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9월 29일 금요일

[FOLK] 한대수 - 행복의 나라로 | 가사 (Lyrics)


<행복의 나라로>

한대수


요즘 우연히 TV 광고를 보다가 듣게 되었는데, 광고에 이 곡이 나올줄 몰랐다.
제목과는 달리 나는 이 노래를 들을 때마다 좀 슬프다.
근데, 뭐 그런걸 떠나서 그냥 들으니 좋다.


2023년 9월 28일 목요일

The Deep Lagoon

 


The Deep Lagoon


- Image Credit & Copyright : Josep Drudis, Christian Sasse


우리 은하 중심부 궁수 자리 (Sagittarius) 방향으로 약 5000 광년 거리에 있는 Lagoon Nebula 를 촬영한 사진이다.
M8 로도 알려져 있는 Lagoon Nebula 는 빛나는 성간 가스와 어두운 먼지 구름으로 이루어진 능선이 자리하고 있는 밝은 별 생성 영역이다.
사진은 폭이 40 광년 정도되는 Lagoon Nebula 의 중심부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온화된 수소 원자들이 분리된 전자들과 재결합 하면서 붉은 빛을 내고  있다.
또한, 사진에서 모래시계처럼 생긴 밝은 부분은 거대한 젊은 별에서 나오는 강한 항성풍과 복사에너지에 의해 만들어진 이온화된 가스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28.html 이곳에서...


에티오피아 넨세보 레피사 워시드 (Ethiopia Nensebo Refisa, washed) - 커피 몽타주

 


에티오피아 넨세보 레피사 워시드
(Ethiopia Nensebo Refisa, washed)

커피 몽타주
(Coffee Montage)


- 지역 (Region) : Nensebo, West Arsi
- 농장 (Farm) : Refisa Washing Station
- 농부 (Farmer) : small holders
- 품종 (Variety) : Wolisho, Kurume, 74110 & 74112
- 재배 고도 (Altitude) : 1950 ~ 2100 m
- 가공 방식 (Process) : washed

- Tasting note : Earl Grey, Blueberry, Plum, Grape, Chocolate


이번 커피는 커피 몽타주의 에티오피아 커피다.
그런데, 평소에 느끼던 에티오피아 커피의 느낌이 아니어서 많이 당황했다.
에티오피아 하면 으레 상큼한 과일 맛과 여러 다채로운 향들이 생각나는데, 이번 커피는 그런 느낌을 거의 받지 못했다.

분쇄하면서 처음 느낀 향은 마른 풀이나 지푸라기 같은 향이었고, 뒤이어 오는 무거운 향은 마치 퇴비 같았다.
순간 너무 당황스러워 여러번 다시 맡아봤는데, 마찬가지였다.
내가 지금껏 경험해본 에티오피아 중에 최악 아닌가 생각이 들었다.
또한, 추출 후에 느껴지는 향들도 대체로 다르지 않았다.
마른 풀 같은 느낌이 있었고, 과일향이 있긴 했지만 인상적이지 않았다.
마시면서도 비슷했는데, 대체로 상큼함이 거의 없었고, 마른 풀 같은 느낌과 밋밋한 과일 뉘앙스가 있었다. 

그런데, 첫 날의 인상과는 다르게 점차 날이 갈수록 커피가 조금씩 괜찮아졌다.
마른 풀 같은 느낌은 계속 되었지만 그것이 점차 차(茶)같은 뉘앙스로 변해갔다.
과일 향미는 여전히 약했지만, 커피를 진하게 내리면 그래도 상큼함을 느낄 수 있었고 약간 베리 같은 뉘앙스로 다가왔다.
그래서, 처음부터 연하게 추출하는 것보다 처음에 진하게 내린 후 물을 넣어 희석하는게 더 맛이 좋았다.
다 마시고 난 후에도 차(茶)같은 뉘앙스가 남았는데, 그밖의 특별한 느낌은 없었다.

