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월 30일 화요일

Milky Way over a Turquoise Wonderland

 




Milky Way over a Turquoise Wonderland


- Image Credit & Copyright : Petr Horálek / Institute of Physics in Opava, Sovena Jani


지난 2월 중순 몰디브의 한 섬에서 촬영된 멋진 장면이다.
바다와 하늘 모두에서 빛을 내고 있는데, 바다에서 빛나고 있는 것은 생물 발광 (bioluminescence)이라는 독특한 현상으로, 겹쳐지는 파도에 의해 자극받은 단세포 플랑크톤인 야광충 (Noctiluca scintillans)이 희미하게 빛을 내고 있는 것이다.
플랑크톤들은 포식자를 놀라게 하고 명확히 하기 위해 이 빛을 이용하는데, 사진을 찍은 천체 사진가는 이 장면이 너무 강렬해 turquoise wonderland 라고 묘사했다고 한다.
반면, 하늘에서는 인공 조명에 의해 빛나고 있는 작은 숲에서부터 뻗어나가는 것처럼 보이는 우리 은하를 볼 수 있다.
하늘의 왼쪽에서는 성단 Omega Centauri 를 볼 수 있고, 중심에서는 유명한 남십자성 별자리도 볼 수 있으며, 그 바로 오른쪽으로는 붉은 빛의 성운들이 늘어서 있는데 Running chicken nebula 와 Carina nebula 가 자리하고 있고, 오른쪽 상단 끝에 커다란 Gum nebula 가 위치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29.html 이곳에서...


Ida and Dactyl : Asteroid and Moon

 


Ida and Dactyl : Asteroid and Moon


- Image Credit : NASA, JPL, Galileo Mission


1993년 목성으로 향하던 갈릴레오 탐사선 (robot spacecraft Galileo)이 긴 행성간 항해 중에 두 개의 소행성을 발견하고 촬영하였는데, 그중 하나가 이 사진에 실린 소행성이다.
사진에서 감자처럼 생긴 커다란 소행성이 243 Ida 이고, 그 옆에 아주 작은 점처럼 보이는 것이 Ida 의 위성인 Dactyl 이다.
그때까지 소행성도 위성을 갖는다는 것을 처음 발견한 사례인데, 지금은 다른 많은 소행성들이 위성을 갖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Ida 의 길이는 약 60 km 이고 폭은 25 km 이며, Dactyl 의 폭은 겨우 1.6 km 정도이다.
참고로, Ida 와 Dactyl 이란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서 가져왔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28.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29일 월요일

...

 


지인이 운영하는 카페에 갔다가 무심코 찍어봤다.
지인이 운영하는 곳인데도 거의 4년만이다.
여유없이 살다보니 가보지도 못하고 그저 전화 통화만 했었는데, 이번에 모처럼 시간이 나서 가봤다.
예전과는 조금 달라진 모습이지만 그래도 기본적인 모습은 그대로였다.
조각 케익 종류도 좀 늘어났고, 커피도 구성이 다양했다.
혼자였기에 창가 옆 작은 테이블에 앉아 창밖을 보다가 시선이 자연스럽게 타자기와 전화기에 머물러 찍어봤다.
그러고보니 나는 저런 타자기와 전화기를 사용해 본 세대라는 생각이 들어 느낌이 좀 달랐다.


Virgo Cluster Galaxies

 


Virgo Cluster Galaxies


- Image Credit & Copyright : Abdullah Alharbi


약 5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처녀자리 은하단 (Galaxies of the Virgo Cluster)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처녀자리 은하단은 우리 은하가 속한 국부 은하군에서 가장 가까운 거대 은하단이다.
사진에서는 처녀자리 은하단을 구성하는 몇몇 은하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사진 아래 중앙에 있는 것이 타원 은하 M87 이고, 사진 왼쪽 상단에 있는 두 은하가 위에서부터 각각 M84, M86 이다.
특히, M84 와 M86 은 여러 은하들이 일렬로 늘어서있는 Markarian's Chain 의 구성 은하이다.
Markarian's Chain 은 사진에서는 볼 수 없지만 사진 왼쪽 밖으로 쭉 뻗어있는 일련의 은하들이다.
Markarian's Chain 중에서 그 중심 근처에 서로 상호 작용하고 있는 두 은하 NGC 4438 과 NGC 4435 가 있는데, 이들 두 은하를 Markarian's Eyes 라고 부른다.
한편, 처녀자리 은하단의 가장 지배적인 은하는 역시나 거대 타원 은하인 M87 이며, M87 은 Event Horizon Telescope 에 의해 최초로 촬영된 초거대 블랙홀의 고향이기도 하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26.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25일 목요일

