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3월 30일 금요일

NGC 247 and Friends


NGC 247 and Friends


- Image Credit & Copyright : CHART32 Team, Processing - Johannes Schedler


폭이 약 70000 광년 정도되는 나선은하 NGC 247과 그 주변을 관측한 사진이다.
Sculptor 은하단에 속한 NGC 247은 우리 은하보다 약간 작은 크기인데, 남쪽 고래자리 방향으로 약 11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그 모습을 보면 왼쪽에 약간 비어있는듯 보이는 부분이 있는데 이 때문에 Needle's Eye galaxy라는 재밌는 이름을 갖고 있기도 하다.

한편, NGC 247의 왼쪽 하단에 네 개의 은하가 나란히 보이는데 이들은 약 3억 광년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은하들로서 Burbidge's Chain 이라 불리우고 있다.
또한, 이들 네 은하중 가장 왼쪽에 있는 두 개의 은하는 은하간 물질들이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희미하게 볼 수 있는데 이로인해 서로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330.html 이곳에서...


2018년 3월 29일 목요일

르완다 우무라지 (Rwanda Umurage) - 테라로사


르완다 우무라지
(Rwanda Umurage)

테라로사
(Terarosa)


- 원산지 : 르완다 (Rwanda)
- 워싱 스테이션 (washing station) : 우무라지 (Umurage)
- 지역 : Kigoma, Hyue
- 고도 : 1750 m
- 품종 : Bourbon
- 가공 : washed
- 수확 : 2017년 5~6월

- tasting notes : 살구, 오렌지, 밀크초콜렛, 카카오닙스


거의 1년여 만에 테라로사 원두를 구매한 것 같다.
특별한 이유는 없는데 어찌어찌 하다보니 그렇게 되었다.
테라로사 원두 리스트에서 그나마 좀 저렴한 원두를 구매했는데, 며칠동안 나름 만족스럽게 즐긴 커피였다.

우선 분쇄커피에서 느껴졌던 것은 오렌지로 대표되는 상큼한 향과 카라멜이나 졸인 설탕같은 느낌의 기분좋은 단향, 그리고 부드러운 고소함 같은 것이었다.
그리고, 추출커피에서도 분쇄커피와 비슷한 향들이 계속되었고, 기대했던 것보다 좋다는 생각을 했었다.
때론, 분쇄커피와 추출커피에서 허브같은 향도 느꼈었는데 늘 일관되지는 않아서 뭐라 말하기는 좀 애매했다.
어쨌거나 참 괜찮은 아로마라 생각하며 마셨는데, 로스팅한지 일주일쯤 지나면서는 향이 조금씩 약해지는게 느껴져서 좀 아쉬웠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 커피의 flavor는 추천하고 싶을 정도로 만족스러웠다.
첫 모금 마시자마자 오렌지 같은 상큼함이 느껴지는데 정말 기분좋게 만들어주는 향미였고, 뒤이어 아로마에서와 마찬가지로 카라멜이나 졸인 설탕, 또는 토피 같은 느낌의 단맛이 따라왔고, 더불어 부드러운 고소함도 참 좋았다.
이렇게 상큼한 과일의 신맛과 고소함, 복합적인 단맛이 어우러져 마시는 내내 사람을 기분좋게 만들어줬고 또한 지속력도 좋았다.

반면, 아로마는 투과 위주로 추출을 할때가 조금 더 좋았는데, flavor는 투과와 침지를 적절히 혼합한 추출을 할때 더 좋았었다.
아무래도 투과 위주로 하게되면 신맛이 조금 강하게 느껴져서 그런 것 같다.

암튼, 테라로사 원두들 중에서는 조금 저렴한 편이지만 그런대로 즐기기 좋은 커피였다고 생각한다.