날이 갈수록 점점 먹을만한 커피라 생각이 되었지만, 그래도 생각보다 상큼함이 너무 부족했고 과일 향미도 약했으며, 마른 풀 같은 뉘앙스가 거부감이 들었다. 아무래도 내 취향과는 맞지 않는 커피였다.


2023년 9월 27일 수요일

STEVE and Milky Way Cross over Rural Road

 


STEVE and Milky Way Cross over Rural Road


- Image Credit & Copyright : Theresa Clarke


캐나다 온타리오 (Ontario) 주에서 촬영된 Strong Thermal Emission Velocity Enhancement (STEVE) 라는 특이한 오로라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STEVE 는 자주색과 녹색 빛을 띄는 리본 형태의 대기 광학 현상으로, 450 km 정도의 상공에서 25 km 정도의 폭을 지닌 리본 형태의 뜨거운 플라즈마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온도가 3000℃ 정도되며, 6 km/s 정도의 속도로 흘러간다고 한다.
그리고, STEVE 가 그렇게 드문 현상은 아니지만, 아직 알려지지 않은 부분들이 많은 모양이다.
사진에서는 STEVE 와 은하수가 서로 교차하면서 X 자 형태를 만들어 흥미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원문에서는 에세이처럼 글을 적어놨는데, 내용을 모두 옮길 필요는 없을 것 같아 생략했지만, 관심있다면 한번 읽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27.html 이곳에서...


2023년 9월 26일 화요일

IC 4592 : The Blue Horsehead Reflection Nebula

 


IC 4592 : The Blue Horsehead Reflection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Antoine & Dalia Grelin


전갈 자리 (Scorpius, the Scorpion) 방향으로 약 400 광년 거리에 있는 성운 IC 4592 를 촬영한 사진이다.
그 모습 때문에 Blue Horsehead Nebula 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데, 물론 오리온 자리의 유명한 암흑 성운인 Horsehead Nebula (Barnard 33) 와는 다른 성운이다.
IC 4592 는 분자 구름 복합체의 주요 부분으로 반사 성운이다.
반사 성운은 일반적으로 어둡게 보이는 미세한 먼지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먼지들이 근처 별에서 나오는 가시광선을 반사하여 푸른 빛으로 보이게 한다.
IC 4592 의 경우, 빛을 내뿜는 별은 말의 눈 부분에 위치한 별이며, 이 별은 전갈 자리 방향의 밝은 항성계들 중 하나인 Nu Scorpii 에 속한 별이다.
한편, 사진 중심에서 오른쪽으로 약간 윗쪽에 있는 두 개의 별을 둘러싸고 있는 푸른 성운은 또다른 반사 성운인 IC 4601 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26.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1년 7월 5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421464333


2023년 9월 25일 월요일

Arp 142 : The Hummingbird Galaxy

 


Arp 142 : The Hummingbird Galaxy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HLA; 
- Processing & Copyright : Basudeb Chakrabarti


물뱀 자리, 또는 바다뱀 자리 (Hydra, the Water Snake, the Sea Serpent) 방향으로 약 3억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쌍 Arp 142 를 최근에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새처럼 생긴 은하와 그 아래 타원 은하를 통칭하여 Arp 142 라 하는데, 새처럼 생긴 은하는 NGC 2936 이고 그 아래 타원 은하는 NGC 2937 이다.
NGC 2936 은 마치 벌새를 닮았다 하여 Hummingbird Galaxy 라는 별칭을 갖고 있기도 하는데, 원래 수억년 전에는 일반적인 나선 은하들이 그렇듯이 회전하고 별을 만드는 평범한 나선 은하였다.
그런데, 그 밑의 거대한 타원 은하 NGC 2937 과 가까워지면서 중력 상호 작용을 하여 비뚤어지고 왜곡되어 이런 모습이 되었다.
NGC 2936 은 어두운 성간 먼지로 이루어진 필라멘트 뒤로 푸른 빛을 내는 별이 마치 새의 코처럼 보이고, 은하의 중심은 새의 눈처럼 보인다.
은하쌍 Arp 142 를 돌고래 또는 알을 품고 있는 펭귄처럼 보인다고 하기도 하는데, 앞으로 10억년쯤 후에는 두 은하가 합쳐져 하나의 더 큰 은하가 될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25.html 이곳에서...