Cat's Eye Wide and Deep

 


Cat's Eye Wide and Deep


- Image Credit & Copyright : Jean-François Bax, Guillaume Gruntz


용 자리 (Draco) 방향으로 약 3000 광년 거리에 있는 Cat's Eye Nebula 와 그 주변을 촬영한 사진이다.
NGC 6543 으로도 등록되어 있는 Cat's Eye Nebula 는 가장 잘 알려진 행성상 성운 중 하나이며, 보통은 그 중심 부분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많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사진은 두 개의 망원경으로 관측한 데이터를 합성하여 얻은 이미지로 아주 희미한 외곽 halo 까지 보여주고 있으며, 이 halo 의 폭은 5 광년이 넘는다.
행성상 성운은 보통 우리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들이 수명이 다해 마지막 단계에 이르렀을 때의 모습인데, 최근에는 몇몇 행성상 성운에서 이와 같은 halo 가 관측되기도 했다.
이렇게 행성상 성운에서의 halo 는 별의 진화에서 초기 단계 동안 떨어져 나간 물질들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행성상 성운 단계는 보통 10000 년 정도 지속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Cat's Eye Nebula 에서 halo 의 외곽 필라멘트 부분의 나이는 약 50000 ~ 90000 년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사진에서 오른쪽에 행성상 성운 너머 5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NGC 6552 도 볼 수 있다.
그런데, 여기 저기 찾아보니 NGC 6552 의 거리가 3억 6000 만 광년으로 나오는 자료들이 많은데, 여기서는 왜 5000만 광년으로 적혀있는지 잘 모르겠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25.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6년 5월 28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거의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0721826342


2023년 5월 23일 화요일

Jupiter's Swirls from Juno

 


Jupiter's Swirls from Juno


- Image Credit : NASA/JPL-Caltech/SwRI/MSSS; 
- Processing & License : Kevin M. Gill


이 사진은 지난 2020년 8월 목성 탐사선인 주노 탐사선 (Juno spacecraft)이 목성에 근접하면서 얻은 이미지와 데이터를 이용해 만들어진 사진이다.
목성에서의 큰 폭풍과 지구에서의 폭풍은 좀 다른데, 지구의 거대한 허리케인이나 사이클론 (cyclones) 등은 저기압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지만 목성에서의 큰 폭풍은 가장 큰 고기압에서 발생한다.
또한, 지구에서의 큰 폭풍은 몇 주 정도 지속되지만 목성에서는 몇 년 동안 지속될 수도 있다.
지구의 큰 폭풍은 하나의 국가만큼 클 수 있지만, 목성의 큰 폭풍은 지구만큼 클 수도 있다.
반면, 목성과 지구 모두에서 폭풍에 번개가 친다.
사진 속 가까이에서, 소용돌이치는 하얀 타원형 폭풍을 볼 수 있고, 수많은 더 작은 구름 소용돌이들이 멀리까지 뻩어있다.
목성에서는 일반적으로 옅은 색의 구름들이 어두운 구름보다 더 높다.
두 행성 사이의 이 같은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목성에서의 폭풍 구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 지구에서의 폭풍과 날씨 패턴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23.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22일 월요일

Supernova Discovered in Nearby Spiral Galaxy M101

 