NGC 2023 in the Horsehead's Shadow


NGC 2023 in the Horsehead's Shadow


- Image Credit & Copyright : Steve Mazlin, Mark Hanson, Warren Keller, Rex Parker, Tommy Tse, and Peter Proulx (SSRO / PROMPT / CTIO)


말머리 성운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한 반사성운 NGC 2023의 모습이다.
말머리 성운이 워낙 유명하다보니 NGC 2023 이 주목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사진에서 보면 복잡하고 다채로운 필라멘트들을 볼 수 있고 또 여기저기 흩어져 밝게 빛나는 작은 점처럼 보이는 Herbig-Haro objects들도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329.html 이곳에서...


2018년 3월 27일 화요일

Mars Between Nebulas


Mars Between Nebulas


- Image Credit & Copyright : Sebastian Voltmer


두 개의 성운과 그 사이에 있는 화성을 촬영한 사진이다.
가운데 주황색으로 빛나고 있는 것이 화성이고, 오른쪽 상단에 있는 성운이 Trifid Nebula (M20)이며, 아래에 위치한 성운이 Lagoon Nebula (M8)이다.
Trifid Nebula는 파란빛과 붉은빛이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으면서 그 안에 세 갈래로 갈라져있는 먼지층도 볼 수 있다.
두 성운의 거리는 수천 광년 정도 되는데, 지구에서 화성까지의 거리는 빛의 속도로 약 10 분 정도라 한다. 이걸 굳이 광년으로 표현할 필요가 있을까 싶다만...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327.html 이곳에서...


2018년 3월 26일 월요일

The Coma Cluster of Galaxies


The Coma Cluster of Galaxies


- Image Credit : Russ Carroll, Robert Gendler, & Bob Frank; Dan Zowada Memorial Observatory


Coma 은하단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보이는 거의 대부분의 천체들이 은하인데, 은하들의 밀집도가 가장 큰 은하단 중 하나이다.
또한, 은하단에 속한 대부분의 은하들은 타원은하인데 반해 은하단의 외곽에 있는 은하들은 대부분 나선은하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326.html 이곳에서...


2018년 3월 25일 일요일

Announcing Nova Carinae 2018


Announcing Nova Carinae 2018


- Image Credit & Copyright : A. Maury & J. Fabrega


지난 주에 Carina Nebula 근처에서 새로운 별이 관측되었다.
ASASSN-18fv 로 명명된 이 별은 사진에서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는데, 남반구에서 쌍안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고 한다.
백색왜성의 표면에서 원자핵융합 반응 폭발에 의해 발생한 이 별에 대해 자세한 것은 아직 알려져있지 않은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325.html 이곳에서...


2018년 3월 24일 토요일

오랜만에 초콜렛...


어쩌다 얻게 된 초콜렛...
선물이라면 선물인데, 어쩌다보니 얻게 되었다.
뭐 일반 마트에 가면 쉽게 구할 수 있다고는 하는데, 우리집 근처 마트에서는 볼 수 없는 초콜렛이다.

왼쪽에 있는 것은 스위스 초콜렛이고, 오른쪽 것은 벨기에 제품이라고 한다.
스위스 초콜렛은 아몬드가 들어 있어서 씹는 맛도 있고 해서 그런지 맛이 괜찮았다.
다크 초콜렛이어서 많이 달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다크초콜렛 특유의 쌉싸름함이 많지는 않았다.
아마도 다크 중에서도 카카오 함량이 높지 않은 것 아닌가 싶다.

오른쪽의 벨기에 초콜렛도 다크초콜렛인데, 이것은 특유의 쌉싸름함과 진한 향이 느껴졌다.
80%여서 그런지 역시나 그리 달지는 않았고 질리지 않고 먹기에 좋았다.

암튼, 오랜만에 초콜렛을 먹어서 그런지 나는 둘다 맛있게 먹었다.
가끔 사먹으면 기분 전환도 되고 괜찮을 것 같다.