2023년 9월 23일 토요일

A Ring of Fire Sunrise Solar Eclipse


A Ring of Fire Sunrise Solar Eclipse


- Video Credit : Colin Legg & Geoff Sims; 
- Music : Peter Nanasi


이 영상은 지난 2013년 5월 10일, 이른 아침, 서호주에서 일식 현상과 함께 떠오르는 태양을 촬영한 영상이다.
금환일식 (annular eclipse)은 달이 지구에서 너무 멀리 있어 태양을 다 가리지 못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달의 둘레 전체에 햇빛이 쏟아지는 불의 고리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영상에서는 수평선 바로 위 지구 대기의 높은 굴절로 인해 일식이 납작하게 보이기도 하고, 태양이 점차 떠오르면서 태양과 달이 분리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한편, 다음 금환일식 (annular eclipse)은 10월 14일 토요일에 일어날 것이며, 북미와 남미를 가로지르며 맑은 하늘에서 볼 수 있을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24.html 이곳에서...


2023년 9월 22일 금요일

...


오래전에 민한당 이라는 정당이 있었다.
전두환 정권 시절이다.
옛날 이야기로만 생각했는데, 다시 그런 시절이 온 모양이다.


2023년 9월 19일 화요일

HH 211 : Jets from a Forming Star

 


HH 211 : Jets from a Forming Star


- Credit : NASA, ESA, CSA, Webb; 
- Processing : Tom Ray (DIAS Dublin)


이 사진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적외선 촬영한 Herbig-Haro 211 천체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별들이 만들어질 때 항상 제트 (jets)를 방출하는지는 아직 확실치 않은데, 가스 구름이 중력 수축하여 원반 형태의 천체를 만드는데 이때 회전이 너무 빨라서 원시성으로 수축을 계속하는게 어렵다고 한다. 
그렇다보니 이론가들은 원시성이 제트를 방출하면서 회전이 감소되는 것 아닌가 추정하는 모양이다.
그리고, 이러한 추정은 어린 별들이 제트를 방출하는 것으로 보이는 Herbig Haro objects 와 일치하고 때론 화려한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사진 속 Herbig-Haro 211 은 두 개의 좁은 입자 광선과 함께 붉은 충격파도 볼 수 있는데, 이는 유출되는 물질들이 기존의 성간 가스와 충돌하면서 보여지는 것이다.
한편, Herbig-Haro 211 의 제트는 앞으로 100000 년에 걸쳐 밝아졌다가 희미해졌다가 하면서 그 형태가 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참고로, Herbig Haro objects 는 새로 태어나는 별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제트가 주변 가스와 먼지 구름 등을 충돌, 가열하여 성운 모양으로 빛나는 천체를 말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19.html 이곳에서...


2023년 9월 18일 월요일

The Red Sprite and the Tree

 