Supernova Discovered in Nearby Spiral Galaxy M101


- Image Credit & Copyright : Craig Stocks


큰곰 자리 (Ursa Major, the Great Bear) 방향으로 약 21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M101 에서 발생한 초신성 폭발을 관측했다.
3일전 일본 천문학자인 Koichi Itagaki 가 발견한 이 초신성은 SN 2023ixf 라 이름 붙여졌고, 이어서 이틀 전 Zwicky Transient Facility 의 자동화된 이미지에도 확인되었다.
이번 초신성 폭발은 지난 5년 동안 발견된 가장 가까운 초신성 폭발이며, 지난 10년 동안에는 두 번째로 가까운 것이고, 지난 15년 내에 M101 에서 발견된 두번 째 초신성 폭발이다.
후속 관측을 통해 SN 2023ixf 는 Type II supernova 로 밝혀졌고, 이는 거대 항성이 핵연료가 고갈되고 붕괴된 후에 발생하는 초신성 폭발이다.
위의 사진 중 초신성이 표시된 사진은 이틀 전인 5월 20일에 촬영된 사진이며, 초신성이 표시되지 않은 은하 사진은 4월 20일에 촬영된 사진이다.
초신성 SN 2023ixf 는 앞으로 몇달 동안 밝게 빛나고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할 것이다.
한편, 이처럼 가깝고 젊은 별의 Type II supernova 를 연구함으로써 거대 항성들과 이들이 어떻게 폭발하는지에 대해 새로운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22.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19일 금요일

Curly Spiral Galaxy M63

 


Curly Spiral Galaxy M63


- Image Credit & Copyright : Sophie Paulin, Jens Unger, Jakob Sahner


사냥개 자리 (Canes Venatici) 방향으로 약 3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M63 을 촬영한 사진이다.
NGC 5055 로도 등록되어 있는 M63 은 폭이 약 100000 광년으로 우리 은하와 비슷한 크기이며, 밝은 중심핵과 장엄한 나선팔의 모습 때문에 Sunflower Galaxy 라는 별칭을 갖고 있기도 하다.
이 사진의 아주 깊은 노출 촬영으로 인해 은하의 halo 에까지 호 형태를 이루는 희미한 별 흐름을 볼 수 있는데, 은하의 중심에서 거의 180000 광년 거리까지 뻗어있는 별 흐름은 M63 에 의해 조석적으로 붕괴된 위성 은하의 잔해일 가능성이 높다.
희미한 왜소 은하들을 포함한 M63 의 다른 위성 은하들이 사진 여기저기에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이들 위성 은하들은 앞으로 수십억년 내에 M63 의 별 흐름을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19.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18일 목요일

WR 134 Ring Nebula

 


WR 134 Ring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Craig Stocks


백조 자리 (Cygnus) 경계 내에 위치하며 거리는 약 6000 광년 떨어진 별 WR 134 와 성운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 중심부에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이 WR 134 이며,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성간 구름 속에 있으면서 복잡하게 빛나는 호 형태를 갖춘 곳은 WR 134 에서 방출되는 항성풍에 의해 휩쓸려간 물질의 버블 (bubbles) 또는 껍질 (shells) 부분이다.
이 사진은 고리 형태 성운의 밝은 가장자리를 이온화된 황과 수소, 산소 가스의 빛을 통해 강조하고 있으며, 사진의 폭은 약 50 광년 정도이다.
강력한 항성풍으로 외곽 껍질을 잃게 되는 거대한 Wolf-Rayet 별들은 엄청난 속도로 핵연료를 소진하고 극적인 초신성 폭발로 거대 항성 진화의 마지막 단계를 끝낸다.
이러한 항성풍과 초신성 폭발은 무거운 원소들로 성간 물질을 풍부하게 하여 이들이 새로 태어날 별의 원료가 되게 한다.

