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29일 목요일

The Ghoul of IC 2118

 


The Ghoul of IC 2118


- Image Credit & Copyright : Casey Good/Steve Timmons


오리온 자리 방향으로 약 8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반사 성운 IC 2118 의 모습이다.
할로윈 시즌이라 NASA 에서 이런 사진을 오늘의 사진으로 올린 모양인데, 보고 있으니 좀 으스스하긴 하다.
Witch Head nebula 라고도 불리우는 이 성운은 오리온 자리를 구성하고 있는 청색 거성인 Rigel 바로 옆에 있는데, 사진에서 Rigel 은 보이지 않지만 왼쪽 상단 프레임 바로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IC 2118 이 푸른 빛을 띄고 있는 것도 Rigel 의 푸른 빛 때문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01029.html 이곳에서...


2020년 10월 28일 수요일

NGC 6357 : The Lobster Nebula

 


NGC 6357 : The Lobster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Steven Mohr


전갈 자리 (Scorpion) 방향으로 약 8000 광년 거리에 위치한 Lobster Nebula (NGC 6357) 의 모습이다.
전체 폭이 약 400 광년 정도 되는 이 성운은 그 중심부에 산개 성단 Pismis 24 가 있는데 이곳에 아주 밝고 무거운 별들이 존재한다.
사진의 중심에 파란 빛으로 빛나고 있는 곳은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영역 근처인데 이온화된 수소 가스의 발광 (emission) 때문에 파란 빛을 띄고 있는 것이라 한다.
또한, 성운에서는 가스와 먼지, 새로 태어난 별과 아직 만들어지고 있는 별 등이 존재하는데, 이렇게 복잡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성간풍과 복사 압력, 그리고 자기장과 중력 등이 서로 복잡하게 상호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01028.html 이곳에서...


2020년 10월 26일 월요일

Reflections of the Ghost Nebula

 


Reflections of the Ghost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Bogdan Jarzyna


케페우스 (Cepheus) 자리 방향으로 약 12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Ghost Nebula 의 모습이다.
VdB 141 또는 Sh2-136 으로 명명된 이 반사 성운은 폭이 2광년 정도 되는데, 성운의 내부에 별이 만들어지는 초기에 고밀도의 중심핵이 붕괴되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01026.html 이곳에서...


2020년 10월 24일 토요일

Globular Star Cluster 47 Tuc

 


Globular Star Cluster 47 Tuc


- Image Credit & Copyright : Jose Mtanous


큰부리새 자리 ( the Toucan) 방향으로 약 13000 광년 거리에 위치한 구상 성단 47 Tucanae (NGC 104) 의 모습이다.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구상 성단들 중에서 두번째로 밝고 두번째로 큰 47 Tucanae 는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한데, 약 120 광년 정도의 지름 안에 수십만 개의 별들이 모여 있다고 한다.
참고로 가장 밝은 구상 성단은 Omega Centauri 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01024.html 이곳에서...


2020년 10월 21일 수요일

 



A Night Sky Vista from Sardinia


- Image Credit & Copyright : Tomáš Slovinský


지난 1월 이탈리아의 Sardinia 에서 촬영된 밤하늘 사진이다.
이런 저런 별들과 은하와 성운들로 가득찬 모습이 인상적이어서 포스팅 해본다.
사진의 왼쪽에 안드로메다 은하가 있고, 상단 중앙에 캘리포니아 성운이 있으며, 오른쪽에는 오리온 자리의 오리온 벨트와 베텔기우스가 있고, 그 밑에 시리우스 별이 빛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01021.html 이곳에서...


