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7월 28일 목요일

Herschel's Eagle Nebula


Herschel's Eagle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ESA/Herschel/PACS, SPIRE/Hi-GAL Project


독수리성운(Eagle Nebula)이라 불리는 M16의 모습이다.
이 성운에는 차가운 가스와 먼지들이 수 광년 길이의 기둥 모양을 이루고 있는데 이 곳에서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사진에서 보면 중심 부분에도 이런 기둥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하얀 점처럼 보이는 것은 가스와 먼지들의 밀도가 높아서 별을 만들 수 있는 물질들이 응집해있는 것이라 한다.
한편, Eagle Nebula는 뱀자리 꼬리부분 방향으로 약 6500 광년 떨어져 있는데 작은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apod.nasa.gov/apod/ap160728.html 이곳에서...



2016년 7월 27일 수요일

M13 : A Great Globular Cluster of Stars


M13 : A Great Globular Cluster of Stars


- Image Credit & Copyright : Dean Fournier; Inset: ESA/Hubble & NASA


헤라클레스 자리에서 쌍안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한 구상성단 M13의 모습이다.
약 20000 광년 정도 떨어져있는 M13에는 대략 100000 개의 별들이 있고, 그 폭은 약 150 광년이며, 120억년 정도 된 성단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apod.nasa.gov/apod/ap160727.html 이곳에서...



2016년 7월 24일 일요일

M2-9 : Wings of a Butterfly Nebula


M2-9 : Wings of a Butterfly Nebula


- Image Credit : Hubble Legacy Archive, NASA, ESA - Processing : Judy Schmidt


우리 태양이나 이 사진의 M2-9 같은 질량이 작은 별들은 그 마지막 단계에 가서 바깥의 가스층을 떨구어내면서 백색왜성이 되는데, 그 과정에서 퍼져나가는 가스가 위 사진처럼 아주 인상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경우가 있다.
약 2100 광년 떨어져있는 행성상성운, M2-9는 나비처럼 양 날개를 가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 중심에는 두 개의 별이 가스층 내부에서 궤도를 돌고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apod.nasa.gov/apod/ap160724.html 이곳에서...



2016년 7월 22일 금요일

Galaxy Cluster Abell S1063 and Beyond


Galaxy Cluster Abell S1063 and Beyond


- Image Credit : NASA, ESA, Jennifer Lotz (STScI)


약 40억 광년 정도 떨어져 있는 은하단 Abell S1063의 모습이다.
이미지의 중심부에 은하단이 위치하고 있고, 그 주변에 푸른빛의 호 모양은 Abell S1063 은하단 훨씬 뒷편에 있는 은하들인데, 태양 질량의 100조배나 되는 은하단의 거대 질량 때문에 중력에 의해 빛이 휘어져서 (중력렌즈 효과)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apod.nasa.gov/apod/ap160722.html 이곳에서...



2016년 7월 18일 월요일

The Orion Nebula in Infrared from HAWK-I


The Orion Nebula in Infrared from HAWK-I


- Image Credit : ESO, VLT, HAWK-I, H. Drass et al.


오리온 성운을 적외선 촬영한 이미지인데 이를 통해 지금까지는 알려져있지 않았던 질량이 작은 항성 (우리 태양과 비슷한)과 자유롭게 움직이고 있는 행성들을 발견했다고 한다.
약 1300 광년 떨어져있는 오리온 성운, M42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대규모 별 생성 지역인데, 이 이미지를 통해 질량이 작은 항성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이해하는 것이 원시 상태의 우리 태양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apod.nasa.gov/apod/ap160718.html 이곳에서...




2016년 7월 15일 금요일

NGC 2736 : The Pencil Nebula


NGC 2736 : The Pencil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Howard Hedlund & Dave Jurasevich, Las Campanas Obs.


NGC 2736, Pencil Nebula의 모습이다.
이 성운은 그 길이가 약 5광년 정도되고, 800 광년 정도 떨어져 있는데, Vela 초신성 폭발의 잔해 중 일부라 한다.
Vela의 잔해는 그 직경이 대략 100 광년 정도 되고 약 11000년 전에 폭발한 것으로 보여진다.
초기에는 그 충격파가 수백만 km/h 속도로 퍼져나갔으나 지금은 많이 느려져서 약 500000 km/h 정도의 속도로 우주공간을 지나는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apod.nasa.gov/apod/ap160715.html 이곳에서...