참고로, Wolf-Rayet star 는 무겁고, 밝으며 엄청난 항성풍이 몰아치는 별들인데, 보통 표면 온도가 아주 뜨거우며 (3만 ~ 20만 K) 강력한 항성풍 (2000 km/s 이상) 으로 인해 자신의 질량을 상실하고 있는 별들이다. (우리 태양이 태양풍으로 상실하는 질량의 약 10억배 정도를 상실한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18.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17일 수요일

Sunspot with Light Bridge

 


Sunspot with Light Bridge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k Johnston


이 사진은 태양의 흑점 중에서 활성 영역인 AR 3297 의 일부를 촬영한 것이다.
흑점은 태양 표면에서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좀더 차갑고 어두운 곳인데, 태양의 복잡한 자기장이 뜨거운 물질들이 흑점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면서 차갑게 만든다고 한다.
이러한 흑점은 지구보다 클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일주일 정도 지속된다.
사진 아래에 찍힌 커다란 흑점을 보면 떠다니는 뜨거운 태양 가스가 어두운 부분을 가로질러 밝은 다리처럼 연결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번 고해상도 사진은 태양 표면이 뜨거운 가스의 분리된 cells 로 이루어진 끓어오르는 융단 같은 모습임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cells 을 granules 이라고 한다.
태양의 granules 은 폭이 약 1000 km 정도이고 15분 정도만 지속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17.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16일 화요일

Total Eclipse : The Big Corona

 


Total Eclipse : The Big Corona


- Image Credit & Copyright : Reinhold Wittich


지난 4월에 있었던 개기일식을 호주의 Exmouth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단노출과 장노출을 이용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만들었는데, 개기일식 동안 발생한 태양 코로나 (Corona)의 특징을 강조하고 있다.
사진에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태양의 뜨거운 가스와 자기장 혼합물의 복잡한 층 (layers)과 빛나는 caustics 를 볼 수 있다고 하는데, 정확히 caustics 를 우리말로 해석을 못하겠다. 빛이 반사나 굴절되어 다른 대상에 맺히는 현상을 말하는 것 같은데, 정확히 표현을 못하겠다.
또한, 태양 가장자리를 따라 분홍빛의 홍염도 볼 수 있다.
이 사진은 개기일식 전후의 몇초 동안 촬영되었는데, 그림자 뒤에서 살짝 보이는 태양 때문에 Baily's Beads 와 diamond ring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Baily's Beads 효과는 일식 때 가장자리에 태양빛이 마치 구슬처럼 이어지는 현상이고, diamond ring 효과는 빛나는 가장자리 전체가 마치 고리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참고할만한 사이트를 링크해본다.
Baily's Beads ; https://en.wikipedia.org/wiki/Baily%27s_beads
diamond ring ; https://apod.nasa.gov/apod/ap170825.html

한편, 다음 개기일식은 2024년 4월 북아메리카에서 있을 예정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16.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15일 월요일

M16 : Eagle Nebula Deep Field

 


M16 : Eagle Nebula Deep Field


- Image Credit & Copyright : Gianni Lacroce


뱀자리 (Serpens, the Serpent) 방향으로 약 6500 광년 거리에 있는 발광 성운 M16 을 촬영한 사진이다.
M16 은 독수리 성운 (Eagle Nebula)이란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데, 폭은 20 광년 정도이고, 쌍안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전체적인 모습이 독수리를 닮았다 하여 독수리 성운이란 이름이 붙었는데, 실상 가까이서 보면 중심부의 밝은 영역이 주변의 더 큰 어두운 먼지 껍질의 중심으로 들어가는 창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창과 같은 밝게 빛나는 영역에서는 산개 성단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어두운 먼지와 차가운 분자 가스들로 이루어진 기다란 기둥과 둥근 소구체들이 남아 있고 그 안에서는 여전히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사진에서도 볼 수 있는 몇몇 젊고 푸르게 빛나는 별들이 별빛과 항성풍을 계속 내뿜으며 남아 있는 필라멘트들과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장벽들을 뒤로 밀어내고 있다.
한편, 이 사진은 촬영에 길고 깊은 노출을 이용했고, 황, 수소, 산소에서 방출되는 빛을 각각 노란색, 붉은색, 파란색으로 특정하여 합성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15.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14일 일요일

Halley Dust, Mars Dust, and Milky Way

 


