 독특한 향미와 더불어 신맛과 단맛의 조화가 좋았던 것 같다.
사실, 신맛과 단맛의 조화는 세 커피 모두 다 좋았다.

온두라스 또한 부드럽고 상큼한 과일 맛이 좋았으며, 이 커피도 과일과 향신료가 섞인듯한 복합적인 향미가 있었는데 구체적으로는 알 수 없었다.
언뜻 케냐 티무와 비슷한 느낌인 것 같기도 했는데 나는 잘 파악하지 못했다.

에티오피아 코케 허니는 정말 누구나 좋아할만한 맛이었다.
블루베리 향미가 아주 강하게 느껴져서 재밌었고, 단맛도 엄청나게 강해서 마시는 내내 기분이 좋아졌다.
더불어 과일의 상큼한 신맛도 아주 좋았고 입안에서의 촉감이 부드러웠다.
여름에 아이스로 마시면 좋을 것 같다고 호호커피 사장님이 말씀하셨는데, 그래서 그런지 이번 7월 커피로 이 커피가 결정되었다.

호호 커피집의 선물로 인해 오랫동안 원없이 커피를 즐기게 되었는데, 세 커피 모두 훌륭한 커피였고 누구에게나 추천할만한 커피였다고 생각한다.
근데, 늘 이렇게 받기만 하니 고맙고 미안할 따름이다.


2023년 7월 8일 토요일

Stickney Crater

 


Stickney Crater


- Image Credit : HiRISE, MRO, LPL (U. Arizona), NASA


이 사진은 화성의 위성인 Phobos 에 있는 거대한 크레이터를 촬영한 사진이다.
Stickney Crater 라 명명된 이 크레이터는 지난 2008년 3월 화성 정찰 궤도선 (Mars Reconnaissance Orbiter)이 Phobos 에서 약 6000 km 지점을 지날 때, 탑재되어 있는 HiRISE 카메라로 촬영한 것이다.
폭이 9 km 가 넘는 Stickney Crater 는 Phobos 지름의 거의 반이나 될 정도로 큰 규모여서 충돌 당시 Phobos를 거의 산산조각 낼 뻔했을 것이라 한다.
그리고, Phobos 의 표면 중력이 지구 중력의 1/1000 보다도 작긴 하지만, 오랜 시간 동안 크레이터 벽을 따라 흘러 내려간 물질들에 의해 줄무늬가 만들어졌고, 크레이터 가장자리의 연한 푸른색은 비교적 최근에 노출된 표면이다.
또한, 표면을 따라 생긴 이상한 홈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아마도 화성에 너무 가깝게 돌고 있는 Phobos 가 겪는 조석 응력 (tidal stresses) 때문이거나 아니면 크레이터를 만들게 된 충돌 그 자체와 관련있지 않을까 추정하고 있다.
한편, Stickney Crater 의 이름은 천문학자 Asaph Hall 의 아내이자 수학자인 Chloe Angeline Stickney Hall 의 이름에서 따왔으며, Asaph Hall 은 1877년에 화성의 위성 2개를 발견하였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08.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7일 금요일

The Double Cluster in Perseus

 


The Double Cluster in Perseus


- Image Credit & Copyright : Mårten Frosth


페르세우스 (Perseus) 자리 방향으로 약 7000 광년 거리에 있는 두 개의 산개 성단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위에 있는 성단이 h Persei 이고 아래에 있는 성단이 Chi Persei 인데, 각각 NGC 869 와 NGC 884 로 등록되어 있는 두 성단은 우리 태양보다 더 젊고 더 뜨거운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두 성단 사이의 거리가 몇 백 광년 정도 밖에 안되고, 두 성단 모두 만들어진 지 1300 만년 정도 밖에 안된 것으로 봐서 두 성단이 같은 별 생성 영역에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쌍안경으로 관측 가능한 두 성단은 어두운 곳에서는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07.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1년 10월 8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거의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531371168


