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30일 수요일

과테말라 라 레포르마 (Guatemala La Reforma) - 커피몽타주

 


과테말라 라 레포르마
(Guatemala La Reforma)

커피몽타주
(Coffee Montage)


- 지역 (Region) : Agua Dulce, Huehuetenango
- 농장 (Farm) : La Reforma
- 농장주 (Farmer) : Leonardo Rene Perez Hidalgo
- 품종 (Variety) : Typica, Geisha
- 재배 고도 (Altitude) : 1600 ~1750 m
- 가공 방식 (Process) : Washed

- Tasting note : Black tea, Green apple, Apricot, Vanilla, Cane sugar


커피몽타주에서 할인할 때 구매한 커피인데, 가격을 생각하면 꽤 괜찮은 커피인 것 같다.
테이스팅 노트에 홍차가 적혀 있어서 좀 망설였는데, 마셔보니 별 거부감없이 마실만 했다.
홍차라는게 워낙 다양한 종류가 있어서 몇몇 차들은 입에 안맞는 경우가 있다보니 커피에서 홍차 뉘앙스가 느껴지는 것에 대해 약간의 경계심이 있는 편인데, 이 커피는 그 정도는 아니었던 것 같다.
하지만, 그래도 차의 뉘앙스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이 커피가 좋은 선택은 아닐 것 같다.

암튼, 분쇄해보니 정말 청사과나 차의 뉘앙스가 있었는데, 나는 이상하게 두 향이 서로 연결된 듯한 느낌을 받았다.
당연히 나의 착각이겠지만, 며칠동안 마시는 내내 그랬다.
고소함과 단향은 그냥 일반적이었고, 간간히 화한 허브향이 느껴졌는데 확실치는 않다.
추출커피향도 그다지 특별할 건 없었는데, 다만 단향이 참 좋았다. 뭔가 부드러우면서도 깊은 향이었다.

마시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건 역시나 단맛이었다.
부드럽고 깊은 단맛과 강하지는 않지만 은은한 과일의 신맛이 함께 느껴지면서 상당히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단맛이 여운도 길어서 마시고 난 뒤에도 참 기분좋게 만들어 주었다.
한편, 청사과나 차의 뉘앙스는 마실 때에도 느껴지긴 했는데, 나에게는 그다지 인상깊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봤을때 충분히 즐길만한 커피였던 것 같다.
단, 추출 시간과 추출양의 조절이 어긋나게 되면 부드럽고 깊은 단맛을 느끼기 힘들게 되어서 주의가 좀 필요한 것 같았다.


2020년 12월 28일 월요일

M16 : Inside the Eagle Nebula

 


M16 : Inside the Eagle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Nicolas Paladini


뱀자리 (the Serpent, Serpens) 방향으로 약 65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독수리 성운, M16 의 모습이다.
사진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그 모습이 독수리를 닮았다 하여 독수리 성운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실제로 가운데 밝은 부분은 어두운 먼지층의 중심으로 들어가는 창 역할을 한다고 한다.
그리고, 중심부 밝은 부분에 산개성단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먼지로 이루어진 기둥들과 둥근 구체들, 차가운 분자 가스들이 자리하고 있는데 이런 것들에서 새로운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몇몇 젊고 푸른 별들은 빛과 항성풍을 방출하면서 주변의 필라멘트들과 먼지, 가스 등을 몰아내고 있다고 한다.
한편, 독수리 성운의 폭은 대략 20 광년 정도이며 쌍안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01228.html 이곳에서...


2020년 12월 26일 토요일

Fox Fur, Unicorn, and Christmas Tree

 


Fox Fur, Unicorn, and Christmas Tree


- Image Credit & Copyright : Miguel Claro (TWAN, Dark Sky Alqueva)


외뿔소 자리 (Monoceros) 방향 27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별 생성 영역 NGC 2264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이곳에는 워낙 잘 알려진 성운과 성단이 있는데, 새로 태어난 별에서 방출되는 빛 때문에 붉게 보이는 발광 성운도 있고, 젊고 뜨거운 별 근처에 있는 먼지 구름이 별빛을 반사하여 파랗게 보이는 반사 성운도 있다.
사진의 중심부 파란 부분의 바로 왼편에는 Fox Fur Nebula 가 위치하고 있는데 이 사진에서는 그리 선명하지 않지만 세밀하게 촬영된 다른 사진을 보면 실제 여우털처럼 보이는 멋진 성운이다.
또한, 사진 중심부에서 오른쪽에 원뿔처럼 파인 부분이 Cone Nebula 이고, 이 Cone Nebula 의 꼭지점을 성탄 트리의 꼭지점으로 공유하면서 사진 중심부 파란 부분을 성탄 트리의 밑 부분으로 하는 영역에 여러 별들이 모여 있는데 이들 별들이 성탄 트리에 달린 것처럼 보여서 이 성단을 Christmas Tree star cluster 라 한다.
그리고, 사진 중심부 파란 반사 성운 내에는 변광성인 S Monocerotis 가 있다.
한편, 이 사진의 폭은 약 8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01226.html 이곳에서...