Halley Dust, Mars Dust, and Milky Way


- Image Credit & Copyright : Petr Horalek / Institute of Physics in Opava


이 사진은 작년 2022년 4월 28일에서 5월 8일 사이에 칠레의 San Pedro de Atacama 에서 촬영된 Eta Aquarids 유성우 사진이다.
사진에는 90여 개의 유성우가 담겨있으며, 물병 자리 (Aquarius)에 유성우의 방사점이 있다.
또한, 하늘엔 우리 은하수가 가로지르고 있고, 사진 중심부를 보면 아래 지평선에서 하늘 방향으로 희미하게 빛이 뻩어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빛은 황도광 (Zodiacal light)이며, 태양계 타원면 근처에 있는 먼지들이 태양빛을 산란시키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리고, 사진에서는 이 황도광을 따라 금성, 목성, 화성, 토성이 줄지어 서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화성이 황도광을 만드는 먼지의 근원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고 한다.
한편, 올해 Eta Aquarids 유성우의 절정은 5월의 밝은 보름달 때문에 시각적으로 관측이 쉽지 않았었는데, 그래도 5월 이른 아침에는 달빛의 방해로부터 자유로웠다 한다.
참고로, Eta Aquarids 유성우는 지구가 1년에 한번 핼리 혜성이 남긴 잔해를 통과할 때 나타나는 유성우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12.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13일 토요일

에티오피아 시다모 물루게타 문타샤 내추럴 (Ethiopia Sidamo Mullugeta Muntasha, natural) - 엘 카페

 


에티오피아 시다모 물루게타 문타샤 내추럴
(Ethiopia Sidamo Mullugeta Muntasha, natural)

엘 카페 커피 로스터스
(El Cafe Coffee Roasters)


- 지역 : Bursa, Arbegona, Sidamo
- 농장 : Mullugeta Muntasha
- 농장주 : Mullugeta Muntasha
- 재배 고도 : 2200 ~ 2350 m
- 품종 : 74158, wolisho
- 가공 방식 : natural

- tasting note : 복숭아, 블루베리, 밀크초콜렛


이번 커피는 아주 오랜만에 엘카페에서 주문했다.
에티오피아 시다모 물루게타 문타샤 커피인데, 한동안 여러 커피집들에서 다뤘던 커피다. 
아마도 인기가 많은 커피인 것 같다.
마셔보니 블루베리로 대표되는 향미가 나름 괜찮았다.

분쇄할 때부터 블루베리 향이 강하게 느껴진다. 굳이 노력하지 않아도 블루베리 향은 그냥 느껴진다.
근데, 좀 깊게 향을 들이마시다 보면, 블루베리 향 전후로 해서 웨하스 과자 같은 향과 건어물 같은 향도 느껴진다.
블루베리 향이 좀 약하게 다가오면 웨하스 같고 좀 강하게 다가오면 건어물 같고 그랬다.
내가 보기엔, 웨하스나 건어물 같은 뉘앙스는 약간의 착각 아닐까 싶다. 모두 블루베리 향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 아닌가 생각된다.
그밖에 꽃향인지 향신료인지 허브인지 모를 향이 하나 있었다. 
밝고 신선한 향이었는데, 구체적으로는 알 수 없었다. 
고소함과 단향은 기본적으로 늘 있었다.

추출 후에도 향들은 비슷했다.
밝고 신선한 향이 약하지만 느껴졌고, 블루베리 향이 주도적이었다.
다만, 추출 커피에서는 복숭아 향이 느껴졌는데, 좀 약했다.
그나마도 며칠 후부터는 거의 느낄 수 없었다. 조금만 강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마셔보니 단순히 블루베리 향미 뿐만 아니라, 과일의 상큼한 신맛이 좋았다.
상큼한 신맛은 거의 항상 느껴졌는데, 다만 푸어오버 방식으로 할 때는 많이 약해졌다.
그리고, 단맛이 아주 좋았다.
또한, 블루베리와 단맛의 여운이 길어 마시고 난 후에도 오래 남았다.

이번 커피에서는 입안에서의 촉감이 흥미로웠는데, 칼리타 드리퍼를 이용했을 때는 오히려 연하게 내렸을 때 더 꽉 차고 부드러우며 매끈한 느낌이 강했고, 하리오 드리퍼를 이용했을 때는 반대로 진하게 추출했을 때 꽉 차고 부드럽고 매끈한 느낌이 더 강했다.
왜 그런지는 잘 모르겠지만 재밌었다.

