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월 31일 목요일

Sharpless 308 : Star Bubble


Sharpless 308 : Star Bubble


- Image Credit & Copyright : Laubing


큰개 자리 방향으로 약 52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버블 성운 Sharpless 2-308 (Dolphin Nebula)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이 버블 성운은 그 중심 근처에 있는 별 Wolf-Rayet star 에서 방출되는 항성풍에 의해 약 70000년 전에 만들어졌는데, 이온화된 산소 원자 때문에 파란빛을 띠고 있다.
한편, Wolf-Rayet star 는 질량이 우리 태양보다 20배 이상이며, 초신성 전단계로 추정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90131.html 이곳에서...


2019년 1월 29일 화요일

나는 대중(大衆)을 믿지 않는다.


전에도 몇번 말했지만, 나는 대중(大衆)을 믿지 않는다.
박근혜 물러가라고 촛불을 들었던 그 수많은 사람들이 한때 이명박을, 또 박근혜를 대통령으로 만들었던 사람들이다.
이제 그들이 또 황교안을 지지한단다.
아무리 문재인 정부의 정책들이 잘못되었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자유한국당과 황교안을 지지할 수 있는지 나로서는 이해가 안되지만, 그게 대중의 속성이니 달리 방법이 없는듯하다.
나는 대중을 믿지 않는다. 절대로...


2019년 1월 28일 월요일

The Long Gas Tail of Spiral Galaxy D100


The Long Gas Tail of Spiral Galaxy D100


- Image Credit & Copyright : NASA, ESA, Hubble, Subaru Telescope, W. Cramer (Yale) et al., M. Yagi, J. DePasquale


엄청나게 긴 꼬리를 지닌 나선은하 D100 의 모습을 담은 이미지이다.
가스로 이루어진 이 꼬리는 대부분 수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은하가 자신이 속한 은하단 (Coma 은하단)을 지나면서 조금씩 옅어지고 있는 모양인데, 그래도 그 길이가 약 200000 광년이나 되고, 질량은 우리 태양의 400000 배나 되며, 그 안에서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그리고, D100 의 왼쪽 아래에 있는 은하 D99 는 약간 붉은 빛을 띠고 있는데, 이는 은하 내에 더이상 새로운 별을 만들 수 있는 가스가 없어서 오래된 별들로만 이루어져서 그렇다고 한다.
한편, 이 이미지는 허블우주망원경과 지상의 Subaru 망원경 관측 결과를 합성하여 얻은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90128.html 이곳에서...


2019년 1월 26일 토요일

...



몇년에 한번씩 유언장을 갱신한다.
별로 남길 것도 없는데, 작성하는데 제법 오래 걸렸다.
그래도, 매번 갱신할 때마다 확실히 내용이 짧아지긴 한다.
짧게 요약하면, "다 버리세요"와 "연명치료 하지 마세요" 정도다.



2019년 1월 23일 수요일

Orion over the Austrian Alps


Orion over the Austrian Alps


- Image Credit & Copyright : Lukáš Veselý


이번엔 오스트리아쪽 알프스에서 촬영한 오리온 자리의 모습이다.
거대한 고드름 사이로 굉장히 선명하게 보여지는데, 중앙의 세 개의 별 아래에 위치한 오리온 성운이 상당히 밝게 빛나고 있는게 인상적이다.
오리온 자리를 구성하고 있는 주변 4개의 별은 왼쪽 위에 있는 별이 Betelgeuse 이고, 오른쪽 위에 있는 별은 Bellatrix 이며, 왼편 아래에 있는 별이 Saiph 이고, 오른쪽 아래에 있는 별이 지난 포스팅에서도 언급된 Rigel 이다.
Betelgeuse 는 지구에서 약 6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는데, 이 별이 만약 우리 태양의 위치에 있게 된다면 그 크기가 목성까지 이를 것이라 한다.
한편, Bellatrix 는 지구에서의 거리가 약 240 광년 정도이고, Saiph 는 650 광년, Rigel 은 80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90123.html 이곳에서...


2019년 1월 20일 일요일

...



요즘 매일 짐을 조금씩 줄여나가고 있는데, 이것도 참 쉽지는 않다.
오늘은 컴퓨터와 전자제품 관련 물건들을 버렸는데, 꽤 많이 버렸음에도 별로 표가 나지 않는다.
뭐 그래도 짐 보따리 하나 없앤걸로 만족한다.

근데, 대학 다닐때 샀던 CD 플레이어가 여전히 잘 돌아가는게 참 놀라웠다.
일본 파나소닉 제품으로 110 v 전원 사용하는 건데, 아주 오래된 CD 를 넣고 음악을 들어보니 소리도 들을만하고 아주 괜찮았다.
이건 결국 버리지 못했다. 가끔 들어볼 생각으로...



2019년 1월 17일 목요일

Cabin under the Stars


Cabin under the Stars


- Image Credit & Copyright : P-M Hedén (Clear Skies, TWAN)


지난 1월 6일, 스웨덴의 Tanndalen 에서 촬영한 밤하늘의 모습이다.
그다지 포스팅할 생각없이 보다가 마침 오리온 자리가 있길래 이렇게 올려본다.
사진에서 눈썰매처럼 생긴 것의 손잡이 부분 윗쪽에 오리온 자리가 보이는데, 그 손잡이 바로 위에 걸쳐 있는 밝은 별이 오리온 자리를 구성하고 있는 Rigel 이다.
그리고, 사진의 제일 윗부분에서 가장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은 마부자리 α별인 Capella 이고, 그 오른편에 보여지는 성단이 플레이아데스 성단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90117.html 이곳에서...