2020년 12월 24일 목요일

...


11년을 사용했던 휴대폰이 망가졌다.
오늘 임시로 단기 임대폰을 신청해 받았다.
이런 서비스가 있는 줄 몰랐는데, 나름 만족한다.
근데, 난 이걸로 스마트폰을 처음 사용해본다.
대략 난감이다.


...


우리가 말할때 흔히 '판사, 검사' 라 하지 않고 '판검사' 라 하는 것이 다 이유가 있었던거다.
초록은 동색이다.


2020년 12월 15일 화요일

...



대전도 거리두기 2단계로 상향되면서 15평 이상 카페들은 테이크아웃만 가능하도록 했었는데, 불과 며칠 지나지 않아 다시 카페 내에서 착석이 가능하도록 한 모양이다. 다들 앉아서 음료를 마시고 있더라.
카페 주인장에게 왜 이렇게 되었냐고 물어보니 식당들은 매장 내 영업을 하는데 카페만 안되는게 불공평하다고 민원이 제기되어서 그렇게 된 것 같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들으면서 좀 어이가 없었다.
전국적으로 거리두기 상향되고 더 엄격하게 지켜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민원 때문에 그걸 풀어준다는 게 이해가 안된다.
더군다나 오늘 뉴스를 보니 이재명 도지사가 수도권 3단계 격상을 선제적으로 해야 한다고 하는 것에 대전 시장도 찬성 했다고 하는데, 이게 도대체 뭐하는 짓인가 싶다.
이걸 찬성하면서 규제는 왜 풀어준건가 ? 이건 뭐 인지부조화도 아니고...


2020년 12월 11일 금요일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게뎁 (Ethiopia Yirgacheffe Gedeb) - 테라로사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게뎁
(Ethiopia Yirgacheffe Gedeb)

테라로사
(Terarosa)


- 지역 : Gedeb, Yirgacheffe
- 재배 고도 : 1800 ~ 2200 m
- 품종 : 토착종
- 가공 방식 : washed
- 수확 : 2020년 1 ~ 2월

- tasting note : 천도복숭아, 살구, 꿀, 스파이시한 풍미


어쩌다보니 다시 에티오피아 커피를 주문하게 되었다.
특히나 예가체프 지역의 커피들은 다른 커피에 비해 그래도 자주 접해본 커피들이라 향미가 어느 정도 상상이 되는 편인데, 이 커피도 딱 그 상상만큼 다가온 커피였다.
약간 충동 구매한 면이 없지 않은데, 늘 그렇듯이 tasting note 의 영향도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도 유감스럽게 적혀 있는 향미가 다 느껴지지는 않았다.
평범한 에티오피아 커피처럼 상큼한 과일의 신맛과 단맛의 조화가 좋았던 커피였다.

늘 기대하면서 원두를 분쇄하는데, 이번 커피는 좀 평범했다. 그리고 생각보다 향이 좀 약했다.
과일향도 있고, 민트 계열인지 확실치는 않지만 화한 느낌의 허브향도 있었고, 고소함과 단향이 있었는데, 이들 향들이 그리 강하지 않았다.
오히려 좀 약한편이었다.
더군다나 추출 향은 더 약해서 며칠동안 내리면서 항상 내가 뭘 잘못하고 있나 생각될 정도였다.
추출 향 같은 경우는 달고 고소한 느낌 이외에는 너무나 약해서 좀 실망이었다.

그래도 다행인건 마시면서 느껴지는 향미는 만족스러웠다는 점이다.
다양하진 않았지만, 여전히 허브 향이 느껴졌고, 과일향과 고소함, 단맛 등이 있었는데, 특히나 상큼한 과일의 신맛과 시럽같은 단맛의 조화는 상당히 괜찮았다.
이렇게 신맛과 단맛의 조화에 중점을 두고 이 커피를 즐긴다면 어느 정도 만족하지 않을까 싶다.
그밖에 뒷맛은 평범한 편이었고, 입안에서의 느낌은 좀 가벼운 편이었다.

한가지 덧붙이자면, 개인적으로는 하리오 보다는 칼리타 드리퍼를 추천하고 싶다.
칼리타로 했을때 상큼한 과일의 신맛이 더 잘 살아나는 느낌이었다.
칼리타를 이용해 굵지도 가늘지도 않은 중간 물줄기로, 커피 20g 에 추출량 230 ml 정도 추출했더니 제법 맛있는 커피를 즐길 수 있었다.


