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2월 28일 수요일

NGC 613 in Dust, Stars, and a Supernova


NGC 613 in Dust, Stars, and a Supernova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S. Smartt (QUB);
                     Acknowledgement: Robert Gendler;
                     Insets: Victor Buso


어제 외신에서도 나왔듯이 Victor Buso 라는 아마추어 천문가가 2016년에 우연히 초신성 폭발 순간을 포착했다고 한다.
나선은하 NGC 613에서 관측된 이번 초신성 폭발 순간은 아래 흑백으로 삽입된 작은 사진에서 빨간 원 안에 표시되어 있다.
위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관측된 NGC 613의 모습이고, 아래 삽입된 흑백 사진이 아마추어 천문가가 촬영한 사진이다.
이번 초신성은 SN 2016gkg 으로 명명된 별인데, 이렇게 초신성 폭발을 관측활 확률은 1천만∼1억 분의 1 정도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228.html 이곳에서...


2018년 2월 25일 일요일

AE Aurigae and the Flaming Star Nebula


AE Aurigae and the Flaming Star Nebula


- Image Credit & Copyright : Martin Pugh


마부자리 방향으로 약 1500 광년 떨어져있는 Flaming Star Nebula (IC 405)의 모습이다.
가운데 파란 빛을 띄고 있는 별이 AE Aurigae 인데, 이 별에서 나오는 빛이 너무 강해서 주변 가스의 원자들로부터 전자를 분리시키고, 그렇게 분리된 원자가 다시 전자를 되찾게 될때 빛이 방출되어 주변에 발광성운을 만들게 되는 것이라 한다.
한편, 주변에 연기처럼 보이는 어두운 물질들은 대부분 성간 수소인데, 여기에는 탄소가 풍부한 먼지입자의 필라멘트들이 함유되어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225.html 이곳에서...


2018년 2월 24일 토요일

Facing NGC 6946


Facing NGC 6946


- Composite Image Data - Subaru Telescope (NAOJ) and Robert Gendler;
- Processing - Robert Gendler


Fireworks Galaxy 로도 알려져있는 나선은하 NGC 6946 의 모습이다.
이 사진은 하와이 Mauna Kea에 있는 8.2m Subaru Telescope 의 관측 데이터를 이용해 합성한 사진인데, 지구에서 봤을때 이렇게 정면으로 볼 수 있어 더욱 아름답게 보여진다.
사진에서 은하의 중심은 노란빛을 띄며 오래된 별들로 이루어져 있고, 바깥으로 갈수록 파란빛의 젊은 별들로 이루어진 성단들이 존재하며, 붉은 빛을 띄는 곳은 여러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곳이다.
이 은하에서는 많은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또 많은 별들이 소멸되고 있는데, 20세기 초반부터 최소한 9번의 초신성 폭발이 있었다고 한다.
한편, NGC 6946 은 그 폭이 40000 광년 정도이며, 지구에서 약 1000만 광년 정도 떨어져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224.html 이곳에서...


2018년 2월 22일 목요일

When Roses Aren't Red



When Roses Aren't Red


- Image Credit & Copyright : Eric Coles and Mel Helm


외뿔소자리에 있는 발광성운인 Rosette Nebula의 모습이다.
보통 이 성운은 수소원자에 의해 붉은 색으로 보여지는데, 다른 원자들이 강력한 별빛에 의해 고에너지 상태가 되고 좁은 스펙트럼 휘선을 만들게 되면  다양한 색으로 보여질 수 있는 모양이다.
위 사진은 그렇게 다양한 원자들에 의해 다양한 색으로 나타난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얻어진 것인데, 붉은 색은 황 원자, 파란색은 수소원자, 녹색은 산소원자에 의한 것이라 한다.
그리고 아래의 사진이 우리가 자주 보던 붉은 색의 Rosette Nebula 모습이다.
한편, 사진에서 보여지는 성운의 폭은 약 100 광년 정도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222.html 이곳에서...

p.s. 수소원자의 에너지 상태에 따라 색이 달라지는 모양이다. 앞선 설명에서는 원래의 전체적인 붉은 색이 수소원자 때문이라 했는데, 뒤에서는 파란색이 수소원자에 의한 것이라 설명되어 있다. 아마도 에너지 상태에 따라 다른 것이 아닐까 싶다.


2018년 2월 21일 수요일

Jupiter in Infrared from Hubble


Jupiter in Infrared from Hubble


- Image Credit : NASA, ESA, Hubble; Data: Michael Wong (UC Berkeley) et al.;
                                                Processing & License: Judy Schmidt


목성을 적외선 촬영한 사진이라 한다.
양 극지방의 붉은 빛이 인상적이고, 대적점과 그 아래 여러 구름폭풍들의 모습은 마치 진주를 엮어놓은 것 같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221.html 이곳에서...


