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월 24일 수요일

에티오피아 첼베사 내추럴 (Ethiopia Chelbesa, natural) - 모모스커피

 


에티오피아 첼베사 내추럴
(Ethiopia Chelbesa, natural)

모모스커피
(Momos Coffee)


- 지역 (Region) : Yirgacheffe
- 마을 (Village) : Gedeb Chelbesa
- 워싱 스테이션 (Washing station) : SNAP
- 재배 고도 (Altitude) : 1920 ~ 2200 m
- 품종 (Variety) : 토착종 (Heirloom)
- 가공 방식 (Process) : natural

- Roasted color : #52 (Agtron)

- tasting note : 라즈베리 (raspberry), 푸룬 (prune), 과일잼

- Brewing guide : 하리오 v60 드리퍼 사용 (원두 1 : 물 16 비율), 
                       원두 20g, 
                       물 93℃ 총 320g 주입 
                      (60g 주입 블루밍 40초-->80g 1차 주입-->80g 2차 주입-->100g 3차 주입),
                       2분 30초 추출


이번 원두는 좀 저렴하면서도 어느 정도 개성있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선택해봤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름 만족스런 선택이었다.
테이스팅 노트에 '라즈베리'가 적혀 있어서 지금껏 먹어봤던 다른 커피들처럼 어느 정도 느껴지는 정도겠지 생각했는데, 마셔보니 그냥 처음부터 끝까지 '라즈베리'만 생각나는 커피였다.
이런 점이 아마도 누군가에게는 만족스러울 수 있지만, 또 누군가에게는 미흡할 수도 있는 부분인 것 같다.
어떤 점에서는 개성있는 것이고, 어떤 점에서는 단순한 것일테니...

암튼, 원두를 분쇄하면서부터 느껴지는 라즈베리 향은 상당히 강한편이다.
나에게는 다른 향을 느껴볼 틈도 없이 라즈베리가 압도하는 느낌이었다.
고소한 향과 단향도 물론 있지만 일반적인 수준이었고, 아주 가끔 중국 음식의 향신료 같은 뉘앙스가 있었는데 늘 그렇듯이 확실치 않고 나의 착각 아닌가 싶기도 하다.
추출 후에 느껴지는 향들도 마찬가지로 라즈베리 향이 지배적이었다.

마시면서도 역시나 라즈베리가 압도적이었는데, 그래도 이 커피가 아주 단순하지만은 않아서 상큼한 과일의 신맛과 과일의 단맛이 어우러지는게 만족스러웠다. 또한, 라즈베리와 과일의 신맛, 단맛은 마시고 난 뒤에도 여운이 오래 남았다.
입안에서의 느낌은 투과 위주로 진하게 내렸을때 부드러우면서도 꽉 찬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모모스의 추출 가이드에서는 하리오 드리퍼를 이용해서 커피 20g 에 물 320g 까지 주입하라고 되어 있는데, 나 같은 경우는 이렇게 추출하는 것 보다 칼리타 드리퍼를 이용해서 투과 위주로 물줄기를 가늘게하여 200g 정도만 추출했었을 때가 더 좋게 느껴졌다.
이렇게 하면 라즈베리향도 더 강하게 느껴질뿐만 아니라 과일의 신맛과 단맛이 더 상큼하고 기분좋게 느껴져서 마음에 들었다.
추출 방법이야 개인적인 취향 문제이니 각자 기호에 맞게 하면 될 것 같고, 어쨌거나 이 커피는 라즈베리향과 함께 내추럴 커피의 개성을 느끼고 싶을때 괜찮은 선택 아닐까 싶다.

- 사족 : 모모스커피를 주문할때마다 겪는 일인데, 원두 봉투의 지퍼락 부분이 항상 불량이었다. 모모스커피 측에서 뭔가 개선을 해야 할 것 같은데 아직 그런 조치를 취하는 것 같진 않아 보인다.


2021년 2월 20일 토요일

...

 

책을 읽지 않은지 벌써 여러 달이다.

영혼은 탈곡된 느낌이고, 심장은 화석이 된 듯하다.

또다시 봄은 오겠지만, 더이상 예전의 봄은 아닌 것 같다.



2021년 2월 15일 월요일

백기완 선생님의 명복을 빕니다.

 


백기완
(1932년 1월 24일 ~ 2021년 2월 15일)


백기완 선생님의 명복을 빕니다.