The Red Sprite and the Tree


- Credit & Copyright : Maxime Villaeys


이번 달 초 프랑스에서 발생한 Red Sprite 현상을 담은 사진이다.
폭풍우가 피레네 산맥을 지나갈 때 촬영되었는데, Red Sprite 과 들판의 나무를 함께 담아 묘하게 비슷한 느낌을 주고 있다.
Red Sprite 은 일종의 번개로, 성층권 (stratosphere) 바로 위, 열권 (thermosphere) 바로 아래인 중간권 (mesosphere)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전기 방전 현상이다.
원문에서는 Red Sprite 와 나무를 비교하며 글을 써놨는데, 내용은 이렇다.
Red Sprite 는 특이한 형태의 번개인데 반해, 나무는 평범한 식물이다. 
또한, Red Sprite 는 지구 대기권 아주 높은 곳 멀리 있지만, 나무는 축구장 정도 거리의 가까운 곳에 있다.
Red Sprite 는 전자가 빛의 속도에 가깝게 위, 아래로 흐르지만, 나무는 땅에 고정되어 있어 느리다.
Red Sprite 는 하늘을 밝게 빛나게 하지만, 나무는 주로 반사된 빛에 의해 빛을 받아서 어둡다.
그리고, Red Sprite 는 거의 몇분의 1초 정도로 짧은 시간 빛나지만, 나무는 수년 동안 오래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이런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이 사진에서는 묘하게 비슷한 느낌을 주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18.html 이곳에서...


2023년 9월 16일 토요일

Fireball over Iceland

 



Fireball over Iceland


- Image Credit & Copyright : Jennifer Franklin


9월 12일, 북극권 바로 남쪽에 위치한 아이슬란드의 Arctic Henge 에서 촬영된 오로라와 유성의 모습이다.
지자기 폭풍이 있는 동안 유성이 폭발하고 어두운 하늘을 가로질러 북극광이 춤을 추는 듯한 모습을 보였는데, 보름달만큼 밝은 유성은 빠르게 사라지긴 했지만, 길게 늘어지는 유성의 꼬리를 남겼다.
이렇게 유령같은 흔적은 오로라 빛과 함께 고도 60 ~ 90 km 정도의 상층 대기권에서 몇분 동안 떠다녔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16.html 이곳에서...


2023년 9월 14일 목요일

NGC 7331 and Beyond

 


NGC 7331 and Beyond


- Image Credit & Copyright : Ian Gorenstein


페가수스 (Pegasus) 자리 방향으로 약 5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 NGC 7331 을 촬영한 사진이다.
NGC 7331 은 우리 은하와 비슷한 은하인데, 초기엔 나선 성운으로 인식되었었고, Charles Messier 의 18세기 천체 목록에는 포함되지 않은 밝은 은하들 중 하나이다.
NGC 7331 의 은하 원반이 우리 시선 방향으로 조금 기울어져 있어서 망원경으로 장노출 촬영을 하면 강한 깊이감을 불러 일으키는 이미지를 만든다고 한다.
이러한 효과는 NGC 7331 너머에 있는 다른 은하들에 의해 더욱 강조되는데, 가장 눈에 띄는 배경 은하들의 크기가 NGC 7331 의 겉보기 크기의 1/10 정도이기 때문에 약 10배 정도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셈이다.
이렇게 NGC 7331 과 다른 은하들이 가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은 그저 우연이며, 우리 은하의 은하면 위에 있는 이들 은하들의 집단은 Deer Lick Group 으로도 알려져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14.html 이곳에서...


2023년 9월 13일 수요일

NGC 4632 : Galaxy with a Hidden Polar Ring

 


NGC 4632 : Galaxy with a Hidden Polar Ring


- Credit : Jayanne English (U. Manitoba), Nathan Deg (Queen's University) & WALLABY Survey, CSIRO/ASKAP, NAOJ/Subaru Telescope; 
- Text : Jayanne English (U. Manitoba)


이 사진은 polar ring galaxies 라는 독특한 형태의 은하인 NGC 4632 를 촬영한 사진이다.
Polar ring galaxy 는 은하의 극 방향으로 회전하는 고리를 지닌 은하를 말하는데, 고리는 보통 가스와 먼지, 별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은하 원반에 90도 방향으로 회전한다.
NGC 4632 도 은하 나선 원반에 90도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가운 수소 가스 고리로 둘러싸여 있다.
이런 polar ring galaxies 들은 예전에는 별빛을 이용해 발견되었는데, NGC 4632 는 전파 망원경 관측을 통해 polar ring 을 발견한 최초의 은하들 중 하나이다.
이 사진은 사실 고감도 ASKAP (Australian Square Kilometre Array Pathfinder) telescope 으로 관측한 polar ring 과 Subaru telescope 으로 관측한 광학 데이터를 합성하여 만든 사진이다.
천문학자들은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은하 주 원반의 가스를 고리로부터 분리했고 미세한 color gradient (색상 기울기)로 궤도 운동을 추적했다.
Polar ring 이 존재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은하가 동반 은하와 중력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끌어 온 물질일 것이란 추정이 있고, 또는 그물망처럼 이루어진 우주 필라멘트를 따라 흐르는 수소 가스가 은하 주위의 고리에 고착되고 그중 일부가 중력 수축하여 별이 된다고 하는 추정이 있는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13.html 이곳에서...