2019년 1월 16일 수요일

IC 342 : The Hidden Galaxy


IC 342 : The Hidden Galaxy


- Image Credit & Copyright : Arturas Medvedevas


기린자리에 위치한 나선은하 IC 342 의 모습이다.
지구에서 불과 1000만 광년 밖에 떨어져있지 않은 이 은하는 원래 이런저런 가스와 먼지구름 등에 의해 명확하게 보여지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이번에 이렇게 자세히 볼 수 있는 관측이 이루어진 모양이다.
사진을 보면, 어두운 먼지층과 젊은 성단, 그리고 나선팔을 따라 분홍빛으로 보이고 있는 별들이 생성되는 영역들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특히, 나선팔을 따라 형성된 분홍빛을 보면 최근에 이 은하에서 별을 만드는 영역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이 은하는 우리 은하와 매우 가까운 거리에 있어서 우리 은하단 내에서 서로 중력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90116.html 이곳에서...


2019년 1월 15일 화요일

The Heart and Soul Nebulas


The Heart and Soul Nebulas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io Zauner


지구에서 약 60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발광성운 Heart Nebula (IC 1805)와 Soul Nebula (IC 1871)의 모습이다.
사진에서 오른쪽 아래에 있는 성운이 Heart Nebula 이고, 왼쪽 상단에 있는 성운이 Soul Nebula 이다.
두 성운 모두 중심부에 젊은 산개성단을 지니고 있으며, 사진에서 붉은색은 수소, 그리고 노란색은 황, 파란색은 산소에서 방출되는 빛 때문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90115.html 이곳에서...


2019년 1월 14일 월요일

Meteor and Milky Way over the Alps


Meteor and Milky Way over the Alps


- Image Credit & Copyright : Nicholas Roemmelt (Venture Photography)


알프스에서 촬영한 은하수와 유성우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2018년 페르세우스 유성우 시기에 Tschirgant 산에서 촬영한 것이라 한다.
굳이 설명은 필요없을 것 같고 영화 포스터 같은 이 장면을 즐겨보는게 어떨까 싶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90114.html 이곳에서...


2019년 1월 13일 일요일

Tycho's Supernova Remnant in X-ray


Tycho's Supernova Remnant in X-ray


- Image Credit : NASA / CXC / F.J. Lu (Chinese Academy of Sciences) et al.


때묻은 솜털뭉치처럼 생긴 이 천체가 초신성 폭발의 잔해라 한다.
유명한 천문학자인 Tycho Brahe 에 의해 400 여년 전에 발견된 이 천체는 그의 이름을 따서 Tycho's Supernova Remnant 라 불리는데 공식적인 명칭은 SN 1572 이다.
사진은 X-Ray 이미지를 촬영하는 Chandra X-ray Observatory 에 의해 촬영되었으며 3개의 X-Ray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얻은 것이라 한다.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원래의 별은 완전히 소멸되었고 그 동반성이었던 Tycho G 라는 별은 너무 어두워서 사진상으로는 관측할 수 없는 상태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90113.html 이곳에서...


2019년 1월 12일 토요일

Milky Way Falls


Milky Way Falls


- Image Credit & Copyright : Yuri Beletsky (Carnegie Las Campanas Observatory, TWAN)


칠레의 Atacama 사막에서 촬영된 우리 은하의 멋진 사진이다.
사막에 폭포가 있다는게 좀 의아하지만, 이곳에 위치한 산에 이렇게 폭포가 있는 모양이다.
암튼, 폭포와 우리 은하의 위치를 절묘하게 맞춰 촬영했다.
사진의 오른쪽에 보이는 작은 두 은하가 각각 우리 위성 은하인 대마젤란, 소마젤란운이고, 폭포 바로 위에서 빛나고 있는 별이 Beta Centauri 이며, Beta Centauri 바로 위에 암흑 성운 Coalsack nebula 와 남십자성이 자리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90112.html 이곳에서...


2019년 1월 10일 목요일

Vela Supernova Remnant Mosaic


Vela Supernova Remnant Mosaic


- Image Credit & Copyright : Robert Gendler, Roberto Colombari, Digitized Sky Survey (POSS II)


Vela (돛) 별자리에 있는 초신성 폭발의 잔해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사진의 중심부에는 밝게 빛나고 있는 필라멘트도 볼 수 있고, 여러 초신성 폭발의 잔해들을 볼 수 있다.
이 초신성 폭발의 빛이 지구에 처음 도달한 것은 약 11000년 전이고, 초신성 폭발 후엔 엄청난 밀도를 지니며 회전하고 있는 Vela Pulsar 를 남겼다고 한다.
Vela 초신성 잔해까지의 거리는 약 800 광년 정도인데, 이보다 더 크고 오래된 Gum Nebula 에 속해있다고 한다.
또한, 이 사진에는 여러 발광성운과 반사성운, 성단들도 포함되어 있는데, 특히 Pencil Nebula 도 그 중 하나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90110.html 이곳에서...


2019년 1월 5일 토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