학교 다닐때 학교 광장에서 연설하던 모습을 본 적 있는데, 세월이 벌써 이렇게 되었다.
늘 그 자리에 계실 줄 알았는데...


- 사진 출처 : 통일문제연구소


2021년 2월 14일 일요일

Long Stem Rosette Nebula

 


Long Stem Rosette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Adam Block & Tim Puckett


외뿔소 자리 (Monoceros, the Unicorn) 방향으로 약 50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Rosette Nebula (NGC 2237)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사진을 보면 성운 아래로 길게 이어진 붉은 빛이 보이는데 이는 수소 가스가 빛나고 있는 것으로 마치 장미 아래의 줄기처럼 보여지고 있다.
또한, 성운의 중심에는 밝은 빛을 내는 젊은 별들이 모여 있는 산개 성단 NGC 2244 가 위치하고 있는데 약 400만년쯤 전에 성운의 물질들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이들 성단에 있는 별들로부터 방출되는 항성풍은 성운의 중심부를 먼지와 가스층으로부터 분리시켜 맑게 유지하고 있으며, 별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은 주변 성운을 빛나게 만들고 있다.
한편, Rosette Nebula 의 폭은 약 10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214.html 이곳에서...


2021년 2월 13일 토요일

콜롬비아 엘 파라이소 리치 (Colombia El Paraiso Lychee) - 엘카페

 


콜롬비아 엘 파라이소 리치
(Colombia El Paraiso Lychee)

엘 카페 커피 로스터스
(El Cafe Coffee Roasters)


- 지역 : Piendamo, Cauca
- 농장 : El Paraiso
- 농장주 : Diego Samuel
- 재배 고도 : 1850 m
- 품종 : Bourbon
- 가공 방식 : Double Anaerobic process

- tasting note : 리치, 포도, 패션프룻

- Brewing guide : 하리오 V60 1~2인용 기준, 원두 20g, 물온도 92~95℃, 추출량 270~300ml


어쩌다보니 이번에도 엘카페의 커피를 선택하게 되었다.
콜롬비아 엘 파라이소 농장의 커피는 예전에 커피리브레에서 주문했던 '레드플럼' 이후 두번째인데, 이번엔 '리치'다.
이 농장의 커피는 가공 방식 때문에 많은 논란이 있었는데, 난 다른 사람들에 비해 많이 늦게 이 농장의 커피를 접하게 되었다.
예전의 '레드플럼'이 만족스러웠기에 이번에도 주문해봤다.

커피 이름에 '리치'를 붙일 만큼 리치향이 강한 커피였다.
분쇄할 때부터 다 마시고 난 후까지 리치향이 강하게 지속되는데, 한편으로는 리치향이 이렇게 강하고 뚜렷하게 느껴지는 것에 놀라우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리치향이 너무 압도해버리는 바람에 당황스럽기도 했다.

분쇄하면서 아주 강한 리치향과 견과류의 고소함을 제일 먼저 느낄 수 있었다. 
고소함도 아주 인상적이어서 향을 맡고 있으면 저절로 기분이 좋아지는 느낌이었다. 그밖에 단향도 느껴지지만 단순하게 다가왔다.
그런데, 리치향과 더불어 인공적인 뉘앙스의 향이 함께 느껴졌는데 이것이 리치향의 연속인 것인지 아니면 별개의 향인지는 좀 헷갈렸다.
어찌되었든 이런 인공적인 뉘앙스가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줄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들었다.

추출하면서도 리치향은 일관되게 강했는데 다른 모든 향을 압도해버릴 정도였다.
그리고, 달콤한 과일향도 느껴졌는데, 이게 때로는 과일사탕 같은 느낌이기도 했다. 
또한, 인공적인 뉘앙스도 여전히 계속되었다.

마시면서 느껴지는 것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강한 리치향과 적당히 기분좋은 과일의 신맛이 있었고, 인공적인 뉘앙스 또한 계속 되었다.
그밖에 견과의 고소함도 좋았다.
단맛도 나쁘지 않았지만 계속 단순한 느낌이었다.
그리고 확실하진 않지만, 루이보스의 뉘앙스도 있었다.