2023년 9월 10일 일요일

코스타리카 핀카 VOO 무산소 내추럴 (CostaRica Finca VOO Anaerobic Natural) - 커피 리브레

 


코스타리카 핀카 VOO 무산소 내추럴
(CostaRica Finca VOO Anaerobic Natural)

커피 리브레
(Coffee Libre)


- 농장명 : 핀카 VOO (Finca VOO)
- 농장주 : 아이반 솔리스 (Ivan Solis)
- 지역 : 따라주 (Tarrazu)
- 재배 고도 : 1960 m
- 품종 : 레드 카투아이 (Red Catuai)
- 가공 방식 : 무산소 내추럴 (Anaerobic Natural)

- Cupping note : 체리, 자두, winy, 초콜렛


이번 커피는 커피 리브레의 코스타리카 커피를 선택해봤다.
무슨 생각이었는지 가공법은 확인하지 않고 커핑 노트만 보고 주문을 했다.
커피 이름에 "무산소"라는 말이 적혀 있었는데, 이상하게 눈에 띄지 않았다.
그래도 다행히 무산소 특유의 향이 강하지 않아서 그리 거부감은 없었다.

커피를 분쇄하면서 커핑 노트에 적힌 향들을 내가 느낄 수 있길 바랬는데, 예상대로 그렇지 못했다.
그래도 첫날은 분쇄 커피 향에서 체리향과 자두, winy, 초콜렛 등의 향들을 어느 정도 느낄 수 있었다.
그런데, 둘째날부터는 잘 느낄 수 없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체리 향 보다는 베리 향처럼 느껴졌고, 과일과 허브가 뒤섞인 듯한 향들이 느껴졌다.
원두 봉투를 열고 향을 맡아보면 분명 초콜렛 향이 느껴졌는데, 분쇄하고 나서는 느끼기 힘들었다.
그렇게 분쇄 커피에서는 주로 베리 같은 과일 향과 허브 향 등이 느껴졌고, 무산소 특유의 향이 조금씩 느껴졌다.
추출하고 나서도 향들은 비슷해서, 약한 무산소 특유의 향과 베리 같은 향, 허브 등이 느껴졌다.

마시면서도 크게 다르지 않았는데, 먼저 상큼한 과일향이 느껴졌고, 뒤이어 베리같은 향과 화한 허브 같은 향 등이 느껴졌다.
물론, 무산소 특유의 향도 느껴졌다. 무산소 향은 주로 무겁고 인공적이며 발효된 듯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첫날부터 마지막 날까지 계속해서 커핑 노트의 향들이 느껴졌으면 좋았을텐데, 그렇지 못해 좀 아쉬웠다.
물론, 커피의 문제라기 보다는 나의 커핑 능력 부족 탓이겠지만, 늘 커피 본연의 향미를 제대로 느끼지 못하는게 참 아쉽다.