어찌보면, 블루베리 향미가 너무 주도해서 단순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커피지만, 그럼에도 나름 즐기기 괜찮은 커피 아니었나 싶다.


2023년 5월 12일 금요일

Fomalhaut's Dusty Debris Disk

 


Fomalhaut's Dusty Debris Disk


- Image Credit : NASA, ESA, CSA, 
- Processing : András Gáspár (Univ. of Arizona), Alyssa Pagan (STScI), 
- Science : A. Gáspár (Univ. of Arizona) et al.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이 남어(南魚)자리 (Piscis Austrinus, the Southern Fish) 방향으로 약 25 광년 거리에 있는 별 Fomalhaut 를 촬영한 사진이다.
Fomalhaut 에서 과도한 적외선이 방출되고 있다는 것을 1980년대에 처음으로 알게 되었고, 그후 우주 망원경과 지상 망원경들을 이용해 뜨겁고 젊은 별 주변의 행성계에 대한 증거인 먼지 잔해 원반이 적외선 방출의 근원지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번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의 관측에서는 전에 보지 못한 먼지 잔해 원반의 자세한 부분을 밝혀냈는데, 충돌체에 대한 증거인 외부 고리에서의 커다란 먼지 구름과, 보이지는 않지만 분명 그 안에 존재하는 행성에 의해 만들어지고 유지되고 있는 내부 먼지 원반과 gap 등을 확인하였다.
사진의 거리 단위는 au 가 사용되었으며 왼쪽 하단에 80au 라고 기준치를 적어놨다.
참고로, 1au 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이다.
한편, Fomalhaut 의 외부 먼지 고리까지의 거리는 우리 태양계의 카이퍼 벨트 (Kuiper Belt)까지 거리의 약 2배 정도이다.
카이퍼 벨트는 해왕성 너머에 있는 작은 얼음 조각들과 잔해들로 이루어진 영역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11.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11일 목요일

Milky Way over Egyptian Desert

 



Milky Way over Egyptian Desert


- Image Credit & Copyright : Amr Abdulwahab


지난 3월 중순, 3일에 걸쳐 이집트 서부 사막의 White Desert National Park 에서 촬영된 밤하늘의 모습이다.
White Desert National Park 는 모래 바람에 의해 침식되어 만들어진 수많은 백악층 구조물들이 초현실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멋진 곳인데, 달빛이 없는 맑은 날 밤이면 우리 은하의 중심 띠 부분의 인상적인 색채와 자세한 모습을 눈에 띄게 보여줄 수 있는 멋진 어둠이 있는 곳인 모양이다.
3일에 걸쳐 같은 장소, 같은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이 사진을 얻었는데, 왼쪽 상단에서 사진 중심부까지 이어지는 우리 은하를 볼 수 있고, 오른쪽 상단에는 Rho Ophiuchi 항성운이 자리하고 있으며, 전경에는 베두인 (Bedouin) 전통 의상 (galabyia)을 입은 사람이 서있는 모습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10.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10일 수요일

The Spanish Dancer Spiral Galaxy

 


The Spanish Dancer Spiral Galaxy


- Image Credit : ESA, NASA, Hubble; 
- Processing : Detlev Odenthal


황새치 자리 (Dorado) 방향으로 약 4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NGC 1566 을 촬영한 사진이다.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이 사진을 보면, NGC 1566 이 정면으로 보이면서 두 개의 나선팔과 그 나선팔을 따라 펼쳐져 있는 푸른빛의 성단들과 어두운 먼지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NGC 1566 은 수십억 개의 별을 지니고 있고, 중심에는 아주 밝은 활동성 핵이 있어, 가장 가깝고 가장 밝은 Seyfert galaxy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또한, 중심에는 거대한 블랙홀이 있어 주변의 별과 가스들을 파괴하고 있다.
한편, 허블우주망원경이 NGC 1566 에 대해 많은 이미지를 촬영하였는데, 이들 자료는 누구나 다운로드하고, 합성하고 가공해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들 이미지들은 NGC 1566 의 별 형성과 초신성, 나선 은하의 활동성 중심핵에 대한 연구를 위해 활용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08.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19년 7월 3일과 2022년 1월 14일에도 올렸었는데, 2019년 7월 3일 자료는 이번 것과 글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며, 2022년 1월 14일 자료는 글과 사진이 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576280535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621990767