이러한 리치향과 고소함, 단맛은 지속력도 좋아서 마시고 난 뒤에도 오랫동안 여운을 남겼다.
전체적으로 봤을때, 과일의 신맛과 견과의 고소함과 단맛의 조화가 좋긴한데, 리치향이 너무 압도해버리는 경향이 있어 좀 단순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또한, 단맛의 단순함도 좀 아쉬운 부분이었다.
어찌되었든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독특한 커피임에는 틀림없는 것 같다.


2021년 2월 11일 목요일

Cygnus Mosaic 2010 - 2020

 


Cygnus Mosaic 2010 - 2020


- Image Credit & Copyright : J-P Metsavainio (Astro Anarchy)


이 사진은 the Great Rift 의 북쪽 끝부분과 백조 자리 (Cygnus, the Swan) 를 보여주는 사진인데, 지난 10 여년에 걸쳐 관측된 약 400 시간의 이미지 데이터를 합성하여 얻어진 결과물이다.
참고로, the Great Rift 는 지구에서 봤을때 우리 은하 중심부를 지나는 어두운 강물처럼 보이는 곳인데, 백조자리에서 시작하여 우리 은하의 중심부인 독수리 자리와 궁수 자리를 지나 켄타우루스 자리까지 뻗쳐 있는 암흑물질 구름대를 말한다.

사진에서 가느다란 선으로 이어진 별들 중에 가장 왼쪽에 빛나고 있는 별이 백조 자리 알파별인 Deneb 이고, Deneb 의 아래쪽으로 North America Nebula (NGC 7000)와 Pelican Nebula (IC 5070)가 위치하고 있으며, Deneb 에서 4시 방향으로 어둡게 보이는 부분이 Northern Coal Sack Nebula 이다.
한편, Deneb 는 여름 대삼각형 (Summer Triangle)을 이루는 3개의 별중 하나이면서 동시에 북십자성 (Northern Cross)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211.html 이곳에서...


2021년 2월 8일 월요일

WR32 and Interstellar Clouds in Carina

 


WR32 and Interstellar Clouds in Carina


- Image Credit & Copyright : Ariel Cappelletti


약 8000 광년 거리에 있는 Great Carina Nebula 에서 별과 성간 가스들이 만들어내는 멋진 장면을 포착한 사진이다.
사진의 왼쪽에 있는 물결치는 형태의 성간 가스들은 거대한 Wolf-Rayet star 가 만들어낸 WR32 라 불리우는 필라멘트들이고, 오른쪽에 푸른빛의 공동(空洞)은 산개 성단 NGC 3324 에서 뿜어져 나오는 항성풍들과 복사에너지에 의해 만들어진 것인데 칠레의 유명한 시인의 이름을 따 Gabriela Mistral Nebula 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지름이 35 광년 정도인 Gabriela Mistral Nebula 의 오른쪽 윤곽선이 마치 칠레 여류 시인인 Gabriela Mistral 의 얼굴을 닮았다 하여 그렇게 이름을 붙인 모양이다.
한편, 사진에서 붉은색, 녹색, 파란색은 각각 이온화된 황, 수소, 산소 원자로부터의 emission (발광 發光)에 의한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208.html 이곳에서...


2021년 2월 7일 일요일

Blue Straggler Stars in Globular Cluster M53

 


Blue Straggler Stars in Globular Cluster M53


- Image Credit : ESA/Hubble, NASA


베레니스의 머리털 자리 (Coma Berenices, the Berenice's Hair) 에 위치한 구상 성단 M53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NGC 5024 라고도 알려진 M53 은 우리 은하 내에 속한 250 여개의 구상 성단 중 하나이며, 그 안에 약 250000 개의 별들이 있고, 우리 은하의 중심에서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구상 성단 중 하나라 한다.
보통 구상 성단에 속한 별들은 대부분 우리 태양보다 나이도 많고 붉은 빛을 띄며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경우가 많은데, M53 에는 이런 경향과 다르게 젊고 푸른 빛을 띄는 별들이 존재한다고 한다.
이렇게 특이하게 젊고 푸른 별들을 Blue Straggler 라 부르는데, 천문학자들은 이런 별들이 보통 쌍성계의 동반성으로부터 새로운 물질을 공급받아 만들어 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많은 젊은 별들을 이용하여 구상 성단의 나이와 우주의 나이를 연구하는 모양이다.
한편, M53 은 쌍안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10207.html 이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