2023년 9월 9일 토요일

Comet Nishimura Grows

 


Comet Nishimura Grows


- Credit & Copyright : Peter Kennett


지난 달에 처음 발견된 혜성 Nishimura 가 태양에 점점 가까워지면서 이젠 제법 밝아지고 꼬리도 더 길어진 모양이다.
이 사진은 나흘 전 미국, 뉴멕시코 주, Edgewood 에서 촬영되었는데, 지구 궤도 안쪽으로 들어오면서 육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아졌고, 태양풍과의 상호 작용으로 만들어지는 기다란 이온 꼬리도 보여주고 있다.
혜성 Nishimura 는 다음 주에 지구와 가장 가까워질 것이고, 그 다음 주인 9월 17일에 태양과 가장 가까운 지점을 지날 것이라 한다.
혜성 Nishimura 가 내부 태양계에 마지막으로 방문했을 때 떨어져 나온 얼음과 먼지가 해마다 12월에 절정을 이루는 Sigma Hydrids 유성우를 만들었을 것이라 추정되고 있는데, 만약 그렇다면 이 유성우는 새로운 혜성 잔해로 인해 더욱 활발해질 수 있을 것이라 한다.
앞으로 며칠 동안 아침 해가 뜨기 직전 동쪽 지평선 근처에서 이 혜성을 볼 수 있고, 다음 주에는 일몰 직후 서쪽 지평선 근처에서 이 혜성을 볼 수 있을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09.html 이곳에서...


2023년 9월 8일 금요일

Star Factory Messier 17

 


Star Factory Messier 17


- Image Credit & Copyright : Kim Quick, Terry Hancock, and Tom Masterson (Grand Mesa Observatory)


궁수 자리 (Sagittarius) 방향으로 약 5500 광년 거리에 있는 성운 M17 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는 우리 은하 중심부의 별들을 배경으로 희미하게 보여지는 가스와 먼지 구름들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M17 의 가스와 먼지로 부터 만들어진 뜨겁고 거대한 별들이 항성풍과 강력한 빛을 뿜어내고, 이러한 항성풍과 빛이 남아있는 성간 물질들을 천천히 깎아내며 동굴같은 모습과 물결같은 형태를 만들어 냈다.
한편, M17 은 Omega Nebula 또는 Swan Nebula 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고, 폭은 약 30 광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08.html 이곳에서...


2023년 9월 7일 목요일

The Large Cloud of Magellan

 


The Large Cloud of Magellan


- Image Credit & Copyright : Chris Willocks


황새치 자리 (Dorado) 방향으로 약 160000 광년 거리에 있는 대마젤란운 (Large Magellanic Cloud, LMC)을 촬영한 사진이다.
16세기 포르투갈 항해사 Ferdinand Magellan 과 그의 선원들은 첫번째 지구 일주 항해 동안 남쪽 하늘을 연구할 시간이 많았다 한다.
그 결과 남반구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흐릿한 구름처럼 보이는 두 개의 천체를 발견하고 Clouds of Magellan 라 불렀던 모양이다.
이것이 오늘날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인 대마젤란운 (Large Magellanic Cloud, LMC)과 소마젤란운 (Small Magellanic Cloud, SMC)이다.
대마젤란운은 폭이 15000 광년 정도로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들 중 가장 크며, 현대에 가장 가까운 (최근의) 초신성인 SN 1987A 를 품고 있다.
한편, 사진의 상단 부분에 울긋불긋하게 눈에 띄는 부분이 있는데, 이는 Tarantula Nebula 또는 30 Doradus 라고 알려져 있는 성운으로 폭이 1000 광년 정도의 거대한 별 생성 영역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07.html 이곳에서...


2023년 9월 6일 수요일

...


올해는 가을이 참 더디게 오는 느낌이다.
아직도 덥다.
이러다 왔는지도 모르게 가는 것 아닌지 모르겠다.
왔는지도 모르게 가는게 가을 뿐이면 좋겠는데, 삶 또한 그렇게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HESS Telescopes Explore the High-Energy Sky


HESS Telescopes Explore the High-Energy Sky


- Credit & Copyright : Video Credit & Copyright : Jeff Dai (TWAN), H.E.S.S. Collaboration;
Music: Ibaotu catalog number 1044988 (Used with permission)