2023년 5월 5일 금요일

Shackleton from ShadowCam

 


Shackleton from ShadowCam


- Image Credit : NASA, ShadowCam,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Arizona State University


이 사진은 지난 2022년 8월에 발사된 우리 나라의 달 탐사선인 다누리 호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KPLO))가 촬영한 사진이다.
촬영한 곳은 달 남극에 위치한 Shackleton 크레이터인데, 지름이 21km 에 이르는 주변 봉우리는 햇빛을 받고 있지만, Shackleton 크레이터의 바닥은 영구적으로 햇빛을 받지 않는 곳이다.
하지만, 주변 지형이 햇빛을 반사하면서 그로인해 빛을 받기는 한다.
Shackleton 크레이터의 그늘진 테두리 벽과 바닥을 촬영한 이 사진은 다누리 호에 탑재된 NASA의 ShadowCam에 의해 촬영되었는데, ShadowCam은 예전의 달 정찰 궤도선 (Lunar Reconnaissance Orbiter)의 Narrow Angle Camera 보다 약 200배 정도 감도가 좋으며, 달 표면의 영구 음영 지역을 촬영하기 위해 설계된 카메라이다.
햇빛을 직접 받지 않는 영구 음영 지역은 고대 혜성 충돌에 의해 축적된 얼음 형태의 물과 다른 휘발성 물질들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미래 달 탐사에 있어 유용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한편, 사진 상단에 화살표로 표시된 것은 Shackleton 크레이터의 벽을 따라 굴러 내려온 단일 바위에 의해 만들어진 자국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05.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3일 수요일

Centaurus A : A Peculiar Island of Stars

 


Centaurus A : A Peculiar Island of Stars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co Lorenzi, Angus Lau & Tommy Tse; 
- Text : Natalia Lewandowska (SUNY Oswego)


켄타우루스 (Centaurus) 자리 방향으로 약 12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 NGC 5128 을 촬영한 사진이다.
Centaurus A 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이 은하는 밤하늘에서 5번째로 밝은 은하이며, 중심의 활동성 은하핵에는 우리 태양보다 질량이 5500만 배나 되는 거대 블랙홀이 자리하고 있다.
블랙홀에서는 전파 영역과 X-ray 영역 모두에서 볼 수 있는 제트 (jet)가 빠르게 방출되고 있으며, 제트의 필라멘트들이 사진의 왼쪽 상단 방향으로 붉은 색으로 보여지고 있다.
그리고, 은하의 모습을 보면 뒤틀린 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는 과거에 나선 은하와 타원 은하가 충돌하여 합쳐진 결과이다.
은하에서는 오직 중력만이 별과 먼지, 성간 가스와 별의 잔해, 그리고 암흑물질까지 함께 뭉치게 만들 수 있다.
한편, Event Horizon Telescope 에 의한 새로운 관측은 제트가 오직 그 가장자리 방향으로만 밝아진다는 것을 밝혀냈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 바가 없고 계속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인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03.html 이곳에서...


2023년 5월 2일 화요일

케냐 시루우 AA (Kenya Sirwo Estate AA) - 베르크 커피

 


케냐 시루우 AA
(Kenya Sirwo Estate AA)

베르크 커피
(Werk Coffee Roasters)


- 지역 : 키테일 (Kitale)
- 재배 고도 : 1600 ~ 1800 m
- 품종 : Ruiru11, Batian, SL28, SL34
- 가공 방식 : washed

- tasting note : tomato, blackcurrent, brown sugar


이번 커피는 부산에 있는 베르크 커피에서 주문해봤다.
베르크 커피에서는 처음 주문해보는 건데, 커피를 먹어보니 아주 괜찮았다.
테이스팅 노트에 '토마토'라고 적혀 있어서 호기심에 주문해봤고, 흥미롭게도 정말 토마토나 토마토 소스 같은 향미가 느껴졌다.