2018년 3월 23일 금요일

Sharpless 249 and the Jellyfish Nebula


Sharpless 249 and the Jellyfish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Albert Barr


약 5000 광년 정도 떨어져있는 Jellyfish Nebula와 그 옆의 발광성운 Sharpless 249의 모습이다.
사진에서 중심부에 밝은 테두리를 지니고 있는 것이 Jellyfish Nebula인데, 초신성 폭발의 잔해인 게성운 (Crab Nebula)과 마찬가지로 이 성운 또한 초신성 폭발 후의 잔해인 IC 443의 일부이다. 또한, 폭발한 별의 중심핵이 붕괴되어 만들어진 중성자별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 성운의 빛이 최초로 지구에 도달한 것은 약 30000년 전이라고 한다.
한편, Jellyfish Nebula의 왼쪽 상단에 넓게 퍼져있는 것이 Sharpless 249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323.html 이곳에서...


2018년 3월 22일 목요일

NGC 253 : Dusty Island Universe


NGC 253 : Dusty Island Universe


- Image Credit & Copyright : Stefano Cancelli, Paul Mortfield


1783년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Caroline Herschel에 의해 발견된 나선은하 NGC 253의 모습이다.
약 1000만 광년 정도 떨어져있는 이 은하는 그 폭이 약 70000 광년 정도이며 Sculptor 은하단에 속한 은하들 중에 가장 큰 은하이다.
참고로 Sculptor 은하단은 우리 은하단과 가장 가까운 은하단이다.

굉장히 밝은 나선은하이면서 또한 먼지가 많은 은하이기도 한 NGC 253은 소형망원경으로 관측했을 때의 모습때문에 Silver Dollar Galaxy라 불리기도 하고, Sculptor 별자리에 위치하고 있어 Sculptor Galaxy라 불리기도 한다.
또한 은하내에 먼지가 많다보니 그만큼 만들어지는 별들도 많은 모양이다.
한편, 은하의 중심에 거대 블랙홀이 있어 강력한 X-ray와 감마선을 발생시키고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322.html 이곳에서...


2018년 3월 21일 수요일

Camera Orion



Camera Orion


- Image Credit & Copyright : Derrick Lim


처음엔 이 천체사진이 뭔가 했는데, 살펴보니 오리온자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렇게 크게 보는건 처음인 것 같다.
사진에서 왼쪽 상단에 있는 오렌지색 별이 적색거성인 Betelgeuse 이고, 오른쪽 제일 하단에 있는 파란빛의 별이 초거성 Rigel 이다.
참고로 Betelgeuse 의 지름이 우리 태양계에서 태양에서 목성까지의 거리와 맞먹는다.
그리고 오른쪽 상단의 파란 별은 Bellatrix 이고, 사진의 중심부에 나란히 있는 세 개의 파란별들이 Orion's belt 이다.
또한 오리온벨트 아랫쪽에 약간의 붉은 빛이 돌며 흰색에 가깝게 보이는 천체가 오리온 성운이다.
마지막으로 오리온벨트와 오리온 성운을 둘러싸고 있는 붉은 빛의 띠 같은 것이 발광성운인 Barnard's Loop 인데, E. E. Barnard 에 의해 100여년 전에 발견되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321.html 이곳에서...


2018년 3월 17일 토요일

The Crab from Space


The Crab from Space


- Image Credit : NASA - X-ray: CXC, Optical: STSCI, Infrared: JPL-Caltech


황소자리, 약 6500 광년 떨어져있는 게성운 (M1)의 모습이다.
우리가 알던 이미지와 좀 다른데, 가시광선 이미지는 아니고 Chandra X-ray Observatory와 허블우주망원경, Spitzer Space Telescope 등의 데이터를 합성하여 만든 이미지이다.
사진에서 파란색과 흰색은 X-rays, 자주색은 가시광선, 분홍색은 적외선 데이터이고, 사진의 중심부에 가장 밝게 빛나는 점은 Crab Pulsar인 중성자 별인데 초당 30번 회전한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317.html 이곳에서...