2003년부터 나미비아 (Namibia)에서 운영되고 있는 High Energy Stereoscopic System (H.E.S.S.) Observatory 를 지난 6월에 촬영한 영상이다.
H.E.S.S. Observatory 는 28m 거울이 있는 망원경을 둘러싸고 있는 4개의 12m 반사 거울 망원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전 입자가 공기 중에서 빛의 속도보다 조금 더 빠르게 움직일 때 방출되는 청색광의 이상한 깜빡임 (Cherenkov radiation)을 감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빛은 먼 곳에서 온 감마선이 지구 대기의 분자와 부딪혀 하전 입자가 쏟아질 때 방출된다.
그리고, H.E.S.S. 는 우주를 횡단하는 일부 고에너지 광자 (the highest energy photons (TeV))에 민감하다.
또한, H.E.S.S. 는 암흑 물질을 연구해왔고, 초신성 잔해와 초거대 블랙홀을 지닌 은하들의 중심 등을 포함해 고에너지 복사에너지를 방출하는 곳을 50여개 이상 발견하였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06.html 이곳에서...


2023년 9월 5일 화요일

Blue Supermoon Beyond Syracuse

 


Blue Supermoon Beyond Syracuse


- Credit & Copyright : Kevin Saragozza


지난 8월 마지막날 떠오른 슈퍼문 (supermoon)을 이탈리아의 시칠리아, Syracuse 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근데, 이번 슈퍼문은 평범치 않은 보름달이었던 모양이다.
우선은 blue moon 이라는 점이 특별하다.
Blue moon 은 같은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뜰때, 그 두 번째 보름달을 의미한다.
올해는 보름달이 13번 뜨기 때문에 어느 달인가는 보름달이 두 번 뜨게 되는데, 지난 8월이 그런 달이었다.
8월 1일에 첫번째 보름달이 떠올라서 그 이름을 Sturgeon Moon 라 했고, 마지막 날 두 번째 보름달이 뜬 것이다.
8월 마지막 날 보름달이 특별했던 두 번째 이유는 슈퍼문이었기 때문이다.
슈퍼문은 달이 지구에 상대적으로 가까울 때 나타나는 보름달인데, 평소보다 더 크고 밝게 나타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05.html 이곳에서...


2023년 9월 4일 월요일

Cygnus : Bubble and Crescent

 


Cygnus : Bubble and Crescent


- Credit & Copyright : Abdullah Al-Harbi


우리 은하면을 따라 백조 자리 (Cygnus, the Swan) 방향으로 약 5000 광년 거리에 있는 두 성운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오른쪽 상단에 있는 성운이 Crescent Nebula 이고, 왼쪽 하단에 비누 방울처럼 생긴 성운이 Soap Bubble Nebula 이다.
두 성운 모두 별의 생애에서 마지막 단계에 만들어졌는데, NGC 6888 으로도 알려진 Crescent Nebula 는 중심에 있는 Wolf-Rayet star 인 별 WR 136 이 강한 항성풍으로 인해 그 외곽층을 벗겨내면서 성운이 만들어졌으며, 엄청난 속도로 연료를 태우고 있는 WR 136 은 현재 짧은 수명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렀고 결국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며 최후를 맞게 될 것이다.
반면, 2013년에 발견된 Soap Bubble Nebula 는 우리 태양처럼 질량이 작고 수명이 긴 별들의 마지막 단계인 행성상 성운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성운을 만든 별은 천천히 식어가며 백색 왜성이 될 것이다.
한편, Crescent Nebula 의 폭은 25 광년 정도이고, 수백만 년 내에 두 성운 모두 흩어지게 될 것이라 한다.