2023년 7월 6일 목요일

<치매의 모든 것> - 휘프 바위선 (Huub Buijssen)

 


<치매의 모든 것>
(Demenz und Alzheimer Verstehen)

휘프 바위선 (Huub Buijssen)

장혜경 옮김
한지원 감수
심심


이 책을 구매한 건 오래전이고 읽은 건 얼마전이다.
책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치매에 관련된 이런 저런 내용들을 담고 있다.
이런 류의 책들에서 예측할 수 있는 그런 내용들이다.
하지만, 가족 중에 치매 환자가 있다면 "일정 부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책이기도 하다.
"일정 부분"을 따옴표로 강조한 이유는 예상했겠지만 책에서 얻은 정보나 지식이 실제로 활용되기 어려울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매일 치매 환자를 대하다보면 아무리 내 가족, 내 부모라 하더라도 교과서대로 되지는 않는다.
나도 모르게 튀어나오는 거친 말과 행동으로 후회할 때가 많아지는데, 아무리 책을 읽고 교육을 받아도 순간 순간 후회하는 행동을 하게 될 때가 많다.

책의 내용은 예상대로다.
치매라는 병에 대해 설명하고, 치매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기억 장애를 비롯한 여러 증상들, 그런 와중에도 치매 환자들이 잃지 않고 있는 것들에 대한 내용도 담고 있다. 
또한, 치매 환자의 마음을 들여다보려는 노력과 환자를 대할 때의 여러가지 팁들도 있고, 문제 행동에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에 대한 내용도 있다.
그리고, 또 하나 중요한 내용은 바로 간병하는 가족에 대한 내용이다.
치매 환자를 간병하면서 겪게 되는 수많은 스트레스와 회환, 후회, 고통 등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실려있다.

읽으면서 느낀 것은 앞에서도 말했듯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는 점이다. 
다만, 모든 것이 책대로 되지는 않는다는 점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책에는 엽서 크기의 카드 형태로 '치매 환자 대할 때 중요한 소통 규칙', '치매 환자에게 편안한 환경 만들어주기', '치매 환자에게 해서는 안 되는 말', '치매 환자에게 할 수 있는 말' 등의 내용이 담긴 인쇄물이 포함되어 있어서 잊을 때마다 한번씩 보면 도움이 될 수 있다.
그 내용들을 여기에 올려 본다.

<치매 환자 대할 때 중요한 소통 규칙>
- 두 가지를 동시에 하지 않는다. (예; 옷을 입히면서 질문을 하지 않는다.)
- 환자의 말에 관심을 보이고 눈을 맞춘다.
- 최대한 간략하고 분명하게 말한다.
- "왜"로 시작하는 질문 대신 "무엇", "누구", "어떻게", "어디서"로 질문의 문을 연다.
- 부탁을 할 때는 환자가 그 부탁을 실행하기 직전에 해야 한다.
- 치매 환자가 지금 이 순간 듣고 보고 냄새 맡고 맛보고 느끼는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 환자의 (과거) 관심사, 습관, 취미를 대화의 소재로 활용한다.
- 실수를 바로잡아 줄 때는 최대한 조용히, 소리 죽여 말한다.
- "늘", "절대", "원래는" 같은 책망하는 말은 하지 않는다.
-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처럼 환자가 싫어하는 말은 꺼내지 않는다.
- 환자 앞에서 속닥거리지 않는다.
- 어른한테 말하듯 한다.
- 환자가 자기 상황을 모를 것이라고 함부로 예단하지 않는다.