원두 봉투를 열어보고 원두가 너무나 깔끔해서 조금 놀랐다.
로스팅 후에도 원두 관리를 하는건지 모르겠지만, 깔끔한 상태가 참 좋았다.
그리고, 분쇄하자마자 느껴지는 토마토 향이 흥미로웠다.
어찌보면, 스파게티에 들어가는 토마토 소스 같은 느낌이었는데, 커피에서 이런 향이 느껴진다는 것이 재밌었다.
다만, 이 향은 날짜가 흐를수록 조금씩 약해져서 일주일 쯤 후에는 느끼기 어려웠는데, 그래도 드문 드문 느껴지긴 했다.
그밖에 나는 자몽 향도 느꼈고, 전체적으로 과일향이 상큼하고 진득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또한, 견과의 고소함도 있었고, 단향은 부드러우면서도 뚜렷하게 느껴졌다.

추출커피에서도 비슷했는데, 역시나 토마토 소스 같은 느낌과 자몽 뉘앙스가 있었고, 과일향이 상큼하면서 과일 쥬스나 과일즙 같은 뉘앙스로 느껴지기도 했다.
고소함과 단향도 비슷하게 느껴졌다.

이런 향들이 마실 때에도 거의 그대로 느껴졌는데, 전체적으로 과일 향미가 아주 상큼하게 다가와 상큼한 과일의 신맛이 좋았다.
그 속에서 자몽이나 토마토 같은 뉘앙스가 느껴졌지만, 이런 개별적인 향미 보다는 과일 쥬스 같은 상큼함이 크게 다가왔다.
단맛도 워낙 좋아서 부드러우면서도 아주 강하게 느껴져서 다 마시고 난 후에도 과일의 상큼한 신맛과 더불어 오래도록 남았다.
그러고보면, 과일의 신맛과 단맛의 조화가 아주 좋은 커피 아니었나 싶다.
아, 그리고 하나 더 덧붙이자면, 입안에서의 촉감도 아주 좋았다.
부드러우면서도 매끄러운 느낌이 비단결 같다고 해야할까. 보통 이런 경우 silky 라는 표현을 쓰는 것 같다.

전체적으로 어느 요소 하나 빠지는 것이 없이 대체로 만족할만한 커피였다.
다만, 날짜가 지날수록 토마토 뉘앙스가 조금 약해지긴 했지만, 이런 개별적인 항목 보다 종합적인 면에서 과일의 상큼한 신맛과 단맛이 아주 좋은 커피였다.


2023년 5월 1일 월요일

Carina Nebula North

 



Carina Nebula North


- Image Credit & Copyright : Carlos Taylor


용골 자리 (Carina, the Keel) 방향으로 약 8500 광년 거리에 있는 Carina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은 Carina Nebula 중에서도 가장 북쪽 부분을 아주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Carina Nebula 는 오리온 성운 (Great Orion Nebula) 보다도 더 크고 더 밝은 별 생성 영역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덜 유명하다.
이유는 Carina Nebula 가 남반구에서 관측이 가능한데 대부분의 인류가 북반구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암튼, 사진을 보면, 왼쪽 하단에 작은 산개 성단 (NGC 3324)을 둘러싸고 있는 빛나는 가스의 발광 성운 (IC 2599)으로 구성된 Gabriela Mistral Nebula 가 위치하고 있고, 사진 중심부 바로 위쪽에 더 큰 산개 성단인 NGC 3293 가 자리하고 있다.
또한, NGC 3293 의 오른쪽엔 발광 성운 Loden 153 이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사진에는 Carina Nebula 의 가장 유명한 구성원이 보이지 않는데, 그것은 바로 Eta Carinae 로 알려진 별이다.
이 별은 사진에서 보이지 않지만, 사진 바깥 오른쪽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Eta Carinae 는 한때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중 하나였고, 앞으로 수백만년 내에 초신성 폭발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501.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2년 1월 31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거의 같고 사진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636035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