2018년 2월 19일 월요일

Galaxy Formation in a Magnetic Universe





Galaxy Formation in a Magnetic Universe


- Video Credit : IllustrisTNG Project; Visualization: Mark Vogelsberger (MIT) et al.
                     Music: Gymnopedie 3 (Composer: Erik Satie, Musician: Wahneta Meixsell)


은하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시뮬레이션 한 영상이다.
자기장을 기반으로 했으며 초기 우주에서부터 현재까지 시뮬레이션 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219.html 이곳에서...


2018년 2월 18일 일요일

LL Ori and the Orion Nebula


LL Ori and the Orion Nebula


- Image Credit : NASA, ESA, and The Hubble Heritage Team


오리온 성운에서의 우주 구름과 별들을 촬영한 사진이다.
성운 내에서는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구름과 별들이 상호작용을 일으키는데, 별에서 나오는 항성풍과 가스 구름이 만나면서 선단충격파가 만들어지는 모습을 이 사진에서 볼 수 있다.
사진의 중심에서 약간 왼쪽 상단에  LL Orionis 라는 변광성과 활 모양의 충격파를 볼 수 있는데, LL Orionis는 우리 태양보다도 더 강한 항성풍을 만들고 있으며 이 충격파의 폭은 약 0.5 광년 정도라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218.html 이곳에서...


2018년 2월 17일 토요일

In the Heart of the Heart Nebula


In the Heart of the Heart Nebula


- Credit & Copyright : Alan Erickson


카시오페이아 자리 방향으로 약 7500 광년 떨어져있는 발광성운 Heart Nebula (IC 1805)의 모습이다.
성운의 중심부에는 산개성단 Melotte 15 가 위치하고 있고, 이 성단의 젊은 별들에서 나오는 성간풍과 빛이 성운의 먼지 기둥들을 침식시키고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214.html 이곳에서...



2018년 2월 7일 수요일

NGC 7331 Close-Up


NGC 7331 Close-Up


- Image Credit & License : ESA/Hubble & NASA/D. Milisavljevic (Purdue University)


우리 은하와 닮은 나선은하 NGC 7331 의 모습이다.
페가수스 자리, 약 50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 은하는 처음엔 성운인줄 알았다 한다.
하지만, 보는 것처럼 멋진 나선팔과 어두운 먼지층, 푸른 빛의 성단들이 있으며, 활발하게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곳은 붉은 빛을 띄고 있고, 은하의 중심부는 차갑고 오래된 별들이 노란빛을 보이고 있다.
또한, 우리 은하처럼 중심핵에는 거대 블랙홀이 자리잡고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207.html 이곳에서...


2018년 2월 6일 화요일

Galaxy NGC 474 : Shells and Star Streams


Galaxy NGC 474 : Shells and Star Streams


- Image Credit : CFHT, Coelum, MegaCam, J.-C. Cuillandre (CFHT) & G. A. Anselmi (Coelum)


물고기 자리 방향으로 약 1억 광년 떨어져있는 은하 NGC 474의 모습이다.
그 폭이 250000 광년 정도 되는 이 은하의 모습이 독특한데 마치 여러 껍질을 둘러싸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아직 이런 모습에 대해 정확한 원인을 찾진 못했지만, 여러 작은 은하들이 충돌하면서 만들어진 게 아닌가 추정하고 있는 모양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206.html 이곳에서...


2018년 2월 5일 월요일

NGC 7635 : The Bubble Nebula Expanding


NGC 7635 : The Bubble Nebula Expanding


- Image Credit : Göran Nilsson & The Liverpool Telescope


카시오페이아 자리 방향에서 볼 수 있는 Bubble Nebula (NGC 7635)와 그 옆의 분자 구름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중심에 있는 버블 모양의 천체가 Bubble Nebula 이고 그 안에 있는 푸른 빛의 별은 BD+602522 인데, 이 별에서 방출되는 성간풍에 의해 버블이 팽창되고 있는 모양이다.
그리고 그 오른쪽 옆에 붉은 빛을 띄고 있는 것이 분자 구름이다.
우주 공간에서 이 정도 가까이 위치하게 되면 분자 구름이 팽창하는 버블 가스를 흡수할 수도 있겠지만, 실상은 버블 중심에 있는 별의 복사에너지에 의해 분자 구름이 밀려나고 가열되면서 빛을 내게 되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205.html 이곳에서...


2018년 2월 4일 일요일

Venus and the Triply Ultraviolet Sun


Venus and the Triply Ultraviolet Sun


- Image Credit : NASA/SDO & the AIA, EVE, and HMI teams;
                     Digital Composition : Peter L. Dove


2012년, 지구 궤도를 돌고있는 Solar Dynamics Observatory을 이용해 태양을 자외선 촬영했는데 그때 얻어진 사진들을 이용해 합성한 이미지이다.
이미지에서 보면 태양의 윗 부분에 검은 점이 하나 보이는데, 이것은 금성에 의해 만들어진 일식 현상이다.
이렇게 금성에 의한 일식은 매우 보기 드문 현상인데, 다음번 금성 일식은 2117년에 이루어질 것이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apod.nasa.gov/apod/ap180204.html 이곳에서...