2016년 7월 14일 목요일

NGC 1309 : Spiral Galaxy and Friends


NGC 1309 : Spiral Galaxy and Friends


- Image Credit : Hubble Legacy Archive, ESA, NASA; Processing - Jeff Signorelli


약 1억 광년 떨어져있는 에리다누스 자리 기슭에 위치한 나선은하 NGC 1309의 모습이다.
그 폭이 약 30000 광년 정도 되는데 이는 우리 은하의 약 1/3 정도 크기이다.
사진을 보면 중심에는 오래된 별들이 노란빛으로 보이고, 나선팔을 따라 어두운 먼지층과 푸른빛의 젊은 별들이 보여지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apod.nasa.gov/apod/ap160714.html 이곳에서...



2016년 7월 13일 수요일

M7 : Open Star Cluster in Scorpius


M7 : Open Star Cluster in Scorpius


- Image Credit & Copyright : Roberto Colombari


전갈자리의 꼬리 부분에서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한 산개성단 M7의 모습이다.
약 1000 광년 정도 떨어져있는 이 성단에는 대략 100 여개 정도의 별들이 있는데, 별들이 생성된 것은 약 2억년 정도 되었고, 성단의 폭은 25 광년 정도이다.
그리고,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인 프톨레마이오스도 130년에 관측한 바가 있는 성단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apod.nasa.gov/apod/ap160713.html 이곳에서...



2016년 7월 8일 금요일

The Swirling Core of the Crab Nebula



The Swirling Core of the Crab Nebula


- Image Credit : NASA, ESA - Acknowledgment: J. Hester (ASU), M. Weisskopf (NASA / GSFC)


게성운의 중심부를 관측한 이미지이다.
그 중심부에 도시만한 크기의 중성자별이 있는데 초당 30회 정도로 회전하고 있다고 한다.
중심부 소용돌이 바로 아래에 있는 두 별중 오른쪽 별이 바로 Crab Pulsar라고 불리우는 중성자별이다.

위 이미지를 보면 작열하는 가스와 빈 공간들, 그리고 소용돌이치는 필라멘트들이 으스스한 분위기의 푸른빛에 휩싸여 있는 모습인데, 그 폭이 약 3광년 정도 된다.

이와같은 중성자별은 거대항성이 폭발하면서 남는 중심핵인데, 질량은 우리 태양보다 더 크고 원자핵 정도의 밀도를 갖는다고 한다.

한편, 게성운의 초신성 폭발은 1054년에 지구에서 관측되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apod.nasa.gov/apod/ap160708.html 이곳에서...




2016년 7월 4일 월요일

과테말라 (Guatemala Ovidia) - 테라로사


과테말라 (Guatemala Ovidia)


- 농장 : Finca El Recuerdo
- 농장주 : Ovidio Arael de Leon
- 지역 : La Libertad, Huehuetenango
- 고도 : 1600 m
- 품종 : Caturra, Bourbon, Pache San Ramon
- 가공 : washed
- 수확 : 2015 1 ~ 4
- tasting note : 다크 체리, 복숭아, 꿀, 포도, 굿 밸런스
- 로스팅 : 테라로사 (Terarosa)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tasting note 가 마음에 들어 지난 달에 구입했던 원두다.
하지만, 기대와는 달리 tasting note에 적혀있는 여러 향미들을 거의 느낄 수 없었다.
물론, 내가 향미를 느끼는 능력이 부족해서이겠지만 많이 아쉬웠다.

원두를 분쇄하고 추출하고 마시면서 내가 느낀 향미는 꽃향기, 체리, 고소함, 카라멜, 밀크초콜렛, 바닐라 같은 뉘앙스들이었다.
꽃향기와 과일 같은 향미가 약하게 느껴지긴 했는데, 크게 의미를 둘 정도는 아니었던 것 같다.
어찌보면, 전통적인 과테말라 커피의 느낌이랄까...
그 정도 생각하고 즐기면 괜찮은 커피인 것 같다.



2016년 7월 3일 일요일

The Cat's Eye Nebula


The Cat's Eye Nebula


- Image Credit : J. P. Harrington (U. Maryland) & K. J. Borkowski (NCSU) HST, NASA


죽어가는 별이 빛을 내는 가스층을 떨구어내면서 만들어진 성운의 모습이다.
약 3000 광년 정도 떨어져 있는데, 가장 복잡한 행성상 성운 중 하나이며 그 모습때문에 Cat's Eye Nebula로 불리우고 있다.
천문학자들은 이 성운의 중심부에 쌍성계가 있을 것이라 추정하고 있고, 별들의 주변은 가스층으로 둘러싸여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apod.nasa.gov/apod/ap160703.html 이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