<치매 환자에게 편안한 환경 만들어 주기>
- 식사는 간소하게 차린다.
- 어두운 색깔의 식탁에 밝은 색깔의 그릇을 사용하고, 여름에도 조명을 밝게 한다.
- 식사 도중에 왔다 갔다 하면 환자가 집중을 잘할 수 없다. 환자가 식사할 때는 최대한 동작을 멈춘다.
- 주변 환경과 확실히 구분되도록 색깔이 진한 가구를 배치한다.
- 치매 환자에게 다가갈 때는 뒤나 옆을 피하고 앞에서 접근해야 한다. 또 코앞까지 가기 전에 미리 접근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낸다.
- 치매 환자에게 물건을 건네줄 때는 그 물건의 이름을 말한다.
- 바닥에 어두운 색깔의 매트나 양탄자를 깔지 않는다. 치매 환자 눈에는 그런 것들이 (공포를 조장하는) 검은 구멍처럼 보인다.
- 계단 모서리에 색깔을 칠하거나 줄무늬를 넣어서 잘 보이게 한다.
- 집 안이 항상 환하도록 살핀다. 특히 햇빛이 많이 들도록 한다.
- 환자가 창가에 앉을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한다. 물론 환자가 밖으로 나갈 수 있으면 더 좋다.
- 안과에 자주 들러 환자의 눈 상태를 점검한다.

<치매 환자에게 해서는 안 되는 말>
- 오늘 점심에 뭐 드셨어요 ?
- 이 블라우스 새로 샀어요 ?
- 내가 누군지 아세요 ?
- 뭐 하고 싶으세요 ?
- 그거 저번에도 말씀하셨어요.
- 왜 그런 말씀을 하세요 ? 이해가 안 되네.
- 왜 물으세요 ?
- 머리 깎으셨어요 ?
- 지금 몇 시예요 ?
- 오늘 뭐 하셨어요 ?
- 그 드라마 (특정 프로그램) 보실래요 ?

<치매 환자에게 할 수 있는 말>
- 블라우스 예쁘다. 처음 봤네.
- 아빠, 아빠 뵈니까 너무 반가워요.
- 산책 갈까요 ?
- 재밌네. 난 몰랐어요.
- 제가 잘 못 알아들었어요.
- 한번도 생각해 본 적 없는데, 흥미로운 질문이에요.
- 얼굴이 좋아 보여요 !
- 몸은 좀 어떠세요 ?
- TV에 볼 만한 거 있나 한번 틀어 볼까요 ?


2023년 7월 5일 수요일

우연히 들른 커피집에서...

 


지인의 사무실에 갔다가 우연히 들렀던 근처 커피집이다.
작은 공간이었는데, 잠시나마 여유를 느끼기 괜찮은 곳 같았다.


2023년 7월 4일 화요일

Aurora over Icelandic Waterfall

 


Aurora over Icelandic Waterfall


- Image Credit & Copyright : Cari Letelier


지난 2월말 아이슬란드 Godafoss (Goðafoss) 폭포 앞에서 촬영된 오로라의 모습이다.
사진가가 오로라를 촬영하기 위해 고군분투 했던 모양인데, 우여곡절 끝에 촬영한 34장의 노출 사진을 합성하여 이런 멋진 사진을 만들어냈다.
태양 표면 폭발이 이 사진을 촬영하기 며칠전에 있었던 모양인데, 태양 극대기 (solar maximum)가 점점 가까워지면서 태양 활동이 활발해지고 그에 따라 앞으로 몇년에 걸쳐 북쪽과 남쪽 하늘에서 보다 인상적인 오로라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04.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3일 월요일

Venus in Ultraviolet from Akatsuki

 


Venus in Ultraviolet from Akatsuki


- Image Credit & Copyright : JAXA, Planet-C Project Team; h/t: Mehmet Hakan Özsaraç


금성이 지구와 어떻게 다른가를 탐사하기 위해 발사된 일본의 Akatsuki 탐사선이 자외선 촬영한 금성의 모습이다.
Akatsuki 탐사선은 지난 2015년 말 금성 주위 궤도에 진입한 이후 원래 계획된 수명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탐사선과 장비들이 잘 작동되고 있어 원래 임무의 대부분이 복원되었다고 한다.
Venus Climate Orbiter 로도 알려진 Akatsuki 탐사선은 금성의 화산들이 왜 여전히 활동적인지, 밀도높은 대기에서 번개가 발생하는지, 바람의 속도가 왜 금성의 자전 속도를 크게 넘어서는지 등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이 사진은 Akatsuki 탐사선의 UVI camera 로 촬영된 금성의 낮 부분 사진인데, 행성 규모의 거대한 V 자형 구름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이 사진에서는 세 가지 자외선 색상을 사용하였는데, 상대적으로 풍부한 이산화황의 하강은 희미한 파란색으로 표현하였다.
한편, Akatsuki 탐사선의 이미지와 데이터를 분석하여 금성이 지구의 제트 기류와 유사한 적도 제트를 갖고 있음을 밝혀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03.html 이곳에서...