2020년 12월 10일 목요일

Simeis 147 : Supernova Remnant

 


Simeis 147 : Supernova Remnant


- Image Credit & Copyright : Georges Attard


복잡하게 실타래가 얽힌 것처럼 생긴 이 성운은 초신성 폭발의 잔해인 Simeis 147 (Sharpless 2-240) 이다.
필라멘트들이 복잡하게 뒤엉킨 모습 때문에 Spaghetti Nebula 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데, 거리는 약 3000 광년 정도이고, 위치는 황소 자리 (Taurus)와 마부 자리 (Auriga) 경계에 있으며, 크기는 대략 150 광년 정도이다.
성운의 모습에서 붉은 빛은 이온화된 수소 원자 때문이며 옅은 청록 빛은 산소 원자 때문이고, 이 초신성 폭발이 발생한지는 약 40000년 정도 된다.
근데, 초신성 폭발로 인해 이런 성운만 잔해로 남은게 아니고 폭발을 일으킨 별의 핵이 남아 중성자별 또는 pulsar 가 된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01210.html 이곳에서...


2020년 12월 7일 월요일

2020년 12월 5일 토요일

...


고작 이렇게 검사들에게 휘둘리는 나라 보겠다고 우리가 그 추운 겨울날 촛불 들고 거리로 나왔었던건가 ?

나라를 망친 수구 세력들이 다시 지지율이 오르는 것을 보겠다고 우리가 촛불을 들었던건가 ?

도대체 사람들은 왜 촛불을 들었던걸까 ?


2020년 12월 3일 목요일

The Antennae Galaxies in Collision

 


The Antennae Galaxies in Collision


- Image Credit : ESA/Hubble NASA


남쪽 까마귀 자리 (Corvus) 방향으로 60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Antennae Galaxies 의 모습을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이다.
예상했듯이, Antennae Galaxies 는 충돌하고 있는 두 은하를 통칭한 이름인데, 두 은하는 각각 NGC 4038 과 NGC 4039 이다.
두 은하의 충돌이 완료되려면 앞으로도 수억년의 세월이 지나야 하는데, 충돌하는 과정에서 두 은하에 속한 별들이 서로 충돌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오히려 중심부에 있는 거대한 분자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구름대에서 많은 별들이 격렬하게 만들어지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성단과 성간 물질들이 중력 작용에 의해 서로 뒤엉키며 튕겨나가고 있는 모양이다.
한편, 이 사진의 폭은 대략 50000 광년 정도이고, 길게 휘어진 은하들의 길이는 수십만 광년이나 된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01203.html 이곳에서...


2020년 12월 2일 수요일

그냥 궁금해서...


- 문재인 정부의 법무부장관은 쓰다 버리는 도구일 뿐인가 ?
- 검찰총장의 임기를 지키는 것과 검찰 농단을 막기 위해 대통령의 권한을 행사하는 것 사이에 어느 것이 원칙인가 ?
- 원칙과 비겁함의 차이는 무엇인가 ?
- 선거가 세상을 바꾸는 기능을 할 수 있는가 ?
- 도덕 선생님같은 리더와 무지한 대중의 만남은 축복인가, 재앙인가 ?
- 원칙은 늘 선(善)인가 ?


2020년 12월 1일 화요일

NGC 346 : Star Forming Cluster in the SMC

 


NGC 346 : Star Forming Cluster in the SMC


- Image Credit & License : NASA, ESA, Hubble; 
- Processing : Judy Schmidt


사진에 실린 NGC 346 은 많은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영역으로,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인 소마젤란운 (Small Magellanic Cloud, SMC)에 위치하고 있는데, 사진 속 오른쪽에서부터 왼쪽 아래 방향으로 길게 늘어선 먼지층을 따라 원시별 (아직 완전히 만들어지지 않은 배아 상태의 별) 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갓 태어난 별들의 빛이 먼지층의 간섭에 의해 붉게 보여지고 있다.
또한, 사진의 상단에는 만들어진지 오래된 붉은 빛을 띄는 또 다른 성단이 위치하고 있다.

왜소 불규칙 은하인 소마젤란운은 초기 우주의 일반적인 은하 형태를 갖고 있는데, 이런 작은 은하들이 현재의 큰 은하를 만드는 기본 요소가 되는 모양이다.
한편, 이 사진은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했고, 소마젤란운은 큰부리새 자리 (Toucan) 방향으로 겨우 21만 광년 거리밖에 안되며, NGC 346 은 그 폭이 20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01201.html 이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