2020년 10월 17일 토요일

Cygnus : Bubble and Crescent

 


Cygnus : Bubble and Crescent


- Image Credit & Copyright : Wissam Ayoub


백조 자리 (Cygnus) 방향으로 약 50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두 성운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사진에서 오른쪽에 큰 덩어리 모양의 성운이 Crescent Nebula (NGC 6888) 이고, 왼쪽 아래 구석에 희미하게 비누 거품처럼 생긴 것이 Soap Bubble Nebula 이다.
두 성운 모두 가스와 먼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별이 생명을 다하고 마지막 단계에 이르렀을때 만들어지는 모습들이다.
하지만, 차이점이 있다면 Crescent Nebula 는 질량이 매우 크고 수명이 짧은 별이 마지막 단계에서 항성풍으로 인해 그 외곽층을 떨구어 내면서 만들어지는 형태이고, Soap Bubble Nebula 는 우리 태양처럼 질량이 작으면서 수명이 긴 별이 마지막 단계에서 만들어지는 행성상 성운이다.
Crescent Nebula 는 그 중심에 거대한 Wolf–Rayet star 인 WR 136 이 위치하고 있으며 결국에 가서는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반면, Soap Bubble Nebula 는 천천히 냉각되면서 차가운 백색 왜성이 될 것이라 한다.
한편, Crescent Nebula 는 그 폭이 대략 25 광년 정도 된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01017.html 이곳에서...


2020년 10월 15일 목요일

과테말라 엘 인헤르또 버본 내추럴 (Guatemala El Injerto Bourbon, natural) - 엘 카페

 


과테말라 엘 인헤르또 버본 내추럴
(Guatemala El Injerto Bourbon, natural)

엘 카페 커피 로스터스
(El Cafe Coffee Roasters)


- 지역 : Liberdad, Huehuetenango
- 농장 : El Injerto farm
- 농장주 : Arturo Aguirre Sr.
- 재배 고도 : 1500 ~ 1900 m
- 품종 : Bourbon
- 가공 방식 : natural

- Cup note : 청포도, Lychee (리치), Winey (와이니), 열대과일

- Brewing guide : 하리오 v60 1 ~ 2인용 기준, 원두 18g, 물온도 92~95℃, 추출량 300~350ml

- Roasting point : Agtron No. 86.4


아주 오랜만에 엘카페의 커피를 접해봤다.
우연히 원두 검색을 하다가 과테말라 인헤르또 농장의 커피가 올라와 있길래 고민의 여지없이 주문했다.
인헤르또 커피는 자주 마셔보지는 않았지만 마실때마다 늘 만족스러웠었고, 이번에도 늘 그렇듯이 아주 좋았다.

우선, 분쇄하면서 느껴지는 향을 보면, 내추럴 커피답게 딱 그런 뉘앙스의 향들이 도드라졌다.
Winey 하면서 뭔가 숙성된 과일의 느낌이 있었고, 더불어 과일의 상큼한 신향도 느껴졌다.
뒤이어 다가오는 단향은 뭔가 부드럽게 감싸는듯한 느낌으로 다가왔고, 바닐라나 코코아, 카라멜이나 엿 같은 것들이 연상되었다.
그런데, 코코아 같은 느낌은 날짜가 지날수록 사라졌고, 전체적인 향도 좀 약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추출 후의 향들도 만족스러웠는데, 다른 커피들은 추출 향이 분쇄 커피향에 비해 많이 약한편이었는데, 이 커피는 그런 경향을 보이지 않고 오히려 날짜가 지날수록 점점 더 좋아졌다.
처음엔 winey 한 느낌과 과일의 신향이 다가오는데, 신향은 좀 약한 편이었다.
기본적인 고소함이라든지 단향도 그다지 특별하진 않았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추출 향이 분쇄 커피향보다 더 좋아져서 처음엔 느끼지 못했던 루이보스 같은 온화한 향과 카라멜이나 엿, 바닐라 같은 부드러운 단향이 점점 뚜렷하게 다가왔다. 때론, 추출향이 마실 때 느껴지는 flavor 보다도 더 좋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루이보스 뉘앙스의 향과 winey, 단향들이 서로 별개의 것이 아니라 연결되어 얽혀 있는 것처럼 느껴져서 더 만족스러웠다.

마시면서는 제일 먼저 과일의 상큼한 신맛이 느껴지는데 이게 참 좋다. 
더불어 winey 한 맛과 부드러운 단맛이 함께 어우러져 아주 좋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느껴지던 루이보스 같은 뉘앙스와 카라멜이나 엿, 바닐라 같은 부드러운 단맛이 서로 어우러져 마시는 내내 기분좋은 느낌을 준다.
그밖에 처음엔 잘 못느꼈는데, 날짜가 지날수록 floral 계열의 향미도 느껴졌는데 정확히 뭔지는 잘 모르겠다.