2023년 7월 2일 일요일

케냐 티무 AA (Kenya Thimu AA) - 커피 몽타주

 


케냐 티무 AA
(Kenya Thimu AA)

커피 몽타주
(Coffee Montage)


- 지역 (Region) : Kirinyaga County
- 농장 (Farm) : Thimu Factory, Part of Baragwi FCS
- 농부 (Farmer) : Thimu Factory Farmers Cooperative
- 품종 (Variety) : SL28, SL34, Ruiru11, Batian
- 재배 고도 (Altitude) : 1600 ~ 1800 m
- 가공 방식 (Process) : washed

- Tasting note : Blackcurrant, Blueberry, Grapefruit, Raisin, Caramel


어쩌다보니 이번 커피도 커피 몽타주의 커피다.
케냐 커피에 대한 좋은 인상도 있고 해서 선택해봤는데, 먹어보니 맛이 좋았다.
하지만, 분쇄 커피에서부터 다 마실 때까지 느껴지는 독특한 향이 조금 색다르게 느껴졌는데, 어찌보면 과일 같고 또 어찌보면 향신료 같고 그랬다.
과일인지 향신료인지 모를 향이 복합적으로 느껴지다보니 정확히 알 수 없었는데, 예전에 접했던 무산소 발효 커피 같은 느낌도 있었고, 과일을 발효시킨 듯한 뉘앙스도 있었다.
그밖에 자몽 향미가 느껴졌고, 마셔보니 과일의 상큼함도 느낄 수 있었다.
단맛은 특별하진 않았지만, 주로 푸어오버 방식으로 추출할 때 더 달게 느껴졌고, 살짝 카라멜 뉘앙스가 있었다. 다만, 이때는 상큼함이 약간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입안에서의 촉감은 부드러운 편이었는데, 진하게 추출하면 입안에 꽉찬듯한 느낌도 있어 좋았다.
이번 커피도 마시면서 구체적인 향미를 알아내는 게 어려웠는데, 그래도 전체적으로 맛이 좋아 즐기기 괜찮은 커피였다.


2023년 7월 1일 토요일

Three Galaxies in Draco

 


Three Galaxies in Draco


- Image Credit & Copyright : David Vernet , Jean-François Bax , Serge Brunier, OCA/C2PU


용자리 (Draco, the Dragon) 방향으로 약 1억 광년 거리에 있는 3개의 은하를 담은 사진이다.
이들 세 은하를 Draco Group 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은하단이 되기에는 은하 수가 너무 작고 작은 은하 그룹으로 분류되지도 않은 이들 은하는 왼쪽에서부터 차례로 나선 은하 NGC 5985, 타원 은하 NGC 5982, 나선 은하 NGC 5981 이다.
다른 조밀한 은하 그룹들만큼 잘 알려져 있진 않지만, 이들 세 은하의 대조적인 모습이 천체 사진가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모양이다.
분광기를 통한 연구에 따르면, NGC 5985 의 밝은 중심핵이 특정 파장에서 현저한 빛의 방출 (emission)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통해 천문학자들은 이 은하를 활동성 은하인 Seyfert 은하로 분류하고 있다.
한편, 타원 은하 NGC 5982 는 뚜렷한 껍질에 둘러싸여 있고 희미한 halo를 지니고 있는데, 이것은 과거에 두 은하가 합쳐졌던 증거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701.html 이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