참고로, Wolf-Rayet star 는 무겁고, 밝으며 엄청난 항성풍이 몰아치는 별들인데, 보통 표면 온도가 아주 뜨거우며 (3만 ~ 20만 K) 강력한 항성풍 (2000 km/s 이상) 으로 인해 자신의 질량을 상실하고 있는 별들이다. (우리 태양이 태양풍으로 상실하는 질량의 약 10억배 정도를 상실한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04.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0년 10월 17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거의 동일하고 사진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118606629


2023년 9월 3일 일요일

Comet Schwassmann-Wachmann 3 Fragments

 


Comet Schwassmann-Wachmann 3 Fragments


- Credit : NASA, ESA, H. Weaver (JHU / APL), M. Mutchler and Z. Levay (STScI)


이 사진은 2006년, 혜성 73P/Schwassmann-Wachmann 3 가 여러 조각으로 부서져 지구에서 3200만 km 떨어진 곳을 날아가고 있는 모습을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이다.
사실 혜성 73P/Schwassmann-Wachmann 3 는 1995년에 처음 몇개의 큰 조각으로 부서졌었고 2006년이 두번째인데, 2006년에는 수십개의 파편으로 부서졌었다.
혜성은 상대적으로 꺠지기 쉬워서 열이나 중력, 가스 방출 등의 스트레스에 의해 태양에 가까워지면서 부서지는 경향이 있다.
이 사진에 담긴 혜성 73P/Schwassmann-Wachmann 3 의 파편들을 따로 Fragment B 라 칭하는 모양인데, 자세히 보면 파편들에도 각각의 머리와 꼬리 부분이 있는 걸 볼 수 있다.
한편, 이 사진의 폭은 대략 3000 km 이상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03.html 이곳에서...


2023년 9월 2일 토요일

NGC 7023 : The Iris Nebula

 


NGC 7023 : The Iris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Lorand Fenyes


케페우스 (Cepheus) 자리 방향으로 약 1300 광년 거리에 있는 반사 성운 NGC 7023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Iris Nebula 라는 이름도 갖고 있는 이 성운의 사진을 보면 다양한 색상과 주변 성간 먼지 속에 내재된 대칭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성운 내부에서는 젊고 뜨거운 별이 먼지로 이루어진 성운 물질에 둘러싸여 있다.
성운의 주도적인 색상은 파란색인데 이는 먼지 입자들이 별빛을 반사해서 나타나는 특징이며, 성운 중심부의 필라멘트들이 희미한 붉은 빛을 띄고 있는 것은 먼지 입자들이 보이지 않는 별의 자외선을 볼 수 있는 붉은 빛으로 변환시키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또한, 적외선 관측을 통해서는 성운이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으로 알려진 복합 탄소 분자를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한다.
한편, Iris Nebula 의 폭은 대략 6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02.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1년 9월 3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동일하고 사진만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494200395


2023년 9월 1일 금요일

The Great Globular Cluster in Hercules

 


The Great Globular Cluster in Hercules


- Image Credit & Copyright : Serge Brunier, Jean-François Bax, David Vernet OCA/C2PU


헤르쿨레스 (Hercules) 자리 방향으로 약 25000 광년 거리에 있는 구상 성단 M13 을 촬영한 사진이다.
엄청난 규모 때문에 the Great Globular Cluster in Hercules 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1716년 영국의 천문학자인 Edmond Halley 는 하늘이 고요하고 달빛이 없을 때 작은 조각 같은 M13 을 육안으로도 볼 수 있다고 기록을 남겼다.
북반구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구상 성단 중 하나인 M13 은 지름 150 광년 내에 수십만 개의 별들이 모여 있는데, 특히 중심부 3광년 정도되는 정육면체 공간내에는 100 개 이상의 별들이 모여 있다.
우리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도 거리가 4광년 이상인 걸 생각하면 M13 은 좁은 공간에 엄청나게 많은 별들이 모여 있는 셈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30901.html 이곳에서...

같은 제목의 포스팅을 2020년 3월 20일과 2021년 5월 20일, 그리고 2022년 8월 5일에도 올렸었는데, 그때와 글의 내용은 거의 동일하고 사진은 다르다.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1864302482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359214599
https://blog.naver.com/orion_thothe/222840716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