이렇게 마시고 난 뒤에 느껴지는 여운 또한 좋은데, 특히나 계속해서 언급했던 부드럽고 온화한 단맛의 여운이 아주 길게 느껴진다.
며칠동안 마시면서 역시나 인헤르또 커피는 늘 만족스럽고 실망시키지 않는구나 싶어 참 좋았다.


2020년 10월 14일 수요일

The Colorful Clouds of Rho Ophiuchi

 


The Colorful Clouds of Rho Ophiuchi


- Image Credit & Copyright : Amir H. Abolfath


Rho Ophiuchi 와 Antares 등을 포함한 Rho Ophiuchi cloud complex 를 보여주고 있는 사진이다.
사진에서 왼쪽 파란빛의 성운은 Rho Ophiuchi 항성계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하여 만들어진 것이고, 붉은 빛과 노란 빛으로 보여지는 곳들은 원자와 분자로 이루어진 성운의 가스들이 빛을 방출하여 만들어진 것이라 한다.
또한, 사진에서 오른쪽 아래 노란 빛을 띄는 부분에서 가장 밝게 빛나고 있는 것이 Antares 이고, 암갈색으로 어둡게 보이는 부분은 먼지 입자들이 뒤에서 오는 빛을 차단하여 만들어진 암흑 성운이며, 오른쪽에 작은 점들이 모여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구상 성단인 M4 이다.
한편, 이들 성운의 구름들은 전파에서부터 감마선까지 모든 파장대에서 빛을 방출하고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01014.html 이곳에서...


2020년 10월 7일 수요일

Ou4 : A Giant Squid in a Flying Bat

 


Ou4 : A Giant Squid in a Flying Bat


- Image Credit & Copyright : Yannick Akar


박쥐 안에 오징어 ? 
글쎄, 나는 그렇게 보이지 않는데, 천문학자들은 그렇게 보이는 모양이다.
붉은 빛의 커다란 성운이 박쥐 모양이고 그 내부에 있는 파란 빛의 성운이 오징어 모습이라고 한다.
어찌되었든, 붉은 성운은 Sh2-129 라는 발광 성운이며 Flying Bat Nebula 라는 별칭을 갖고 있고, 내부의 파란 성운은 Ou4 이고 Giant Squid Nebula 라고도 하는 모양이다.
Sh2-129 는 케페우스 (Cepheus) 자리 방향으로 약 2300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데, 정작 그 내부에 있는 Ou4 까지의 거리는 아직 정확히 모른다고 한다. 하지만, Ou4 가 Sh2-129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건 분명한 모양이다.
한편, Giant Squid Nebula 의 파란 빛은 이온화된 산소 원자로부터의 발광 (emission) 때문이고, Flying Bat Nebula 의 붉은 빛은 수소 원자의 발광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Giant Squid Nebula 는 그 중심부 근처에 3개의 별로 이루어진 항성계 HR8119 가 존재하는데, 이 별들로부터 방대한 물질 유출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여지고 있으며 그 폭은 대략 5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01007.html 이곳에서...


2020년 10월 5일 월요일

NGC 5643 : Nearby Spiral Galaxy from Hubble

 


NGC 5643 : Nearby Spiral Galaxy from Hubble


- Image Credit : ESA/Hubble & NASA, A. Riess et al.; Acknowledgement : Mahdi Zamani


이리 자리 (Lupus, the Wolf) 방향으로 약 5500만 광년 거리에 위치한 나선 은하 NGC 5643 을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이다.
폭이 약 10만 광년 정도되는 NGC 5643 은 사진에서 보듯이 노란빛의 중심핵과 갈색의 먼지층 그리고 푸른색의 나선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은하의 중심핵이 아주 밝은데 이는 중심에 있는 거대 블랙홀이 밝게 빛나고 있는 주변의 가스들을 빨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며, 전파와 X-ray 데이터에서 한 쌍의 제트가 관측되었다.
한편, 이렇게 중심에 거대 블랙홀이 있는 활동성 은하를 Seyfert 은하라 하는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201005.html 이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