2018년 3월 16일 금요일

The Seagull and the Duck


The Seagull and the Duck


- Image Credit & Copyright : Raul Villaverde Fraile


큰개 자리 방향에 위치한 Seagull nebula 와 Duck nebula 의 모습이다.
사진에서 중앙 상단에 위치한 밝은 머리 부분과 펼쳐진 날개 부분으로 이루어진 성운이 Seagull nebula 이고, 오른쪽 하단에 조그맣게 빛나고 있는 성운이 Duck nebula 이다.
Seagull nebula 는 그 거리가 약 3800 광년 정도이고 날개를 펼친 폭이 250 광년 정도 되며, Duck nebula 는 15000 광년 떨어진 곳에 있으며 그 폭이 50 광년 정도 된다.
한편, Seagull nebula 는 다시 두 개의 발광성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밝게 빛나는 머리부분이 NGC 2327 이고 날개와 몸통 부분이 IC 2177 이다.
그리고, NGC 2359 로 알려진 Duck nebula 는 그 중심부에 엄청나게 무겁고 뜨거운 별이 있어 강력한 항성풍이 불고 있는데, Thor's Helmet 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316.html 이곳에서...


2018년 3월 15일 목요일

Catalog Entry Number 1


Catalog Entry Number 1


- Image Credit & Copyright : Bernhard Hubl (CEDIC)


천체를 분류하는 목록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각 목록에서 1번에 해당하는 천체들을 모아놓은 사진이다.
먼저 Messier 는 Charles Messier 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1774년부터 목록을 만들기 시작했고, NGC 는 New General Catalog 의 약자로 John Louis Emil Dreyer (J.L.E. Dreyer)에 의해 1888년에 만들어졌으며, IC 는 Index Catalog 를 의미하는데 이 역시 J.L.E. Dreyer 에 의해 만들어졌다.
또한, Barnard 는 E.E. Barnard 에 의해 1919년에 만들어졌고, Abell 은 George Abell 에 의해 1958년에 만들어졌다.
마지막으로 vdB 는 Sidney van den Bergh 에 의해 1966년에 만들어졌다.

사진에서 Messier1 (M1)은 초신성 폭발의 잔해인 게성운이며, NGC 1 은 사진의 중심에 있는 나선은하이고 그 바로 아래에 있는 은하가 NGC 2 이다.
그리고 IC 1 은 희미하게 보이는 이중성이고, Barnard 1 은 페르세우스 분자구름단에 위치한 암흑성운이며, Abell 1 은 페가수스 자리에 있는 먼 은하단이다.
마지막 vdB 1 은 카시오페이아 자리에 있는 푸른 반사성운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315.html 이곳에서...


2018년 3월 11일 일요일

Duel Particle Beams in Herbig-Haro 24


Duel Particle Beams in Herbig-Haro 24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Heritage (STScI/AURA)/Hubble-Europe Collaboration;
- Acknowledgment : D. Padgett (NASA's GSFC), T. Megeath (U. Toledo), B. Reipurth (U. Hawaii)


새로 만들어지는 별에서 방출되고 있는 제트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약 1300 광년 떨어져있는 오리온 B 분자구름에 위치한 Herbig-Haro 24 (HH 24)에서 발생한 제트인데, 그 중심에 있는 별은 차가운 먼지와 가스로 이루어진 구름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상태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311.html 이곳에서...


2018년 3월 9일 금요일

Horsehead : A Wider View


Horsehead : A Wider View


- Composition and Processing : Robert Gendler
- Image Data : ESO, VISTA, HLA,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Barnard 33으로도 알려져 있는 말머리 성운과 그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하나의 데이터로 얻어진 사진은 아니고, 허블우주망원경과 지상의 VISTA 망원경 데이터를 합성하여 얻은 이미지이다.
또한 가시광선 영역이 아닌 근적외선 영역의 촬영이라 우리가 그동안 보아오던 것과는 조금 다른 모습이다.
당연히 오른쪽 상단에 있는 것이 말머리 성운이고, 왼쪽 아래에 있는 밝은 성운은 반사성운인 NGC 2023 이다.
한편, 별이 만들어질 때 그 주변의 먼지구름등이 별에서 나오는 빛 때문에 성운처럼 밝게 빛나는 경우가 있고 이런 천체들을 Herbig-Haro objects라 하는데, 사진에서 말머리 성운과 NGC 2023 주변에서도 Herbig-Haro objects를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309.html 이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